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산"(으)로 총 4,42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암세포가 서로 협력한다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약해진다. 상리공생은 둘 이상의 클론이 협력해 전체 암 군집에 이득이 되는 인자를 생산하거나 자원을 획득하는 작용이다. 종양내이질성을 크게 만들어 전체 암 군집의 생존력을 높인다. 동반상승효과는 둘 이상의 클론이 협력해, 전이능력처럼 개별적으로는 얻지 못했던 새로운 효과를 만들어내는 ... ...
- 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듀럼밀이 유래했다. 일명 ‘건강한 밀’로 불리는 호라산밀은 미국의 한 업체가 대량생산해 ‘카무트밀’이라는 이름으로 판매하고 있다. 이 밀이 건강에 좋은 이유는 일부 사람에게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글루텐 함량이 적고 전분이 많아 칼로리가 낮을 뿐 아니라, 항산화물질인 셀레늄과 ... ...
- Part 3. 마실물 만드는 별별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염생 식물인 맹그로브를 따라해 볼까?보통 식물들은 염분이 많은 땅에서는 살지 못해요. 그런데 맹그로브는 바닷물에서도 살 수 있어요. 그건 뿌리 덕분이랍니다. 뿌리가 염분을 들어오지 못하게 막고, 물만 흡수하는 거예요.이상준 포스텍 기계공학부 교수팀은 맹그로브 뿌리의 원리를 이용해 바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의심치 않았다. 만약 ‘바이오로깅’이 없었다면 이런 오개념이 상식이라는 이름으로 재생산되고 있을 터였다. 바이오로깅은 야생동물에 기록계를 붙여 행동과 생태를 연구하는 기법으로, 흔히 위치 추적기를 붙여 동물의 이동 경로를 밝힌다. 카메라를 부착해 동물의 시점으로 사냥 장면을 ... ...
- Intro. 바닷물을 꿀꺽꿀꺽?! 물 부족을 해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안녕! 나는 바다초등학교 4학년 김물이야. 나는 물을 가지고 노는 게 너무 좋아~! 언제 어디서든 수도꼭지만 열면 물이나오잖아! 물을 콸콸 틀어놓고 물장난을 하는 거지. 세수를 하거나 이를 닦을 때도 물장난을 하면 지루하지않고 재밌다구. 크크~. 헉! 그런데 갑자기 왜 물이 안 나오지? 머리 감으 ... ...
- Part 1. 물 진짜 부족한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세계 인구의 70%가 물 스트레스에 시달린다?우리는 물을 풍부하게 쓰고 있지만, 전세계적으로 보면 물 부족 문제는 매우 심각해요. 지구에는 물이 풍부하지만, 그 중 97%는 바닷물이에요. 사람이 마시고 쓸 수 있는 물인 담수는 지구 전체의 2.5%밖에 되지 않아요. 그 중에서도 대부분은 빙하나 만년설, ... ...
- [과학뉴스] 비밀 임무 수행하고 2년 만에 우주에서 돌아온 X-37B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크기다. 비행 궤도와 고도를 자유롭게 수정할 수 있으며, 태양전지를 이용해 에너지를 생산하기 때문에 오랜 기간 우주에 머물 수 있다. 2010년부터 지금까지 총 네 차례 우주에 머물면서 베일에 싸인 임무를 수행했다.미국 공군은 X-37B의 임무가 공군에서 사용할 신뢰도 높은 재사용 무인 우주 시험 ... ...
- [Future] 나노셀룰로오스의 세계, 나무 갈아 배터리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하루 1t씩 생산하는 설비를 구축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생산 원가를 줄이고 균일한 생산품을 만드는 게 목표다. 윤 교수는 “나노셀룰로오스 기술이 무르익기 시작했다는 뜻”이라며 “현재 뚜렷하게 앞서 나가는 국가가 없는 만큼, 한국도 투자해 연구를 선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더 ... ...
- [Issue] 슈퍼박테리아 비상, 그런데… 한국엔 재래식 무기만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문제지만 아프다가 조금 괜찮아졌다 싶으면 스스로 약을 중단한다. 이건 몸속에 내성균 생산공장을 마련해 주는 것”이라며 “의사와 의견을 조율해 시기와 복용량을 조절해야 한다”고 말했다. + 더 읽을거리‘내성이 생기지 않는 새로운 항생제’ doi:10.1038/nature14098인간은 왜 세균과 공존해야 ... ...
- [Career] 번개 구름 흉내 낸 나노발전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전기를 공급하는 문제를 해결할 필요성을 느꼈다. 그는 “주변의 에너지원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을 떠올렸다”면서 “특히 정전기 현상을 이용한 나노발전기에 관심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이렇게 해서 탄생한 것이 번개구름을 흉내 내서 만든 ‘고효율 나노발전기’다.연구팀이 주목한 것은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