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박사"(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남극대륙에서 4000만 년 전 개구리 화석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000만 년 전, 남극은 어떤 곳이었을까요? 지난 4월 24일, 스웨덴 고생물학자 토마스 모레스 박사팀은 4000만 년 전 남극대륙이 지금처럼 얼음으로 뒤덮인 대신 개구리가 서식할 수 있을 정도로 비교적 온화하고 담수가 흐르는 곳이 있었다고 발표했어요.연구팀은 2011년부터 2013년 사이 남극대륙의 북쪽 ... ...
- 추석 모듬전, 고소한 맛의 비결은?과학동아 l2020년 10호
- 튀김 요리에는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임두원 서울대에서 고분자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졸업 후 기업에서 연구 개발을 하다가 과학기술부로 자리를 옮겨 과학기술 정책 기획을 담당했다. 현재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연구관으로 근무하며 일반 대중들에게 과학을 쉽게 전달하기 위해 ... ...
- [특집] 클라우드 신뢰점 문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교수다. 서울대에서 컴퓨터공학을 공부하고, 미국 일리노이주립대(UIUC)에서 전산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소프트웨어 분석과 컴퓨터 시스템 최적화 연구를 기반으로 시스템 보안을 연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인공지능(AI)과 보안을 접목하는 기술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ypaek@snu.ac ... ...
- 네가닥으로 꼬였다! DNA 4중나선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에서 박사후연구원을 거쳐 2000년부터 성균관대 의대 교수로 재직 중이다. Z형 DNA 등 이형핵산에 대한 연구를 20여 년간 수행하고 있다. kyeongkyu@skku ... ...
- [기초과학의 힘, IBS] 나노입자 연구단, 원자 수준으로 관찰하는 나노입자의 3D 증명사진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것이다. 박정원 2012년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화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후 2016년까지 하버드대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했다. 2016년 9월부터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 연구단 연구위원이자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로서 나노 재료 실시간 분석 기법 개발, 액상 ... ...
- ‘테넷’ 시간 역행, 현실에서 따라잡기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될 것이다. 이무성 KAIST 물리학과 시간역행반사연구단 및 의광학 연구실에서 박사과정 연구원으로 있다. 고해상도 현미경 기술 개발, 광학 집게를 이용한 세포 역학 연구 등 의광학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lkaamo@kaist.ac.kr 용어정리* 공간광변조기(Spatial Light Modulator)영상이나 패턴을 표시하기 ...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잘못? 러시아 잘못? 나로호 발사 실패 책임 공방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급기야 흐루니체프사의 부사장이자 러시아측 나로호 발사 책임자인 유리 바흐발로프 박사는 회의 도중 “안녕히 가시라” 소리를 지르며 책상을 내리친 뒤 회의장을 박차고 나가버렸다. 국제 협력 관계에서 도저히 있을 수 없는 무례와 횡포였다. ‘기술이 깡패’라는 말을 떠올리며 씁쓸히 ... ...
- 숲속 히어로즈, 수학으로 지뢰를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10호
- 구할 히어로를 모으는데…. 평소 지뢰에 이를 갈고 있던 토끼 프로그래머, 여우 수학 박사, 두더지 스파이가 모여 지뢰찾기 히어로즈가 결성됐다. 이들은 과연 지뢰를 완벽히 찾을 수 있을까?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숲속 히어로즈, 수학으로 지뢰를 찾아라Part1. 지뢰찾기 필승 전략은 ... ...
- [2교시 실험편] 즐거운 실험시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과학 실험하는 멋진 섭섭박사님이 있다고 들었어요. 언젠가 한국에 방문하면 섭섭박사님, 어과동 친구들과 함께 실험하고 싶어요. 언젠가 직접 만날 날을 기약하며~! 안녕! 국경 없는 교사회를 꿈꿔요!안녕하세요! 저는 경남 창원 자은초등학교 선생님이자 유튜브 채널 의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196,883 차원의 대칭 괴물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여러분은 특별히 좋아하는 숫자가 있나요? 행운의 7? 한국인이라면 삼세번의 3? 수학을 좋아하면 누구나 한번쯤 외워보는 원주율? 저도 좋아하는 숫자가 여럿 있지만, 이번엔 그중에서도 군론에서 빼놓을 수 없는 거대한 숫자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우리 생활에서 흔히 접하는 수는 자연수예요 ... ...
이전7879808182838485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