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1969년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델브뤼크와 루리아는 박테리오파지 증식 과정을 이론적인 방법으로 분석했다.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은 델브뤼크는 박테리오파지 연구에 푸아송 분포와 같은 통계학적인 도구를 도입했다.1940~1945년 그는 감염이 지속된 시간, 감염된 박테리아에 의해 생성된 박테리오파지의 수 등을 분석해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한편 1973년 당시 록펠러대
박사
후연구원이었던 랠프 스타인먼은 최초로 수지상세포를 발견했고, 2011년 스타인먼이 생을 마감할 때까지 그의 연구실은 수지상세포만 연구했다. 이를 통해 수지상세포가 포식 작용과 같은 선천 면역반응을 하는 ... ...
독수리 ‘하나’가 동물원에 온 사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수의사충북대학교에서 멸종위기종 삵의 마취와 보전에 관한 주제로 수의학
박사
를 받았다. 청주동물원과는 학생실습생으로 인연이 되어 일을 시작했고, 현재는 진료사육팀장을 맡고 있다 ... ...
[이달의 수학자] 끈기로 꽃피운 소신 스티븐 스메일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포기했을 수도 있었습니다.하지만 스메일 교수는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어렵사리
박사
학위를 받은 뒤부터 빛을 발하기 시작했죠. 역사적인 난제인 ‘푸앵카레의 추측’이 5차원 이상에서 성립한다는 것을 증명해 수학계의 주목을 받았고, 그 업적으로 1966년 필즈상을 수상했습니다.스메일 ... ...
2014년 에볼라바이러스┃피 토하며 죽게 만드는 치명적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 무렵 수단에서도 비슷한 감염병이 돌았다. 벨기에 바이러스학자 피터 피오트
박사
는 수단 환자의 혈액과 조직 시료를 받아 새로운 바이러스를 발견했다. 1983년 이 미지의 바이러스는 자이르에서 유행한 바이러스와 같은 에볼라바이러스지만, 다른 종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현재까지 밝혀진 ... ...
B림프구...항체 생산하는 면역의 종결자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만드는 세포는 뭘까. 1956년 당시 미국 오하이오농업실험스테이션 소속의 브루스 그리크
박사
는 갓 부화한 닭의 꼬리 아래 부위에 있는 윤활주머니(bursa of Fabricius)를 없애자 항체가 전혀 생성되지 않는 것과 달리 성체가 된 닭은 이 기관이 없어도 항체를 일부 생성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 ...
[에디터노트] 바이러스 특별판을 펴내며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T세포의 작동 원리를 밝혀 1996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피터 찰스 도허티
박사
와는 직접 e메일 인터뷰를 진행해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와 같은 신종 바이러스를 잡을 방안을 들었다. 과학은 인간과 인간을 둘러싼 세계를 탐구하는 과정이며, 이 과정에서 얻은 지식을 이용해 인류의 번영과 ... ...
2008년 에이즈와 자궁경부암 바이러스를 발견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2008년 노벨위원회는 몽타니에와 바레시누시의 손을 들어줬다. 당시 노벨위원회는 “갤로
박사
도 에이즈를 일으키는 바이러스를 분리하는 데 성공했지만, LAV와 매우 유사함을 보여주는 데 그쳤다”고 설명했다. 바레시누시는 2015년 CNN과의 인터뷰에서 “HIV를 발견할 당시 순진했던 우리는 ... ...
1980년 면역거부반응의 이유를 찾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가능했다”며 “갑작스러운 죽음을 맞이했지만 H2항원 유전자를 함께 발견한 피터 고어
박사
덕분에 연구의 원동력을 얻을 수 있었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 ...
[포토뉴스] 피겨 스케이팅 기술, 수학으로 연마한다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공간에서 피겨 스케이터의 몸이 어떻게 움직이는지까지 설명할 수 있게 확장했습니다.
박사
과정생이자 20년 차 아마추어 피겨 스케이터인 메건 홀이 실제 스케이트를 타면서 식을 바탕으로 만든 모형을 검증했죠. 논문은 현재 학술지에 제출된 상태입니다. 새로운 모형이 옳은 것으로 확인되면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