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1 시간은 비대칭, 미래로만 일방통행과학동아 l1995년 04호
- 과거로의 시간여행이 불가능하다는 것, 즉 시간의 대칭성이 깨어짐은 우주가 무한하지 않고 광속보다 빠르게 여행할 수 없다는 특수상대론의 결론에 따른 것이다.우리는 특이한 우주에 살고 있다. 왜냐하면 우리는 시간이 항상 과거에서 미래로 흐르는 세상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더 특이한 점은 ... ...
- 한강 개발 이후 조류생태계 급변과학동아 l1995년 04호
- 거의 식물성 먹이를 취식하는 흰죽지가 주종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이같은 사실은 '대학연합야생조류연구회'(단국대 대구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이화여대 포항공대 한남대)가 '86-'95년 10년간 회원 3백30여 명을 동원, 매년 1월 말-2월 초 경기도 고양시 신평동에서 양평군 양수리까지 한강유역 65㎞, ... ...
- 2 '과학자 우대' 옛말, 행정눈치보는 샐러리맨 전락과학동아 l1995년 04호
- 고질적인 문제점에서 비롯됐다고 KAIST 전산과 이광형 교수는 진단 한다."우리나라 이공계 대학에는 스페스픽(specific)한 교육만 있고 제너럴(general)한 교육이 없다. 다시 말해 전공에 매달려 최소한의 교양만을 가르치고 있을 뿐이다. 이같은 교육제도가 특히 사농공상의 전통적 관념이 강하게 남아 ... ...
- 3. 꿈의 에너지 핵융합, '인공태양'까지 구상과학동아 l1995년 03호
- 미국의 국립 연구기관들, 일본의 국립핵융합 과학연구소(NIES) 등과의 국제 협력과 국내 대학과 연구기관 간의 공동 협력 연구에 의해 초전도 컴팩트형 토카막인 STarX(Superconducting Tight-aspect-ratio eXperiment)장치, 즉 '인공 별 실험' 장치가 설계되고 있다. 이 장치가 개발돼 실험에 돌입될 2001년 ...
- 1. 사용자 신체·심리 특성 맞춰 제품 만든다과학동아 l1995년 03호
- 벽 헐기에 힘쓰고 있다. 앞으로 국민학교에서부터 인간공학의 개념을 가르치며 이공계 대학의 대부분 학과에서도 기본적인 내용이 강의될 수 있다면 우리의 삶과 노동의 질이 조속히 향상되는 데 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상상해 본다 ... ...
- 허블 망원경 최신 우주 통신과학동아 l1995년 03호
- 우주론에 등장하는 수치들에 대하여 좀 더 신뢰할 만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워싱턴대학의 바움(W. A. Baum) 등이 구상성단들의 밝기분포로부터 계산한 NGC4881까지의 거리는 1백 메가파섹(Mpc)보다 먼 것으로 나타났으며, 허블상수는 70㎞/초/Mpc보다 작아야 한다. 이 결과는 과학동아 2월호에 소개했던 ... ...
- 사진으로 떠나는 별자리 여행과학동아 l1995년 03호
- 밝은 별들이 나비 모양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③ 보름달 1995.1.16 서울대학교 교내 vixen ED 130㎜, Pentax ME super, 필름 velvia 50, EM 200 1/120초보름달은 해가 지고 난 후 동쪽 하늘에 보이기 시작하며 자정 무렵 남중한다. 그 시간쯤이면 고도도 높아지고 빛줄기를 가진 멋진 크레이터들 ...
- 옛지도과학동아 l1995년 03호
-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지도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것은 현재 일본 교토의 류코쿠 대학에 전해지는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混一疆理歷代國都之圖)다. 이 지도는 조선조 태종 2년(1402)에 권근 이회 등이 제작한 것으로, 당시의 세계지도로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가장 훌륭한 세계지도로 평가받고 ... ...
- "해커는 정신병자"과학동아 l1995년 03호
- 석사과정에 입학하고 나서 KAIST 전산실을 통해 1년여 기간동안 국내 대기업체나 다른 대학의 호스트에 '뚫고 들어가기'를 시도해봤다. 침투해본 시스템은 대략 20여개 정도되는 것 같다"- 남의 시스템에 들어가 어떤 정보를 얻었는가."자신이 접근하고자 하는 시스템에 어떤 정보가 있는가 하는 것은 ... ...
- 도전 125년만에 풀린 '평면지도와 4색' 수수께끼과학동아 l1995년 03호
- 컴퓨터를 동원할 수밖에 없었다. 아펠(K.Appel)과 앞서 등장 한 하켄에 의해 1975년 일리노이 대학의 계산기 IBM360의 기계어로 가약성판정의 계산프로그램이 쓰여졌다.1976년 1월 불가피집합의 구조를 밝히기 시작했다. 일일이 여러가지 경우에 대해 계산기로 확인하면서 진행하는 데 무려 6개월이나 ... ...
이전8568578588598608618628638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