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2022년 안에 코로나 팬데믹 종식 어렵다!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보여주듯 실제로 오미크론은 2021년 11월 23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처음 확인된 이후 빠르게 퍼졌고,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새로운 확진자 중 4분의 3이 오미크론 감염자가 됐습니다 ... ...
- [THE JAMES DYSON AWARD] 세상을 바꿀 젊은 발명가들의 이야기과학동아 l2022년 01호
- 개발했는가?첫 시제품은 안압 센서를 거대한 전자장치에 고정하는 거치대 형태였다. 이후 환자와 임상의들의 조언을 듣고 센서를 장갑에 내장하는 형태로 수정했다. 장치의 크기와 무게를 줄이고, 블루투스 기능을 추가하는 등 몇 차례 개선을 거쳤다. 측정된 데이터는 모바일 기기와 연동해 환자의 ... ...
- 우주 유망 직종 TOP4 짚어드립니다과학동아 l2022년 01호
- 747 여객기를 한 번 타고 버리는 것과 같다”며 발사체 재사용 시대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이후 블루 오리진은 1단 로켓 ‘뉴 셰퍼드’를 계속해서 재사용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7월 우주여행에 나선 뉴 셰퍼드는 여덟 번째 발사였죠. 스페이스X도 2016년 팰컨9을 발사한 뒤 추진 로켓을 지상에 ... ...
- [이달의 과학사] 1927년 1월 13일 예쁜꼬마선충을 스타로 만든 생물학자 시드니 브레너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약 10년의 연구 끝에 1974년, 브레너는 예쁜꼬마선충의 유전학에 대한 논문을 발표합니다. 이후 예쁜꼬마선충을 주인공으로 한 수많은 연구가 쏟아졌어요. 시드니 브레너도 예쁜꼬마선충으로 세포가 스스로 죽는 세포자살에 대해 밝혀 200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지요. 2006년, 2008년 노벨상도 ... ...
- [2022 필즈상 예측] 마리나 비아조프스카 교수, 허준이 교수수학동아 l2022년 01호
- ICM 초청 강연자로 초청받아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합니다. 2016년 수학계를 놀라게 한 연구 이후 계속 연구 성과를 내는 비아조프스카 교수가 과연 2022년에 필즈상을 받을 수 있을까요? 그 결과가 궁금합니다. ※편집자주2022년 7월 6일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리는 세계수학자대회(ICM) ... ...
- [엣지 사이언스] NASA 임무 나서는 한국 달 관측기기과학동아 l2022년 01호
- 개발 주체는 NASA와 국제 협력관계를 맺고 있는 천문연이 국내 공모를 통해 선발했다. 이후 천문연 주관아래 대학과 민간기업이 협력해 개발하고 있다.LVRAD는 달의 방사선 환경을 측정하는 장치로, 향후 유인 임무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달은 대기층이 매우 얇아 우주에서 날아오는 ... ...
- 우주, 미래 산업의 무대가 되다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덕분에 가능했다. 2016년 미국 국방부 예하 국방혁신단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 이후 민간 기업과 미국 정부의 연구개발비 격차는 두 배 이상 벌어졌다. 록히드 마틴, 노스럽 그루먼 등 전통 방위산업체는 다른 분야의 테크 기업에 비해 연구·개발에 큰 투자를 하지 않는데, 이 점도 민간 우주 ... ...
- [SF소설] 계산하는 우주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일부 파괴돼 저주가 시작된 정확한 날짜를 기억하지 못했다. 2370년 어느날, F빌드 및 그 이후 버전의 인공지능들은 서로 일정 거리 이상 접근하면 오작동하기 시작했다. 접근이 오래 유지되면 인공지능은 작동 불능 상태에 빠졌다. 미세자기장의 간섭만으로는 그처럼 치명적인 문제를 설명할 수 ... ...
- [특집] COP26 왜 숙제 검사였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COP26이 얼마나 중요한 회의이기에 전 세계 사람들이 영국까지 모인 걸까요? 또, 어떤 점에서 ‘숙제 검사’라 할 수 있는 걸까요? COP26 회의장인 ‘스 ... 기계화가 이뤄지는 현상. 18~19세기 산업혁명 때 화석연료로 기계를 작동시키기 시작해, 이후 지구 평균 기온이 인류의 영향으로 올랐다 ... ...
- [만화 뉴스] 건물이 스스로 회복한다고? 살아있는 3D 프린터 잉크!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유전자를 변형시켜 혈액을 굳게 하는 ‘피브린’ 단백질을 분비하도록 유도했습니다. 이후, 피브린 단백질만 추출하여 젤라틴 형태를 한 잉크를 만들었어요. 또한, 2종류의 기능성 대장균도 추가해 살아있는 3D 잉크를 완성했지요. 연구팀은 “미생물 잉크 연구로 손상된 부분을 스스로 치유하는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