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삶"(으)로 총 1,192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향적 사람도 행복할 수 있나요2018.07.07
- 쉽게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작은 일들에 지나치게 일희일비하지 않는 것(평정심), 내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 나를 잘 보살피는 것, 주변 사람들과 좋은 관계를 쌓는 것은 내항적이거나 외향적지와 상관 없이 모두의 행복에 중요하다는 것이다. GIB 제공 관련해서 내향적인 사람들은 사람에게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운명의 상대'라는 믿음이 클수록 연애 어렵다 2018.06.30
- 수 있다고 믿는지, 아니면 변하지 않고 처음부터 정해져 있는 것이라고 믿는지에 따라 삶의 결과가 달라진다(Dweck, 2008). 예컨데 ‘지능은 태어날 때부터 정해지는 것’이라고 믿는 사람들은 ‘지능은 노력에 의해 얼마든지 변할 수 있는 것’이라고 믿는 사람들에 비해, 어려운 문제를 만나면 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픔까지 느껴지는 의수(義手) 개발했다!2018.06.26
- 잃은 사람들이 환상사지의 고통에서 벗어나 물리적으로 실재하는 진짜 같은 사지로 삶의 활력을 되찾기 바란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삶이 허무하게 느껴질 때2018.06.23
- 이렇게 아주 작은 것이라도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면 우리는 어떤 상황에서든 새로운 삶을 만날 수 있다. 여러분에게 작게나마 즐거움을 주는 소일거리는 무엇인가? 새로 배우고 싶은 것에는 무엇이 있는가? 작은 것부터 시작해 보자. [1] Baumeister, R. F., & Vous, K. D. (2005). The pursuit of meaningfulness in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2018.06.19
- 상태를 씁쓸하게 고백하고 있다. 오늘날 우리가 누리고 있는 많은 것들이 천재들이 삶을 소진해 탄생시킨 것임을 생각한다면 그들의 식어버린 감성도 따뜻하게 바라봐야 하지 않을까. “이제는 단 한 줄의 시도 읽기가 어려워졌다. 최근에 셰익스피어를 읽어보려고 했지만 너무 지루해서 구토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이 나이 먹도록 아무 것도 한 게 없어?2018.06.16
- 타인을 진심으로 응원하는 편인지의 여부와 관련을 보이기도 한다(Cosley et al., 2010). 삶은 누구에게나 쉽지 않고 우리는 누구나 각자의 짐을 지고 긴 여행을 하는 여행자들이다. 그 길에서 나의 길, 또 타인이 걸어온 길이 쉽지 않았음을 바라볼 수 있을 때 우리는 서로를 응원하며 서로의 용기가 될 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 한다. 사실 이는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다. 스타벅스와 애플은 지구촌 사람들의 삶을 근본적으로 바꿔놓았고 이에 따른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 그 결과 수면장애나 중독 등 부작용에 관련된 연구결과와 생활지침이 잇달아 나오고 있다. GIB 제공 지난 6월 7일 스위스 커피과학정보연구소(ISIC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위로가 필요한 나에게 무슨 말을 할까? 2018.06.02
- 것이 정신 건강에 큰 도움이 된다고 한다. 나 역시 오랫동안 평상시에는 우쭐하다가도 삶이 조금만 내 맘대로 흘러가지 않으면 큰 충격을 받거나 나의 기대에 부합하지 않은 나에게 욕을 퍼붓는 일을 오래 해왔다. 그러지 않기로 마음먹었지만 나를 향한 평가에 지나치게 익숙해진 나머지 어떻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2018.05.29
- 생각했을 텐데 필자 역시 밀가루 음식 섭취를 확 줄이고 나서 어쨌든 비염이 사라져 삶의 질이 높아지다 보니 수긍이 간다. 고통받는 환자에게는 그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과학이 아니라 낫게 하는 치료법이 절실하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GIB 제공 우리나라 역시 지난 수십 년 사이 알레르기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홍대 누드모델 몰카' 사건에 주목하는 또다른 이유2018.05.19
- 많은 사람들이 ‘우리 사회의 룰이 공정하지 않을 가능성’, 큰 구조적 문제가 존재해서 삶의 환경을 크게 고칠 것을 요구하는 신호를 반가워하지 않는 편이다. 많은 사람들이 세상을 바꿔야한다고 생각하기보다 ‘우리 사회의 룰은 모두에게 공정해’, ‘우리 사회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어’, ... ...
이전8182838485868788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