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동안"(으)로 총 12,286건 검색되었습니다.
- [핫이슈] 스파게티 면 던지지 마세요! 면들이 서로 붙은 정도만 확인하세요~수학동아 l2022년 07호
- 두 면발이 얼마나 붙는지 확인했어요. 그 결과 반지름이 1mm인 스파게티 면을 30분 동안 물에 삶으니 1.7mm까지 반지름이 늘어났어요. 4시간까지 삶아봤는데 면발은 1.96mm까지만 늘어나고 더는 불어나지 않았지요. 또 두 면발은 면이 익어감에 따라 끝에서부터 붙기 시작했는데, 떨어진 부분의 길이를 ... ...
- [특집] 테라·루나 왜 폭락했을까과학동아 l2022년 07호
- 개발자 인터뷰 언제부터 테라폼랩스에서 일하셨나요?2020년 7월부터 11월까지 4개월 동안 테라폼랩스에서 일했어요. 삼성리서치 아메리카에서 인턴을 마치고 한국에 왔다가 테라폼랩스에 다니던 한 직원의 추천으로 입사하게 됐습니다.당시 테라폼랩스에는 테라-루나가 서로 가격을 뒷받침한다는 ... ...
- “모든 해안이 그 지역의 영웅을 가질 수 있도록”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시간 동안 토착민 사회의 이야기는 가려져 왔습니다. 너무도 오랫동안 억압된 우리의 목소리를 들어주세요. 모든 해안이 그 지역의 영웅을 가질 수 있도록.”아샤 드 보스는 스리랑카의 해양생물학자다. 그녀는 “여섯 살부터 해양 포유류를 살리려는 노력을 해왔다”며 “내가 특히 애정을 가지던 ... ...
- 네, 그래서 이과가 힐링팩터를 만들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상처도 금방 낫는 능력 ‘힐링팩터’가 있는 캐릭터죠. 살짝 화도 났습니다. 이과는 그동안 뭘 했길래 아직 힐링팩터 하나 개발을 못 했나 싶었죠. 그러다 ‘잠깐만, 이거 기사 아이템 각이잖아?’란 생각이 들자 화가 사르르 풀렸습니다. 1단 가지고 있는 걸 활용하자 우린 그걸 치유라고 ... ...
- 쥬라기 월드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그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처음 퍼지던 때를 떠올린다. ‘뭐, 3년 동안 마스크도 쓰고 살았는데 공룡이라고 익숙해지지 못할 건 뭐람.’ 벤치에 기대 눈을 감는다. 어떤 녀석일지 모를 공룡 울음소리가 멀리서 울려 퍼진다. 웰컴 투 쥬라기 월드다.위 이야기는 지난 6월 1일 ... ...
- [방탈출 in 스페이스] 포털의 비밀을 찾아 은하 도서관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은하 도서관이구나!”내비게이션을 따라 우주선이 자동항해를 하는 동안 잠들었던 수연이 눈을 비비며 소리쳤다.“맞아. 여긴 온 우주의 정보가 모이는 곳이니, 아마 포털의 비밀에 관한 실마리도 찾을 수 있을 거야.”동글이가 웃으며 이야기했다.“그런데 입구는 어디에 있을까?”수연이 ... ...
- 우주 공장에서 만드는 물방울 렌즈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제작된다면 큰 비용을 들여 우주로 쏘아 올려야 한다. 로켓에 실려 대기권을 통과하는 동안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을 막기 위해서도 막대한 비용이 필요하다. 반면 우주에서 직접 렌즈를 만든다면 여기에 드는 비용을 아낄 수 있다는 계산이다.우주 공간에서의 본격적인 유체망원경 실험은 최초의 ... ...
- [SF소설] 나와의 다세계적 채팅방 해석과학동아 l2022년 07호
- 로그만으로 자세한 걸 알 수는 없었지만, 또 다른 나는 내가 응급실에 뻗어있는 동안에도 메시지를 보냈다. 그리고 내가 지수한테 채팅방을 보였을 땐 얽힘이 풀려있었다. 왜지?내가 깨어나서 했던 일: 지수한테 채팅방을 보여준 일… 보이다… 보다… 관찰. 관측?혹시 타인이 채팅방을 보는 행위가 ... ...
- [통합과학 교과서] 오작교를 대신할 자동차?!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언젠가 지구 혹은 금성에 충돌할 거라고 예측했어요. 다만 그 확률은 다음 100만 년 동안 각각 6%, 2.5%로 굉장히 낮아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어요. 또, 2091년에는 로드스터가 발사 후 지구와 처음으로 가까워져 약 수십 만km 떨어진 거리에 있을 예정이에요. 로드스터와 스타맨이 지구에게 가까이 올 ... ...
- [그래프 뉴스] 한국에서 겨울 나기! 2691km 날아온 흑고니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6호
- 우리나라 연구팀이 이 혹고니의 이동 경로를 파악했어요. 추적 결과, 혹고니는 90일 동안 2691km가 넘는 거리를 움직였어요. 2021년 10월 15일 몽골에서 출발한 뒤 16일 북한 두만강 하류 근처인 동번포를 지나 20일 강원도 강릉으로 내려왔어요. 동해안 근처를 오르내리던 혹고니는 12월 4일 서해안인 인천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