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처음
요람기
초창기
초대
단서
시작
d라이브러리
"
초기
"(으)로 총 3,318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스페이스 임파서블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최초로 탐사선을 내려 보내는 데 성공한 로제타의 이야기를 1파트에서 소개한다. 태양계
초기
생성조건을 밝히고, 물과 생명의 기원을 알아내기 위해 인류는 불가능해 보이는 작전들을 계획하고 있다. 로제타는 그 시작에 불과하다. 믿기 힘든 다음 계획, 소행성 납치 프로젝트를 2파트에서 소개한다 ... ...
PART1. 혜성과의 짧았던 첫키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싣고 날아와 태양 근처에서 내려주는 ‘셔틀버스’다. 혜성의 구성성분을 파악하면
초기
태양계의 구성성분과 온도, 압력, 환경을 유추할 수 있다.지구에 있는 물의 기원도 밝혀낼 수 있다. 태양계에서 왜 유독 지구에만 이렇게 물이 풍부할까. 태양계 외각에서 혜성이 물을 싣고 와 지구와 ... ...
[과학뉴스] 민간우주선 ‘스페이스십2’ 시험 비행 중 폭발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1일(현지시간) 사고 현장인 모하비 항공우주기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항공 산업도
초기
에는 위험했지만 지금은 안전해졌다”며 “우주여행 사업을 예정대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 ...
[시사] 반 고흐 위대한 유산의 비밀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결심한 시기부터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까지 다루고 있다. 어둡고 음침했던 고흐의
초기
작품부터 파리로 거처를 옮기면서 밝은 색채를 쓴 작품과 이후 고갱을 만나면서 전성기를 맞았을 때의 작품까지, 다양한 작품을 만날 수 있다. 고흐의 그림에서 ‘과학’과 ‘수학’을 엿보다!지금까지 영화에 ... ...
얼굴 읽어 주는 수학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알고 싶지 않았던 친구의 기분도 알려준다. 사실 ‘얼굴 인식 기술’은 오래전 이야기다.
초기
에는 화면에서 얼굴이 어디 있는지 찾아내기만 해도 신기하다는 반응이었다. 그런데 이제는 무서워졌다. 얼굴을 보고 이름과 나이를 알아내고, 표정을 보고 기분이 어떤지도 알아챈다.지난 3월 세계에서 ... ...
PART 2.Y가 사라진 세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중 한 쪽에서 DMRT1 유전자를 삭제해 정상적인 생식기관을 갖도록 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초기
에는 반발도 어마어마했다. 인권 논란도 컸다. 그러나 인류 생존이 더 급했다. 수천 년에 걸친 시도 끝에 결국 인류는 무사히 존속했다. 지금도 과학자들은 인류의 성비에 온갖 촉각을 세우고 있다. Y가 ... ...
[knowledge] 내가 먹은 흑돼지, 정말 토종일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鷄林)’일 만큼 닭과 우리 민족이 함께한 역사는 깊다. 학계에서는 대체로 삼국시대
초기
에 원산지인 동남아시아 혹은 중국을 통해 닭이 들어왔을 것으로 추정한다. 조선시대 농서 ‘금양잡록’과 ‘농가집성’에 따르면 종류만 300여 종이 있었을 정도로 재래닭은 한반도에서 잘 살고 있었다.역사의 ... ...
PART 3. 생리의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환자의 뇌에서 가장 먼저 손상이 오는 영역이 내비피질이다. 알츠하이머의 대표적인
초기
증상이 바로 길을 헤매는 것이다.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 영국 옥스퍼드대에서 박사 과정을 공부한 나는 학위 주제가 장소세포와 관련 있어 자연스레 존 오키프 교수팀에서 발표한 논문들을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EIF1AY라는 매우 유사한 유전자를 갖고 있다. 실제 기능도 비슷하다. 쥐의 유전자는 정자
초기
생산에 관여하는데, 사람은 이 유전자가 없거나 돌연변이가 생기면 무정자증이 나타나거나 Y 염색체가 두 개인 정자가 만들어진다. 극단적으로 말하면 SRY 유전자와 EIF2 S3Y(인간은 EIF1AY) 유전자가 다른 ... ...
[life & tech] 당신의 발열공포가 아이를 괴롭힌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드물다. 물론 36개월 미만의 영유아는 얘기가 다르다. 면역기능이 미숙하기 때문에 발열
초기
라도 심각한 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 만약 3개월 미만의 아이가 38℃ 이상인 경우라면 반드시 병원 진찰을 받아야 한다. ‘발열공포’가 아이를 괴롭힌다문제는 대부분의 부모가 열에 대해 과도한 공포심을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