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관측"(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왜행성 ‘하우메아’서 고리 발견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점이다. 이런 이유로 명왕성이 행성에서 왜행성으로 강등됐다. 연구팀은 유럽 지역의 관측소 10곳에서 망원경 12대로 하우메아를 관찰한 결과 반지름 약 2287km, 폭 70km 정도인 고리를 발견했다. 또 하우메아에는 대기가 없을 것으로 추정됐다. 이번 발견이 중요한 이유는 지금껏 태양계에서는 목성과 ... ...
- Part 1. 北 핵실험,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또 “화산이 분화하기 전에는 반드시 작은 지진과 같은 전조현상이 발생하는 만큼 이를 관측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에이셀버거 교수는 “일부 화산은 일정한 분화 주기를 가지고 있는 반면 백두산은 그렇지 않은 것 같다”며 “우리가 살아 있는 동안 분화할 수도 있고, 그렇지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사건으로 기록될 것이다. 이는 시작일뿐이다. 앞으로 중력파를 이용해 그 동안 광학 관측만으로는 볼 수 없었던 우주의 새로운 비밀을 파헤치고 이해하게 될 것이다. 정말 기대된다 ... ...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리서치 프론트 보고서에 따르면, 이 분야의 핵심 논문 42편 중 27편이 플랑크 위성의 2013년 관측 결과를 분석한 결과다.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 우주의 팽창률, 허블 상수 등 WMAP이 기존에 얻은 우주론적 매개 변수 등을 증명하거나 정정하는 성과를 올렸다. 화학상 : 조명과 차세대 배터리가 ... ...
- Intro. [프리미엄 리포트] 2017 노벨과학상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확인되고 이듬해 물리학상이 주어진 것과 비슷한 패턴이다. 중력파는 2015년 9월 처음 관측된 이후 2016년 발견이 공식적으로 인정됐고, 올해 물리학상 수상에 성공했다. 유도만능줄기세포(iPSC)이후 최근 가장 많은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는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는 생리의학상 수상에 실패(? ... ...
- Part 3. 꺼진 불도 다시 보는 진화 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산 위의 기상을 측정하는 기기로, 전국 주요 산에 200개가 설치돼 있어요. 이 관측망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한 기상 자료들은 기상청 정보와 합쳐져 예측 프로그램으로 보내진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긴급취재, 산불을 막아라!Part 1. 72시간 동안 태백산맥이 활활~!Part 2. 사람이 ... ...
-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있다. 이상적으로는 어떤 계산법을 택하더라도 지진 규모 값이 같아야 한다. 하지만 관측할 수 있는 범위가 한정적이고, 아직까지 지구 내부의 지진학적 특성에 대한 이해가 불완전하다. 특히 핵실험으로 생기는 인공지진은 자연지진과 발생 원리 자체가 다른 만큼 정확한 세기를 결정하기가 더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4화] 지구와 달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날씨를 관측할 수 있답니다. 매일 매일 일정한 간격으로 시간을 정해 놓고 꾸준히 날씨를 관측하고 기록하며 기상학자의 꿈을 키워 보세요!‘화산 폭발’ 모형으로는 근사한 화산을 만들어 볼 수 있답니다. 종이로 틀을 만들고 그 위에 석고붕대를 붙여 주기만 하면 손쉽게 화산이 뚝딱! 물감으로 ... ...
- [Issue] 토성 탐사 20년 그 위대한 기록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이런 폭풍은 대류 현상이 잦은 가스형 행성에서는 흔히 나타난다. 목성에서도 자주 관측된다. 그런데 토성의 폭풍은 목성과 달랐다. 목성의 폭풍은 행성 외부로 높이 솟아오르는 반면, 토성은 그렇지 않았다. 또 평소 토성의 폭풍은 규모가 지구의 폭풍보다 훨씬 작은데, 괴물급 폭풍은 구름의 ... ...
- Part 3. 우주는 한 개가 아니다?수학동아 l2017년 09호
- 그 실체가 있다는 가설이다. 관측을 통해 발견하지 못한 새로운 우주인 것이다. 실험이나 관측을 통해 얻어낸 과학 법칙들은 하나 같이 수학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데, 테그마크 교수는 이것을 거꾸로 생각했다. 테그마크 교수는 유별난 사람이다. 저서 ‘맥스 테그마크의 유니버스’에서는 1998년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