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뉴스
"
우리
"(으)로 총 9,805건 검색되었습니다.
[기고/남승일]세계가 북극으로 몰려드는 까닭은
동아일보
l
2015.01.29
대한 탐사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해빙이 녹으면서 열리는 북극 항로는
우리
나라를 비롯한 동북아 국가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관심사가 됐다. 현재 독일 중국 노르웨이는 향후 북극에서 기득권을 확보하기 위해 최첨단 장비와 쇄빙능력을 가진 쇄빙선 건조에 전력하고 있다. 아라온호가 ... ...
아이 러브 ♥ 고기
2015.01.28
치우는 유익한 기능이 있기 때문에 노년의 치매나 뇌졸중과 관련이 있어도 계속
우리
의 유전자 속에 남아있는 것입니다. 고기를 먹을 수 있는 능력은 공짜가 아니라, 노년에 치러야 할 위험부담을 감수하고 얻은 적응 능력인 셈입니다. ※ 동아사이언스에서는 미국 UC리버사이드 이상희 교수의 ... ...
은하의 자기장초상화
과학동아
l
2015.01.28
우리
은하의 ‘자기장초상화’다. 유럽우주국(ESA)은 2009년 쏘아 올린 플랑크 위성으로
우리
은하의 자기장 분포를 관측해왔다. 자기장을 조사하면 성간물질의 분포와 구성을 알 수 있다. 미세한 가스와 먼지로 이뤄진 성간물질은 은하 자기장 방향에 따라 자성을 띄기 때문이다. 사진에서 ... ...
‘감칠맛’ 잃으면 건강 잃는다
2015.01.26
주장이 제기되며 논란이 많았다. 하지만 최근에는 MSG가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성분이며
우리
몸이 MSG를 적절히 통제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연구진은 식욕 부진과 체중 감소를 겪고 있는 노인 환자 44명 중 일부에게서 감칠맛을 느끼는 능력이 손상돼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다른 네 ... ...
휴머노이드, ‘에이바’가 아닌 ‘헬렌’을 꿈꾸며…
2015.01.26
제공 특집에서 데니스 노밀이라는 작가가 일본 현지에서 취재한 글을 보면 소셜로봇이
우리
삶에 미칠 영향이 어떤 성격일지 짐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시구로 박사팀은 제미노이드 F(feminine, 즉 여성을 뜻한다)라는 안드로이드를 오사카백화점의 의류코너에서 2주 동안 아르바이트를 시켰는데 ... ...
국내 원자력계의 ‘대부’ 한필순 원자력연 고문 별세
2015.01.26
됐다. 남장수 한국원자력학회 사무총장은 “고인의 리더십과 추진력이 없었더라면
우리
가 원자력 기술 자립은 요원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1933년 평남 강남군에서 출생한 고인은 공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다시 서울대 문리과에 진학했다. 서울대 졸업 후 미국 일리노이대에서 물리학 석사, ... ...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은 과학이 그렸다?
2015.01.25
있었다. 또 땅에 세운 막대기의 그림자를 이용해 지구의 둘레를 측정한 사람도 있었다.
우리
가 세상을 보는 시각을 바꿔 놓거나 완성시키는 것은 이런 사람들의 남다른 생각이다. 이런 생각 중에서 우주에 대한 아이디어와 발견, 실험 100가지가 한 권의 책에 담겼다. 책에는 “그래도 지구는 ... ...
간을 지키는 5가지 식품? “마늘부터 올리브오일까지”…그 효능은?
동아닷컴
l
2015.01.23
레몬과 라임이다. 레몬과 라임은 비타민C가 풍부한 대표적인 식품이다. 이 비타민C는
우리
몸속에서 독소들이 물에 잘 녹는 성분으로 합성될 수 있도록 돕는다. 레몬이나 라임의 즙을 짜서 매일 아침 주스 형태로 섭취하면 간 활성화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넷째는 ‘대체 곡물’이다. 체중 감량을 ... ...
IS, SNS로 10대 포섭 ‘인터넷 지하드’ 현실로
동아일보
l
2015.01.23
몇 달간 혼자 매우 조용히 지내면서 SNS로 무언가를 하고 있었다. 인터넷이 없었다면
우리
아들이 이렇게 되진 않았을 것”이라고 CNN에 전했다. 여기에다 SNS를 통해 시리아로 건너가 지난해 초부터 6개월간 IS의 ‘홍보모델’ 역할을 했던 오스트리아 소녀 2명은 지난해 10월 “집에 가고 싶다”며 ... ...
IS 대원이 되고 싶은 김 군의 뇌 구조는?
2015.01.23
과거에는 10대 시절을 사춘기로 봤지만, 요즘에는 사춘기가 20대 중반까지 이어지고 있다.
우리
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현상이다. 김 원장은 “옛날에는 10대 후반이면 결혼을 해 어른으로 출발했지만, 요즘에는 교육 기간이 길어지면서 사춘기도 함께 길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중2병이 ... ...
이전
864
865
866
867
868
869
870
871
8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