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유전자"(으)로 총 1,612건 검색되었습니다.
- 코로나19 바이러스 침투 돕는 새 단백질 찾았다...치료제 표적 기대동아사이언스 l2020.10.23
- 1과 뉴로필린-2(NRP2) 수용체와 결합한다는 사실을 X선 결정학 기술을 이용해 확인했다. 또 유전자에서 단백질이 형성되는 과정(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인 ‘리보핵산 간섭(RNAi)’나 이들 수용체와 결합할 수 있는 저해제를 사용하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세포 내 감염을 막을 수 있다는 사실도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요거트와 노벨상2020.10.22
- org/2016/10/03/dethroning-the-nobel-prize/ Dethroning the Nobel Prize - 김우재, [보통과학자]의 유전자은행 관련 글들 (33편~36편)을 참고, 동아사이언스http://dongascience.donga.com/special.php?category=001_135 -https://gaurilankeshnews.com/nobel-peace-prize-a-noble-prize-or-an-imperialist-tool/ -김우재, ‘삶으로서의 과학’, 한겨레 http://www.hani.co ... ...
- 러, 코로나19 백신 한국서 생산한다는데…안전성 논란 속 임상 자료 내달 공개동아사이언스 l2020.10.20
- V는 인체에 해가 없는 다른 바이러스의 게놈에 코로나19 항원을 생산할 수 있는 유전자를 끼워 넣어 체내에 주입하는 벡터(전달체) 방식의 백신이다. 영국 옥스퍼드대와 아스트라제네카가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과, 중국 기업 캔시노와 중국군사의과학원이 개발중인 백신 후보물질이 이 ... ...
- [코로나19 연구속보] 우리 몸속 고대 바이러스 흔적이 코로나19 퇴치법 알려줄까? 2020.10.20
- 시퀀싱)을 해 유전자뿐만 아니라 전이인자를 찾아냈다. 연구는 시작한 지 얼마 안 되지만 궁극에는 새로운 진단 실험이나 나아가 새로운 치료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추옹은 기대하고 있다 ... ...
- 작년 노벨상 수상자 논문 조작설에 과학계 떠들썩…한국인 연구자 포함 '파장'동아사이언스 l2020.10.19
- 신호 단백질(EPO)을 만드는 과정을 밝혀 노벨상을 받았다. 특히 저산소 상황에서 이들 유전자에서 단백질을 만들게 하는 시작부위(프로모터)에 존재하는 저산소반응인자(HRE)를 찾고 여기에 결합하는 단백질인 HIF를 밝혔다. 서멘자 교수는 최근까지도 저산소증과 HIF 관련 연구에 다수 참여하며 ... ...
- 사람 잡는 코로나바이러스 3종 관계망 지도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20.10.19
- 영국 케임브리지대 유럽분자생물학연구소, 독일 프라이부르크대, 의료분석기업 에티언, 유전자분석기업 신테고 등 6개국 14개 기관 국제공동연구팀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을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와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을 일으키는 ... ...
- [백신 업데이트]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200종 돌파 눈앞동아사이언스 l2020.10.19
- 바이러스를 사용하는 중국 시노백과 시노팜의 후보물질 3종과 바이러스의 항원을 만드는 유전자를 전달체(벡터)에 담아 주입하는 벡터 방식을 사용하는 영국 옥스퍼드대와 아스트라제네카, 중국 캔시노, 러시아 가말레야연구소, 글로벌 제약사 얀센 등의 후보물질 4종, 재조합단백질을 항원으로 ... ...
- [인간 행동의 진화]하와이안 피자는 사라지지 않는다2020.10.18
- 김치를 좋아하고 된장찌개를 즐기는 것이 아니다. '한국인 80%가 7번 염색체에 김치 선호 유전자를 보유'라는 식의 연구가 발표될 가능성은 없다. 어린 시절에 먹은 음식은, 개체에 주어진 사회생태학적 환경에서 오랜 세월 입증된 최적의 음식일 가능성이 크다. 해당 음식의 재료를 구하는 비용이든, ... ...
- "노벨상 수상자 지형도, 15년 내로 드라마틱한 변화 일어날 것"동아사이언스 l2020.10.17
- 요소라고 강조했다. 린드크비스트 교수는 “너무 많은 예가 있다”며 올해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개발한 공로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제니퍼 다우드나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교수를 소개했다. 린드크비스트 교수는 “다우드나 교수는 하와이에서 미스 웡이라는 화학 교사에게 엄청난 영감을 ... ...
- [코로나19 연구속보] ‘미끼 세포’, 코로나19 사이토카인 폭풍 줄이다 2020.10.16
- 관련해 지난 6일(현지시간) 학술지 PNAS에 유전자 조작 세포를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결합시켜 감염증을 감소시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샤오위안 첸 선임연구원은 코로나19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 ...
이전8081828384858687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