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책임"(으)로 총 2,079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미래 직업 200만 개 중 40만 개가 수학·컴퓨터 분야의 일자리”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않았습니다. 수학계를 위해 일해야 한다는 책임감을 느껴서 도전했지요.수학동아 : 어떤 책임감인가요?이향숙 : 수학의 사회적인 역할에 신경 쓰고 있습니다. 2016년 세계경제포럼에서 낸 보고서를 보면 앞으로 5년 뒤면 710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진다고 해요. 앞으로 새로 생기는 직업은 200만 개 ... ...
- Part 1. 북극, 빙하기 동해 닮은 비밀의 얼음 바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해령을 시추할 예정이다. 국내에서는 남승일 극지연구소 북극환경자원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이 참여해 공동연구를 한다. 시추된 빙하와 해양퇴적물을 분석하면 과거 빙하의 규모나 이동방향, 지형의 변77화, 해수면 변동 등을 정확하게 알아낼 수 있다. 연구팀은 7월 16일 현재도 북극해 ... ...
- [Tech & Fun] 우리 집 실험실 만들기 Lab Me Home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입장이었기 때문에, 장비와 시약의 정확한 가격은 몰랐다. 가격과 예산에 민감한 연구책임자급 과학자들에게 전화를 걸었다.#실패 #좌절 #망했어요흔히 보던 실험실, 싼 줄 알았지?“어떤 실험을 할 것인가에 따라 다르지 않을까요?”A 교수는 우선 목적을 물었다. 그때만 해도 기자는 꿈이 컸다. ... ...
- [News & Issue] 브렉시트, 한국 과학계엔 나비 효과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이후 연구자 중 나 같은 피해자가 또 나올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김영수(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지금 영국을 이끌어 가는 주요 산업은 크게 금융, 관광, 영어교육 세 가지다. 제조업은 아시아에 밀리고, 패션 산업은 이탈리아나 프랑스한테 밀리고, 남은 주력 산업이 별로 없다. 그만큼 일자리가 ... ...
- [Interview] “ 젊은 여성들이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돕고 싶어요”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없었어요. 제가 캄보디아에서는 처음으로 서강대에서 주는 장학금을 받고 왔던 터라 책임감을 느꼈어요. 제가 그만 두는 선례를 만들면 다른 캄보디아 학생이 장학금 과정에 지원했을 때 ‘포기할지도 모른다’는 의심을 받을 수도 있으니까요. 후배들이 불이익을 받게 하고 싶지는 않았어요 ... ...
- [Tech & Fun] 전자를 가속시켜 깨끗한 물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개발도상국의 각 분야 전문가들에게 전자빔 이론을 전수했다.유승호 첨단방사선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일부 개도국에서는 감마선을 이용해 환경오염을 처리했지만, 이 방식은 속도가 느리고 방사성 물질을 이용하기 때문에 관리가 어렵다”며 “반면 전자빔 기술은 오염물을 한꺼번에 많이 ... ...
- [매스미디어] 우주복 있음, 출장가능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증언하느냐에 따라 지구와 인류 전체의 운명이 달라진다. 십대 두 명이 그런 중요한 책임을 맡는다는 건 부당하다고 주장해 보지만 외계인 재판관은 단호하다. 까딱하다가는 지구가 멸망할 수도 있는 절체절명의 순간!그저 달에 가는 꿈을 꾸었다가 아무도 믿어주지 않을 법한 모험에 뛰어들게 된 ... ...
- [Tech & Fun] 익스팬스, 깨어난 괴물의 습격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살아가는 저온성 세균도 있습니다. 극지에서 사는 생물입니다. 이유경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지금까지 미생물이 발견된 가장 은 영하 89.2°C”라고 말했습니다.지구를 기준으로 보자면 포에베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세균은 없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아는 미생물은 지구로만 한정해도 전체 ... ...
- [News & Issue] ‘브레인푸드’, 있다,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상관관계에 대해 연구해 온 김영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은 “뇌에 좋다는 성분이 들어있는 음식을 아무리 먹어도 그 성분이 뇌로 전달되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고 설명합니다. 성분이 뇌혈관장벽(BBB)을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예를 들어 카레의 ... ...
- [News & Issue] 우주로 쏘아 올린 ‘피사의 사탑’ ‘등가원리’를 검증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넘게 실험이 이어졌고, 정밀도는 계속 높아졌다. 최기영 서울대 IBS 강상관계물질연구단 책임연구원은 미국 워싱턴대 박사과정 학생이던 2008년 지도교수와 함께 비틀림저울 실험을 해 10-13까지 등가원리 위반이 없음을 보였다. 현재까지 확인된 세계 최고 수준의 정밀도다. 최 박사는 “중력파 ... ...
이전7879808182838485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