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태양 닮은 주변의 별들과학동아 l1995년 05호
- 밝은 부류에 속하는 M2형별. 홑별로 행성계를 가질 확률이 높다. 1992년에 미국 피츠버그 대학의 그레이프가 광전소자를 갖춘 망원경으로 이 별까지의 거리를 정밀 측정했다. 거리는 8.25+0.02광년. 위치는 큰 곰자리에 있다.◆ 울프 359질량이 태양의 0,6배인 적색왜성. 밝기가 급격히 변화하는 ... ...
- 화학 - 사과 변색 막는 비타민 C의 요술과학동아 l1995년 05호
- 먹다 남은 사과는 왜 색깔이 보기 싫게 변할까요? 오래 놔두어도 원래 그대로의 색깔을 지속시킬 방법은 없을까요?손님이 오시기로 한 날, 미리 준비를 한다며 사과를 예쁘게 깎아 두었다가 막상 손님이 오셨을 때면 그 예쁘던 사과의 색깔이 누렇게 변해버려 당황했던 경험이 있는지요? 혹 그런 경 ... ...
- 얼룩 하이에나, 성비 조절로 열악한 환경적응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어떤 방법으로 아들 딸을 가려 낳을까? 이에 대한 답은 아직 명쾌하지 않다. 미국 버클리대학 생물학자 로렌스 프랭크는 생존하기에 불리한 환경 하에서는 암컷 새끼들을 죽여서 수컷이 많은 성비를 조성하는 것이지 결코 암컷 새끼를 더 많이 낳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딸들의 수난'은 ... ...
- 국내 첫 화학공학 전공, 국가 발전기여 큰 보람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우리의 일상생활은 화학제품에 감싸여 있다. 이들 화학제품 없는 현대생활이란 아예 존재할 수도 없을 것이다. 화학제품을 만들려면 주로 석유로부터 얻어지는 원료 물질에 화학적·물리적 변화를 일으켜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대단히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우선 원료를 수송장치를 거 ... ...
- 남자는 뇌가 크고 여자는 뉴런이 많다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연구 결과 인간의 뇌도 성에 따라 구조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예상된다" 고 캘리포니아대학 해부학 및 세포학 교수인 로저 고르스키 박사는 말했다. "나는 성에 따른 차이가 기본적인 개념이라고 생각하며, 증거는 없지만 그 개념이 인간의 뇌에도 적용됨을 확신한다."그러나 만약 실제로 이런 ... ...
- 2. 인간 흉내일 뿐 기계 한계점 극복 불가능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추상적으로 통칭해 마음이라고 부른다고 주장한다. 이들중 가장 설득력있는 주장은 MIT대학 교수인 민스키(Minsky)가 그의 저서 '마음의 사회'(Society of Mind)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마음이란 수많은 작은 독립된 에이전트(agent)들이 저마다의 역할을 수행하며 서로에게 영향을 주는 하나의 사회"라는 ... ...
- 자외선 우주망원경 아스트로 2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이것은 지난 임무때보다 3-4배의 높은 감도를 가능하게 했다. 이 망원경은 존스홉킨스대학에서 제작했다.아스트로 임무에는 관측의 지향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해 ESA(유럽우주기구)에서 설계·제작한 기기 지향시스템(IPS)을 사용했는데, 그 사용목적은 관측하는 천체에 대한 정밀지향 및 정밀추적에 ... ...
- 공기로 마시는 감기 백신 등장할 듯과학동아 l1995년 05호
- 대해서는 이렇다할 방어실력을 보여주지 못한다.여기에 착안한 네덜란드 그로니겐대학 잔 월스첫교수팀은 감기 바아러스의 제1 침투로인 코와 기도의 점막에 방어전선을 구축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하고, 백신을 미세한 리포솜(liposome)에 집어넣은 뒤 코로 들이마시는 색다른 ... ...
- 우주론이 흔들리고 있다과학동아 l1995년 05호
- 것을 우리 자신에게 인정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그러나 캘리포니아대학의 이론물리학자인 프리막(Joel Primack)은 항복하지 않았다. 그와 동료들은 뉴트리노와 WIMPs 같은 차가운 암흑물질을 결합시키는 새로운 비법을 발전시키고 있다. 그리하면 앞의 반론을 극복할 수 있다고 말한다. ... ...
- 1. 별 10만개, 지능가진 생명체 있을 가능성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이상 존재한다는 관측결과를 내놓고 있어 주목되고 있다.또한 작년 미국 펜실베이니어 대학 알렉산더 볼츠만 교수는 태양에서 1천2백 광년 떨어진 펄사(강한 전파를 내는 맥동성)를 아레시보전파망원경으로 관측한 결과 1 백만분의 6초마다 한번씩 펄스를 방출하는 것을 알아냈다. 이는 펄사 주위에 ... ...
이전8538548558568578588598608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