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뉴스
"
우리
"(으)로 총 9,802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세균 로키, 진핵세포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인가
2015.05.11
그러나 심해의 시료에 들어있는 로키아케오타를 실험실에서 배양하는 조건을 찾는다면
우리
는 놀라운 형태의 고세균과 만나게 될지도 모른다. 한편 36가지 단백질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해 만든 계통도를 보면 로키3이 로키아케움이나 로키2보다도 진핵생물과 더 가까운 것으로 나온다. 즉 ... ...
녹농균에 감염되면 항생제 안 듣는 이유
2015.05.11
쉴 수 있게 해주는 산소 원자를 포함하는 화학분자로, 세포를 파괴하는 독성이 있다.
우리
몸의 면역체계는 외부에서 침입한 세균을 퇴치하는 데 활성산소를 무기로 사용한다. 문제는 녹농균이 여러 종류의 항생제 뿐 아니라 활성산소에도 저항성이 있어 치료가 어렵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 ...
뇌는
우리
몸의 주인일까
2015.05.10
현재의
우리
로 존재하는가에 대한 답변을 찾는 데 활용되고 있다고 말한다. 뇌 연구는 곧
우리
자신에 대한 탐색이다. 갈매나무 제공 ■ 일상적이고 감성적인 물리학 이야기 (크리스틴 매킨리 著, 갈매나무 刊) 학교에는 ‘물포자(물리포기자)’가 종종 있다. 하지만 물리학에는 학생들이 ... ...
5개 행성 한 자리에 모이는 ‘오성결집’을 아시나요
2015.05.08
구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올해로 창립 24년이 된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는 1998년
우리
나라 최초로 소행성을 발견해 ‘통일’이란 이름을 붙이기도 했다. ... ...
쿵쾅쿵쾅 볼륨 높은 클럽에서 귀 안 먹는 이유
2015.05.07
우리
귀의 기능이 쉽게 손실되지는 않는다. 미국 연구진은 소음에 장시간 노출돼도
우리
몸이 그 환경에 맞게 적응해 청력을 유지하려 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매튜 수 프리드먼 미국 버팔로대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존스홉킨스대 의대 연구진과 공동으로 소음에 노출되면 청신경이 스스로 ... ...
젊은 은하 ‘EGS-zs8-1’ 발견, 빅뱅 후 6억7000만년 뒤 생성
동아닷컴
l
2015.05.07
파스칼(Pascal Oesch) 박사는 “EGS는 아주 어린 은하이고 지금도 별이 만들어지고 있다.
우리
은하수보다 80배나 빠른 속도로 별들이 탄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연구진은 “EGS와 같은 초기 은하에서 젊은 별들이 빠른 속도로 형성된다”며 “초기 은하가 어떻게 형성되고 성장하는지를 알 수 ... ...
[동아광장/천영우]한미 원자력협정과 원자력 정책의 미래
동아일보
l
2015.05.07
의존하는 한국에 에너지 안보는 바로 국가 안보이고, 전력의 30%를 원전에 의존하는
우리
에게 안정적 농축우라늄 공급은 에너지 안보의 근간이다. 농축우라늄의 비축 확대와 외국 농축 회사의 지분 매입도 필요하지만 원전 설비 용량 증가에 따른 리스크를 줄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 농축 시설을 ... ...
양자택일의 상황, 내가 골랐나 무의식이 골랐나
2015.05.06
나타난 것이다. 렌즈를 4초간 노출시킨채 촬영한 도로 사진. 운전을 하는 상황에서
우리
의 의사결정이 얼마나 복잡한 지 짐작할 수 있다. - Susanica Tam 제공 이번 연구결과는 자유의지란 없으며 동물은 대부분의 경우 욕구에 따라 판단한다는 주장에 대치되는 것이어서 주목받고 있다. 1980년대 미국 ... ...
이래도 화성에 가시겠습니까?
2015.05.05
수 있다고 1일 밝혔다. 우주에는 고에너지 방사선으로 가득 차있다. 지상에 살고 있는
우리
가 이런 고에너지 방사선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는 이유는 지구의 대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 우주방사선연구소에서 실험용 쥐에게 우주 방사선을 모사한 고에너지 방사선을 6주간 쪼였다. ... ...
물고기 떼 한 입에 호로록~ 흡입하는 고래, 비결이 뭐니
2015.05.05
마치 신경을 보호하듯 둘러싸고 있다. 니콜라스 파인슨 연구원은 “이번 발견으로
우리
가 거대 해양동물에 대한 해부학적 지식이 별로 없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알게 됐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커런트 바이올로지’ 4일자에 실렸다. ... ...
이전
847
848
849
850
851
852
853
854
8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