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스페셜
"
유전자
"(으)로 총 1,612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겨울철 대유행 온다…신속항원검사 도입해야"
연합뉴스
l
2020.11.09
수 있는 신속성이 가장 큰 장점이지만, 국내에서 시행하는 분자진단검사법인 실시간
유전자
증폭 검사법(RT-PCR)과 비교해 정확도가 높지는 않다. 이 때문에 정부에서도 신속항원검사를 도입하는 데 신중한 입장을 보여왔다. 그러나 오 교수는 겨울에 요양원이나 요양병원 등 취약시설에서 ... ...
불규칙한 수면 원인은 뚱뚱해서거나 나이 때문이거나, 치매에 걸려서
동아사이언스
l
2020.11.09
사실을 밝혔다. PER 단백질이 매일 일정한 시간에 세포 핵 안에 들어가 자신의
유전자
에서 단백질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억제하는데, 이 과정이 매일 규칙적으로 반복되면서 일주기리듬이 형성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매우 많은 물질이 복잡하게 결합하고 분해되며 신호를 전달하는 세포 내 환경에서 ... ...
일본 서식 박쥐 배설물서 코로나19 유사 바이러스 발견
연합뉴스
l
2020.11.09
일본에 서식하는 야생 동물에서 채취한 것 가운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가장 가까운
유전자
구조를 갖춘 바이러스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실험을 통해 이 바이러스가 인간 세포에는 감염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전자현미경 사진. [연합뉴스 자료사진, 일본 ... ...
[인간 행동의 진화]왕이 될 상은 따로 있을까
2020.11.08
이해를 통해 일반적인
유전자
의 정상적 기능을 추론하기는 어렵다. 다요인 형질은 어떤
유전자
가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가늠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자칫하면 큰 사회적 파장을 낳는다. 과거에는 다운 증후군 환자의 특징적인 얼굴형을 몽골형 얼굴이라고 했다. 아예 다운 증후군의 옛 이름이 ... ...
중대본 "수도권 거리두기1.5단계로 격상할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0.11.08
입국자에 대해 검역 조치를 강화하면서 한국발 비행기 탑승객은 항공편 탑승 전 두 차례
유전자
검사(PCR)를 마쳐야 한다고 밝혔다. 박 1차장은 “11일 0시부터 한국에서 출발하는 중국행 항공편 탑승객은 탑승 전 PCR 검사를 2회 실시해야 한다”며 “중국 입국 예정인 국민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11일 ... ...
동아시아인 형성 핵심 몽골 인류의 6000년 변천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06
하지만 다른 낙농업지역과 달리 이 지역에 살던 사람들에게선 유당(락토스)을 분해하는
유전자
가 없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장내미생물 등에 의한 다른 적응을 통해 유제품 소화가 가능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한반도에 사는 인류집단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다. 다만 ... ...
[코로나19 연구속보] 코로나바이러스, 라마에서 배운 합성나노항체로 막는다
2020.11.05
침입을 막는 중화(中和) 능력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했다. 먼저 렌티바이러스의
유전자
를 변형해 표면에 코로나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이 생기게 했다. 연구진은 합성나노항체23이 이렇게 변형된 렌티바이러스를 성공적으로 무력화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실제로 이 ... ...
[백신 업데이트]코로나19 백신 임상 3상 후보 10종…한 달째 안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20.11.04
이뮤니티바이오는 인체에 감염되는 아데노바이러스를 ‘전달체(벡터)’로 삼아 항원
유전자
를 삽입해 체내에 주입하는 벡터 방식 백신을 개발해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며(위 사진), 이스라엘의 바이즈만연구소와 이스라엘생물학연구소가 공동 개발중인 또다른 벡터 방식 백신 후보물질은 임상 1/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벌새 눈에는 가을 단풍이 어떻게 보일까
2020.11.03
유전자
까지 망가져 ‘흑백’의 세상에 살고 있다. 약 4000만 년 전 일부 영장류에서 LWS
유전자
중복이 일어나 두 개가 됐고 그 가운데 하나에 변이가 생겨 민감한 파장대가 약간 짧아졌다. 이렇게 생겨난 게 MWS이고 그 결과 이들은 3색형 색각을 회복해 총천연색을 보게 됐다. 그 후손이 바로 우리다 ... ...
과학기술자문회의 제3기 심의위원에 이도현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0.11.01
교수는 KAIST에서 전산학 박사학위를 받고 한국생명정보학회 회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유전자
동의보감사업단 사업단장을 지냈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이 교수를 "대형 국책사업 수행과 연구 경험이 풍부하고 인공지능을 이용한 컴퓨터 가상 인체기술 개발 분야의 대표 전문가"라고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