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저
높낮이
해발
고도
마루높이
마루
처마높이
뉴스
"
높이
"(으)로 총 1,909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상+]"첫 발사까지 앞으로 1년" 누리호 개발 산실 나로우주센터를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9
사용하지 못한다. 새 발사대는 누리호를 세운 상태에서 연료와 전기를 공급하는
높이
45.6m ‘엄빌리칼 타워’와 발사체에 사람과 장비가 다가갈 수 있게 하는 지지대로 구성된다. 강선일 항우연 발사대팀장은 “제2발사대는 국내 연구진이 독자 기술로 건설하고 있다"며 "현재 공정률은 93%로 올 1 ... ...
공룡 대멸종 원인은 소행성 충돌…화산폭발 원인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당시 상황을 재구성했다. 충돌로 인해 바위가 녹고 물이 밀려오며 수 시간만에 130m
높이
의 퇴적층이 쌓였고, 지구 지반 암석이 대기로 퍼지며 비처럼 쏟아져 내려 산불을 일으켰다. 특히 충돌로 암석 속 황 3250억 t이 대기에 방출되며 에어로졸을 형성해 햇빛을 막았고 지구의 기온이 엄청나게 ... ...
달 뒷면 착륙1년 맞은 '옥토끼'…"지금도 탐사中"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380일째다. 옥토끼 2호에는 바퀴가 6개 달려있다. 최고 시간당 200m를 움직이며 20cm 정도
높이
의 장애물을 넘는다. 지난해 11월 기준 옥토끼 2호는 357.7m정도 이동했다고 알려졌다. 짧은 거리라 여길 수 있지만 달의 낮과 밤 길이와 달 뒷면의 험난한 지형을 고려한다면 그렇지도 않다. 달의 낮과 밤 ... ...
네안데르탈인도 조개 잡으러 다이빙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명확한 증거는 거의 없었다. 연구팀은 이탈리아반도 중부 라티움 지역의 해변에서 약 3m
높이
에 있는 해안 동굴 ‘그로타 데이 모스세리니’에서 발굴된 조개껍데기를 분석했다. 약 9만년 전 이 동굴에 살았던 네안데르탈인들은 조개로 예리한 도구를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팀은 동굴에서 ... ...
'유튜버 시대'의 CES…미니드론에 AI 샤크 카메라까지
연합뉴스
l
2020.01.09
수십 대로 '군무'를 펼치기도 하고 차단된 공간에서 자유롭게 시연을 하는 등 주목도를
높이
기 위한 쇼가 이어졌다. 이런 분위기와 달리 초콜릿 크기의 소형 카메라만 나란히 전시해 둔 티맥스(TiMAX)의 부스가 눈에 띄었다. 가까이 다가가 보니 카메라엔 손톱 크기의 펜스가 달려있었다. 마치 파리 ... ...
태양 옆서 우리은하 최대 별 형성 가스 구조물 발견
연합뉴스
l
2020.01.08
약 400광년에 걸쳐 펼쳐져 있으며, 길고 가는 실 모양으로 은하 원반부를 파도치듯 500광년
높이
로 골과 마루를 형성하고 있다. 지금까지 태양을 고리 형태로 둘러싼 것으로 추정돼온 별 형성 띠인 '굴드 대'(Gould's Belt)에 포함된 것으로 여겨졌던 별 형성 요람 중 상당수는 래드클리프파에 포함된 ... ...
[함께 봐요 CES] "IoT 시대에서 AI 시대로"
과학동아
l
2020.01.06
현재 5G 기술은 삼성전자의 8K 초고화질(UHD) TV에 들어가는 인공지능 칩의 기능을
높이
고, 구글 네스트(Nest)의 스마트 도어벨 ‘헬로(Hello)’가 방문객의 신원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게 하며, 미국 월풀의 스마트 오븐을 스마트폰 하나로 작동할 수 있도록 만드는 기반 기술로 평가됐다. ●진화하는 ... ...
천리안2B호, 남미 기아나 우주센터로 출발…내달 19일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0.01.05
해상도가 4배 향상된 해양탑재체를 장착하고 있다. 무게는 3400㎏으로 폭 2.4m, 길이 2.9m,
높이
3.8m의 크기다. 궤도상에선 태양전지판을 펼쳐 폭이 8.8m로 늘어난다. 천리안2B호는 대기환경 감시를 하는 세계 최초 정지궤도 위성이다. 지구 자전속도와 같은 시속 1만 1000㎞ 속도로 지구를 돌 수 있어 늘 ... ...
[애니멀리포트] 초원수리 민은 어쩌다 통신요금 폭탄을 맞았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1.04
흰머리수리가 늘자 2017년에는 인공둥지를 마련해 주기도 했습니다. 인공둥지는 12m
높이
에 설치됐으며, 지름 2cm의 나뭇가지를 엮어 만들었습니다. 강한 햇빛이 들어오지 못하게 한낮엔 둥지에 기둥의 그림자가 드리우도록 설계했습니다. 인공둥지 프로젝트를 이끈 생태학자 러셀 벤포드 박사는 ... ...
백두산 분화땐 지진 피해보다 한반도에 ‘화산재 공포’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날아갔다. 당시 나온 화산재를 모으면 남한 전역을 1m
높이
로 덮을 수 있을 수준이었다.
높이
날아간 화산재도 문제다. 떠오른 화산재는 3~4년간 약 50km 상공까지의 성층권에 머물 수 있다. 태양빛을 막아 지구 평균기온을 떨어뜨려 기후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10세기 당시 백두산의 화산은 끈적한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