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저
높낮이
해발
고도
마루높이
마루
처마높이
뉴스
"
높이
"(으)로 총 1,90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자들이 뽑은 올해 과학자에 이진한·묵인희·김일두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9.11.18
주입해 촉발한 유발지진이라는 점을 과학적으로 규명해 사회적 관심을 모았다는 점을
높이
인정받았다. 이 교수는 심부지열 발전에서도 규모 5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처음으로 학계에서 인정 받았다. 같은 부분에 선정된 김일두 교수는 과학인용색인(SCI)에 등록된 ... ...
[프리미엄리포트] 50년 만에 첨단 CG로 부활한 거대 타조공룡 데이노케이루스
2019.11.17
개로 무거운 상체와 꼬리의 균형을 잡고 서 있을 수 있는 비결은 등 척추와 골반 척추에
높이
솟은 신경배돌기였다. 신경배돌기들은 튼튼한 인대와 두꺼운 근육으로 감싸져 있는데, 무거운 상체와 꼬리는 이 신경배돌기를 지지 기둥으로 삼아 현수교처럼 단단히 연결돼 있었다. 몸길이가 11m에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갈릴레오, 하늘을 보다
2019.11.14
있고 운석구덩이도 보였다. 갈릴레오는 자신의 수학실력을 발휘해 달 표면의 산
높이
를 구하기도 했다. 요컨대 천상계의 달 표면이 지구의 표면과 별반 다르지 않음을 갈릴레오가 알아낸 것이다. 그러니까 갈릴레오는 망원경을 이용해 무려 2천 년에 걸친 아리스토텔레스의 ‘거짓말’을 밝혀낸 ... ...
허공으로 날아간 햄버거
팝뉴스
l
2019.11.11
공개되어 궁금증이 더욱 높아진다. 가능성은 두 가지다. 누군가 쟁반을 들고 오다가
높이
던졌거나 아니면 넘어지면서 실수로 날렸을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어느쪽이건 아주 신기할 뿐 아니라 희소한 상황이다. 한편 이 황당한 사고를 당한 남자의 피해가 만만치 않을 것 같다며 걱정하는 ... ...
보행자 인식해 자동으로 작동하는 볼라드 시스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1
눈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진입하는 대상의 크기, 속도, 거리에 따라 볼라드의
높이
가 제어된다. 50m 전부터 진입대상을 센서가 감지하며 진입 대상에 대한 통제가 필요할 경우 볼라드는 최대 약 1m 정도 위로 솟아오른다. 연구팀은 개발한 볼라드가 600㎫(메가파스칼)의 충돌 하중을 견딜 수 있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류 '유전자'는 로마로 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0
원형경기장이다. 검투사들의 대결과 고전극 상연 등 구경거리가 이곳에서 펼쳐졌다.
높이
약 48m, 길이와 넓이는 각각 약 188m와 156m에 이르며 5만명 가량의 관객을 수용할 수 있다. 콜로세움은 당시 로마 제국의 권세와 높은 건축기술 수준을 보여주는 대표적 유적으로 꼽힌다. 이런 권세와 기술 ... ...
화성 분화구 속에 ‘염분 호수’ 있었다
과학동아
l
2019.11.08
존재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서턴섬은 약 37억~33억 년 전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약 150m
높이
의 퇴적층이다. 라핀 박사후연구원은 “이번에 발견된 황산염은 퇴적물과 함께 섞인 형태”라며 “민물호수가 아닌 소금기가 있던 얕은 호수가 증발해 형성됐음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 ...
"석학 한 명이 사라지는 것은 도서관 하나가 불타 버리는 것과 같아"
동아사이언스
l
2019.11.07
특히 김 교수는 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에 있어 은퇴한 과학기술 석학의 활용도를
높이
샀다. 그는 “유명한 학원가에는 드론 프로그램을 가르치는 수업이나 컴퓨터 코딩 기법 강의가 많다”며 “석학의 전문분야와 코딩교육을 합친 프로그램이 기획된다면 학생들이 재미도 느끼고 석학들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확률컴퓨터는 양자컴퓨터 짝퉁일까
2019.11.05
함께 실린 해설에서 이 업적을 1903년 라이트 형제의 최초 동력비행 성공에 비유하며
높이
평가했다. 3년 전 구글의 AI 알파고 충격이 생생한 필자로서는 이번 연구가 양자컴퓨터의 전환점이라고 자평하는 구글의 자신감에 감히 토를 달지 못하겠다. 그럼에도 대중이 느끼는 충격은 알파고가 바둑 ... ...
건기연, '달 표면 극한 환경' 세계 최초 구현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11.05
위해 시동을 걸고 있는 달의 표면 환경이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개발한 가로, 세로,
높이
각각 4.7m의 ‘지반 열 진공 체임버’(DTVC) 속에 구현됐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이달 5일 경기 고양 건설연 일산본원에서 열린 미래융합관 개관식에서 달 표면의 환경을 재현하는 세계 최대 크기의 DTVC를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