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본
교재
교정
법률
법학통론
textbook
d라이브러리
"
교과서
"(으)로 총 1,390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적 추론 능력이 핵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답안에 대해 부적절하다고 평가한 바 있다. 즉 배경지식을 활용할 때에는 제시문과
교과서
에서 너무 벗어난 고차원적인 지식을 활용하는 것은 도리어 좋지 않다. 제시문과 논제의 내용을 기반으로 배경지식을 전개하도록 한다. 명확한 표현력이 관건 최상위권 학생을 대상으로 모의 논술고사를 ... ...
컴퓨터로 수학 배우는 영국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넘지 못하면 따로 시간을 내서 재시험을 본다.지금은 풀 붙이는 시간영국은 수업시간에
교과서
보다 유인물과 공책을 더 많이 이용한다. 매 수업마다 선생님이 나눠주는 유인물이 많기 때문에 수업시간 중에 유인물을 공책에 붙이는 시간이 따로 있다. 수업시간이 50분이지만 풀 붙이기나 문제 풀이를 ... ...
동화 같은 자연의 나라, 뉴칼레도니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하고 환경은 보호하지 않아 오염이 무척 심했어요. 환경오염의 대표적인 사례로
교과서
에 나올 정도였지요. 그래서 40년 전부터 정부에서는 강력한 환경보호 정책을 폈어요. 광산을 개발하면 반드시 투자금액의 20~30%를 녹지를 만드는 것과 같은 환경 보호에 쓰도록 법으로 정한 거죠. 그 결과 지금은 ... ...
기준에 맞춰 모여! 모두 집합!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역뿐만 아니라, 이와 대우에 대한 개념까지 배웁니다. 논리를 익히기 위해 중학교 2학년
교과서
에는 어떤 활동이 준비돼 있을까요? 사실 중학교 2학년 과정은 명제 의 가정과 결론을 구분하고 명제의 개념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둡니다.따라서 논리를 익히려면 ‘스스로 하기’에 주어진 명제의 역을 ... ...
모의평가와 EBS 꼼꼼히 분석해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평소 지구과학과 관련된 시사이슈에 관심을 기울이는 일도 필요하다. 최근에는 시사와
교과서
적 지식을 결합한 문제가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모의평가는 확실히 공략 개념과 시각자료를 충분히 학습했다면 실전 문제를 바탕으로 출제경향을 분석하고 풀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수능 ... ...
캐나다, 선배가 수학 도우미로 나선다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한 권이 보통 10만 원씩 하기 때문에 대부분 학교 도서관에서 한 학기 동안 빌려 쓴다.
교과서
를 펴낸 출판사에서 만든 문제집도 같이 빌리지만 문제를 푼 흔적은 별로 보이지 않는다. 학생은 오후 2시 30분에 학교 수업을 마치면 댄스와 배구, 환경보호활동 등 클럽활동을 한 시간 정도 더 한 뒤 집에 ... ...
[부록] 비교의 여왕, 부등식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성질과 다르게 조건에 따라 부등호의 방향이 반대로 바뀔 수 있다는 것입니다.주어진
교과서
의 문제 4<6을 통해 부등식의 특별한 성질을 이야기해 봅시다. 양변에 양수인 2를 곱하면 8<12가 되어 부등호의 방향이 변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양변에 음수인 -2를 곱하면 -8>-12가 되어 부등호의 방향이 ... ...
기초결핍증을 이겨 내자!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시간을 투자하는 것이 중요해요.수학 공부를 할 때, 친구들이 가장 많이 하는 실수는
교과서
와 문제집의 맨 앞 부분을 소홀히 하는 거예요. 기본이 되는 수학 용어와 개념 설명은 대충 건너뛰고, 결론으로 나와 있는 공식만 외우는 친구들이 많지요. 그리고 공식을 이용해서 푸는 몇 문제를 ... ...
규칙 찾기의 달인, 함수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볼 수 있어야 합니다. 다음은 중학교 3학년에서 배우는 이차 함수에 관한 내용입니다.
교과서
는 문제보다 앞서 실제 상황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비행기에서 뛰어내릴 때 걸리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거리를 함수로 만들고 이를 표와 함수식으로 만든 실제 예를 통한 문제입니다. 이처럼 우리는 걸음을 ... ...
외국에서는 수학공부를 어떻게 할까?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해요.분명 수학이 더 중요해진다는 뜻인데 뭔가 자꾸 바뀌는 건 반갑지 않은 일이에요.
교과서
가 바뀌어서 형·누나의 참고서를 물려받지 못한 친구도 있을 거예요. 입시 정책도 자꾸 바뀐다고 하잖아요. 과연 이런 변화가 좋은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는 것일까요? 가장 좋은 것이 있긴 한 걸까요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