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책임"(으)로 총 2,07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눈 폭풍 비밀 풀면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컨소시엄 ‘유로퓨전(EUROfusion)’의 유일한 한국인 과학자이자, JET 실험 캠페인 운영의 책임 오피서(Responsible Officer)인 김현태 박사를 e메일로 인터뷰했다.Q 2019년 예정된 실험은 어떤 것인가요?수소의 동위원소인 중수소와 삼중수소 간의 핵융합 반응을 실험하는 ‘DT 핵융합’ 실험입니다. DT 핵융합은 ...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모양과 크기가 과거에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알려준다. INTERVIEW 스티븐 칸 LSST 총괄 책임 디렉터(미국 스탠퍼드대 교수)Q. LSST 건설 계획이 현재 어디까지 진행됐나.LSST에 들어가는 주요 부품들의 조립 계약을 모두 마치고 올해부터 본격적인 건설에 들어갔다. 부지는 칠레 중부 체르파촌 ... ...
- [Knowledge] 인류세의 시작, 콜럼버스일까 핵폭탄일까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인류 문명과 함께 시작했으므로 인류세를 굳이 나눌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있다. 남 책임연구원은 “홀로세가 너무 짧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있다”며 “하지만 타임머신을 타고 어느 시대, 어느 지역을 가도 현재와 같은 풍경은 절대 볼 수 없을 정도로 상당한 변화가 있는 만큼, 하나의 ‘세’를 ... ...
- Part 2. 중력파 ‘ 최초 발견’을 넘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100년만에 증명된 아인슈타인의 예언 중력파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Part 2. 중력파 ‘ 최초 발견’을 넘어Info. 중력파 어떻게 관측했나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 ...
- [News & Issue] 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궤도에 있다고 해도, 관측으로 찾는 과정은 해왕성 때와 비교할 수도 없이 어렵다. 최 책임연구원은 ‘위치’와 ‘궤도’의 차이는 어마어마하다고 말했다. “해왕성은 르베리에가 천구상의 위치를 비교적 정확히 계산한 덕분에 관측으로 바로 찾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경우는 다릅니다. ... ...
- [수학뉴스] 중력파, 한 세기 만에 그 베일을 벗다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인류 역사에 한 획을 긋는 발표가 있었습니다. 데이비드 라이츠 미국 라이고(LIGO) 실험 책임자가 지난해 9월 14일, 미국 리빙스턴과 핸포드 두 곳에 있는 ‘레이저 간섭계 중력파 관측소’에서 중력파를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힌 것입니다.중력파는 1915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 ...
- 프로젝트 3 결전의 순간! 부모님을 설득하라!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삼성증권 부천WM지점 지점장), 유승동(상명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최문박(LG 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 김대환(건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참고 서적 : , 참고 사이트 한국은행 경제교육(www.bokeducation.or.kr ... ...
- [News & Issue] 1986년 서울, 그들은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찍었다. 잔디밭에 누워있던 그때 그 상황을 재현하기 위해 공기정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이 식당 앞 카펫에 몸을 기댔다. 그렇게 30년 만의 사진촬영은 끝이 났고, 30년 만의 동창회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불편한 손님인 기자와 사진작가는 얼른 자리를 떴다. 인사를 하고 돌아서는 찰나, ... ...
- 프로젝트 2 물가는 얼마나 오를까?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우리는 은행에서 사람들의 눈초리에 쫓기다시피 나왔다. 너무 오랫동안 시끄럽게 물어봤나? ^^; 그래도 3시간 동안 설명을 들으니 세뱃돈을 저축해서 얻을 수 있는 이익이 얼마인지는 알겠다. 그런데 그동안 물가가 오르면 말짱 도루묵 아닐까? 은행에 세뱃돈을 맡겨 놓은 동안 물가가 얼마나 오를지 ... ...
- [Knowledge] 과학으로 밝힌 ‘슈퍼푸드’ 커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해롭다고 주장하는 이들이 꽤 많다.이렇게 커피가 누명을 쓴 데에는 과학자들의 책임이 크다. 역학조사를 할 때 설계를 제대로 하지 않아 표본에 오류가 생긴 경우가 많았다. 예컨대 한때는 커피가 폐암을 일으킨다는 주장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기도 했다. 하지만 이런 결과를 내놓은 조사에는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