스페셜
"삶"(으)로 총 1,179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에게 시간은 늘 귀중하다” 스티븐 호킹 박사 발언 되짚어 보니동아사이언스 l2018.03.14
- 스티븐 호킹. 고등과학원에서 강연을 마친 뒤 하회탈 목걸이를 선물한 학생들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하고 있다. - 과학동아 제공 “일찍 죽을 거라는 예상 속에 ... 내가 가진 잠재력을 결코 깨닫지 못했다. 하지만 50년이 지난 지금, 나는 조용히 내 삶에 만족할 수 있다” 사진 NASA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 나비 관련 글을 발표했다. 오늘날의 관점에서 기인이라고 볼 수밖에 없는 나보코프의 삶은 그의 소설보다도 더 소설적이다. 소설 '롤리타'의 작가 블라디미르 나보코프는 공감각 소유자이기도 했다. - 위키피디아 제공 1899년 러시아제국의 부유한 귀족 가문에서 태어난 나보코프는 모국어인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행복이, 건강이, 성공이 정말 당연해?2018.02.10
- 지금의 삶이 어떻게 달라졌을 지에 대해 생각해보게 했다. 이렇게 언제든지 삶이나 관계가 안 좋은 방향으로 흘러갈 수 있었을 거라는 가능성을 생각해본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 (단순히 사건의 디테일에 대해 생각해 봄)에 비해 그간 당연하게 생각할 수 있었던 일들이 사실은 큰 의미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적당한' 걱정이 필요할 때가 있다 2018.02.03
- 가득차있고 하나의 일이 진행되는 과정에도 여러가지 장애물이 나타나기 마련이다. 삶은 일직선 도로이기보다 구불구불하고 허들이 많은 장애물 달리기인 것이다. 따라서 어떤 목표를 설정하고 나서 무조건 잘 될 거라고 생각하기보다 언뜻 평탄해 보이는 이 길에서는 과연 어떤 장애물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판단하지 않고 받아들이는 연습 2018.01.27
- 그간 외면해왔던 내 마음의 어려움이나 상처 등을 좀 더 쉽게 받아들일 수 있게 되고, 삶의 다양한 고통에 대해 평정심을 유지하는 동시에 고통을 더 잘 ‘이해’하게 된다고 한다. 그리고 바로 이 점이 자신의 고통뿐 아니라 타인의 고통에 대한 이해심과 포용력을 높여줄 것으로 이야기 된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의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2018.01.20
- 구성되어 있다. 연구자들은 이런 점에서 다양한 경험과 역할을 체험하는 것이 우리 삶이 얼마나 크고 다양한 모습을 하고 있는지를 알려줄 수 있는 좋은 자극제라고 본다. 자존감을 한 바구니에 몰아 담지 말자. Linville, P. W. (1985). Self-complexity and affective extremity: Don't put all of your eggs in one cognitive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만 친구 없어! 나만 불행해! 라는 생각이 찾아올 때 2018.01.13
- 두려움, 사람들로부터 받은 상처, 이별의 아픔, 미움과 시기, 오해, 갈등, 비교의 고통, 내 삶이 의미 없고 쓸모 없을지 모른다는 불안감을 안고 살아간다. 한계가 많은 인간으로서 각자 정도는 달라도 우리 모두 나름의 짐을 지고 살아가는 셈이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자기 품 안의 짐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2018.01.09
- 압도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네안데르탈인이 사라진 뒤 사냥 동맹인 인류와 개의 삶에 가장 방해가 된 경쟁자가 늑대였고 따라서 그 뒤 늑대의 개체수도 급감했다. ‘진짜 개’라고 말할 때 떠오르는 이미지가 사람의 관심을 갈구하며 재롱을 떠는 반려동물이라면 사냥을 하는 개의 모습이 ... ...
- 정신적으로 성숙해진다는 것2017.12.30
- 순간에서도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이 있다고 생각, 마지막으로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삶에서 겪는 모든 일을 통해 배우고 성장할 수 있다고 믿는 것 등이다. 다가오는 2018년에도 특히 힘든 상황 속에서 평정심을 잘 유지하며 다양한 사건들을 통해 배우고 성장할 수 있다면 좋을 것 같다. ※ ... ...
- 슬픔을 꽤 잘 견디는 사람들의 패턴 2017.12.23
- 남겨진 기억을 간직하고 또 새로운 의미를 발견해 나가는 과정에서 죽음은 또 다른 삶으로 연결되고 막다른 길로 끝나지 않게 되는 것이 아닐까? ※ 참고문헌 Bonanno, G. A., Wortman, C. B., Lehman, D. R., Tweed, R. G., Haring, M., Sonnega, J., ... & Nesse, R. M. (2002). Resilience to loss and chronic grief: A prospective study from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