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과학 교과서] 사라진 공룡을 찾고 있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심각한 산불이 발생했지요. 충돌로 발생한 먼지는 지구를 비추는 햇빛을 차단하여 충돌
이후
수년 동안 지구의 온도가 크게 떨어졌습니다.여기까지가 소행성 충돌로 인한 공룡 멸종설이에요. 1980년, 처음 이 주장이 발표되었을 때 큰 논쟁이 일어났어요. 가장 큰 문제는 소행성이 충돌했다면 ... ...
[수학뉴스] 폭풍해일을 잠재우는 식물이 있다?
수학동아
l
2022년 01호
특히 1단계와 3단계 모형 식물은 잎이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구분해 만들었어요.
이후
거대한 물탱크에 해안 환경을 만들고, 해안선을 따라 모형 식물을 심은 뒤 인공 파도가 치게 했어요. 그 다음 모형 식물을 지나면서 파도가 얼마나 약해졌는지를 측정해 점그래프로 정리했어요. 그 결과 가장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따뜻한 방 안에서 어른을 위한 눈놀이를 하자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염화암모늄을 용액에서 분리할 수 있습니다. 100℃의 물에 염화암모늄을 74.1g 녹입니다.
이후
온도를 0℃까지 낮추면 최대한 녹을 수 있는 양이 29.4g로 줄어들면서 나머지 44.7g은 다시 고체 상태로 분리됩니다. 이를 석출이라고 부르죠.설명이 복잡했습니다만, 사실 이번 실험의 매력은 쉽다는 겁니다. ... ...
[이달의 기후위기] 들쭉날쭉한 강릉 해변 동해안 모래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가을 거센 파도가 할퀴고 간 흔적이었다. 모래가 깎이다 못해 도로까지 위협하다 11월
이후
점차 회복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1m 넘는 절벽이 남아있을 만큼 모래 유실이 심각하다. 동해안은 최근 몇 년 사이에 모래 유실로 몸살을 앓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 유실이 유독 심각했다는 게 현지 사람들의 ... ...
[과학뉴스] 세계 최초 살아있는 로봇, 스스로 번식까지 한다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활용할 수 있다.이를 위해 제노봇을 더 깊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2020년 제노봇이 등장한
이후
제노봇을 기계와 살아있는 유기체 중 무엇으로 볼 것인지를 두고 논쟁이 계속됐다. 이번 연구 결과로 제노봇을 디스토피아 SF영화의 소재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지만, 제노봇은 인류의 문제를 해결하는 ... ...
[논문탐독] 데이터 쪼개고 합쳐 구축한 스마트팩토리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불규칙성이나 반복성 등 패턴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이미지 데이터에서 특징을 추출한
이후
에는 기계학습을 시켜 분류기를 만들었습니다. 기계학습으로 분류기를 만드는 방식은 원리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이번 논문에서는 인공신경망(ANN)과 랜덤 포레스트(RF), 서포트 벡터 머신(SVM) 등 ... ...
[과학 뉴스] 사람이 아니였어?! 생생한 표정의 휴머노이드 공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와봇 1’은 표정 흉내는커녕 미리 입력된 간단한 질문에 답할 수 있는 정도였습니다.
이후
로봇 공학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인공지능 기술이 꾸준히 발전하면서 사람 표정을 자연스럽게 흉내 내는 단계까지 발전했습니다. 한국 역시 KAIST 연구팀이 2004년부터 휴머노이드 ‘휴보’를 연구하고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로 나누는 다양한 새해 인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위 선원들이 멀리 떨어져 있는 가족들에게 새해 인사를 전하기도 했어요. 90년대
이후
엔 PC통신과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디지털 소통이 폭발적으로 증가했어요. 텍스트 중심의 의사소통에 만족하지 못했던 네티즌들은 진화한 방식의 디지털 의사소통 방법을 개발합니다. 바로 현대의 상형문자라고 ... ...
세계적인 수학자 故 김범식 교수님을 그리며…
수학동아
l
2022년 01호
있었고, 난관을 만났을 때면 뛰어난 돌파력을 보여주었다. 학교는 내가 먼저 갔지만, 그
이후
엔 내가 간 곳엔 항상 그가 먼저 가 있었으니 선배(先輩)로 불러도 손색이 없다. 내가 가는 곳마다 미리 가서 준비해 주던 선연(善緣)의 학자를 잃게 되어 애석하고 애통하다. 부디 안식하시라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1장. 역설 속으로!
수학동아
l
2022년 01호
무엇인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해 주는 보물창고이기도 합니다. 실제로 역설은 19세기
이후
수학의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우리가 사용하는 수학 체계로 증명할 수 없는 명제가 반드시 있다는 ‘괴델의 역설’이에요. 이 역설은 수학자들이 ‘더 나은 수학 체계’를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