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능"(으)로 총 2,29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인류에게 남겨진 숙제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00년 뒤에 멸망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일어나고 있는 기후 변화. 핵무기 개발, 인공지능의 진화, 자원 고갈 등의 이유로 앞으로 지구는 엄청난 재앙을 맞이할 거예요. 이런 재앙에 맞설 방법은 딱 하나 뿐입니다. 바로 ‘우주 이민’이지요. 우주는 인류의 유일한 탈출구입니다. 사람이 반드시 ... ...
- 콧대 높은 여왕들의 신경전, n-퀸즈 게임과 퍼즐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부호론과 암호론, 산업수학, 인공지능입니다. 2004년 캐나다 조합론연구소에서 주는 커크만 메달을 한국인 최초로 받았습니다. 2016년부터 대한수학회 수학문화 앰배서더로 활동 중이며, ‘감성수학레드’라는 스타트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
- [과학뉴스] 독성 분석하는 인공지능 ‘라사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미국 연구팀이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기계학습 모델을 개발했다.토마스 하르퉁 미국 존스홉킨스대 공중보건대 교수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유럽화학물질청(ECHA)이 수집한 1만여 개 화학물질에 대한 86만 건 이상의 동물실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화학물질의 독성을 예측하는 기계학습모델 ‘ ... ...
- [Culture] 영화 속 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현재 음성 변조 기술은 영화에서처럼 완벽하지는 않지만, 최근 음성 변조가 가능한 인공지능(AI)이 개발되긴 했다. 바둑 AI인 ‘알파고’를 개발한 구글 딥마인드는 사전에 별도의 처리를 거치지 않은 음성 데이터도 자연스럽게 변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5월 30일 논문 초고온라인 등록사이트인 ... ...
- [Issue] AI는 인간의 ‘후배’인가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논어’에서 공자는 ‘후생가외(後生可畏)’라는 말을 남겼다. ‘뒤에 난 사람은 두려워할 만하다’는 뜻으로 나이가 젊고 의지가 강한 후배가 ...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연구를 하고 있다.hongsikjeong@tsinghua.edu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꿈과 자부심으로 원자핵공학 한 길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사회적인 화두였는데, 그 밑바탕은 에너지라고 생각했다”며 “전력 서비스와 인공지능을 융합한 스마트 그리드를 연구해 보고 싶었다”고 말했다.손 씨가 지원한 수시 일반전형은 1차 서류전형을 통해 지원자를 추린 뒤 수학 문제를 푸는 면접 및 구술고사를 거쳐 최종 합격자를 선발한다. 그는 이 ... ...
- 하나를 가르치면 '0’을 아는 벌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말했습니다. 벌이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는지 연구하면 굉장히 효율이 높은 인공지능이나 슈퍼컴퓨터를 만들수도 있다는 것이죠. 실제로 벌의 움직임을 모방해서 만든 ‘벌 알고리듬’은 지금도 제조공학에서 유용하게 쓰입니다. 먹이를 찾아 나섰던 벌이 벌집으로 돌아오면, 정보를 교환한 뒤 비행 ... ...
- [Issue] 대구 덮친 과불화화합물 공포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세포분화와 발달, 성장에 영향을 미치고, 그 중에서도 신경세포 발달에 영향을 미칠 경우 지능저하로 이어질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과불화화합물은 화학적으로 안정하기 때문에 자연적으로는 거의 분해되지 않는다. 결국 국제사회는 2009년부터 잔류성유기오염물질에 대한 스톡홀름협약을 통해 ... ...
- [수학공작실] 빨대로 만드는 정사면체 복합체수학동아 l2018년 07호
- 결합할 때 포기합니다. 그런데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인공지능 연구소의 재커리 아벨은 재미있는 방법으로 이를 해결했습니다. 바로 빨대를 이용한 것이지요. 아벨의 방법을 이용해 정사면체-5개-복합체를 만들어 봅시다 ... ...
- [에디터 노트] ‘서밋’으로의 초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5개 분야에서 5명이 참석한다. 김상욱 경희대 교수(양자역학), 김재인 서울대 박사(인공지능), 김홍표 아주대 교수(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정재승 KAIST 교수(뇌공학), 황정아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우주 날씨)이 서밋을 이끌어갈 주인공들이다.뇌와 양자, 유전자와 AI, 우주 속에서 보이지 않던 새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