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자
옮겨심기
이종
이주
이전
적립
축재
뉴스
"
이식
"(으)로 총 1,121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몸통까지 완성된 프랑켄슈타인, 뇌
이식
남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13
제대로 기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이미 발달이 완료된 타인의 기관을
이식
하는 차원이 아닌 줄기세포를 원하는 기관으로 분화시켜 정상적으로 기능을 하도록 만든 유사 생체 장기, 이른바 오가노이드를 이용한 기술적 측면은 아직도 갈 길이 멀다. 이제 대장이나 심장, 뇌 등의 기관을 ... ...
근육 재생 꿈 한발 더...피부 유래 줄기세포로 실제 움직이는 골격근 만들어
동아사이언스
l
2018.01.09
iPS세포 단계에서 유전자 가위 기술을 활용해 유전체를 교정하면 건강한 근육 조직을
이식
받을 수도 있다. 다만 iPS세포는 강력한 증식 능력과 분화 능력이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런 우려 때문에 한 때 승인됐던 iPS세포 임상시험도 중단된 상태다. 이에 요시히데 ... ...
[표지로 읽는 과학] 장내미생물이 피부암 치료에 도움 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7
뒤 쥐들에 흑색종 종양을
이식
했다. 그 결과 면역 치료가 가능한 환자의 장내미생물을
이식
한 쥐 세 마리 중 두 마리의 종양 크기는 느리게 성장했다. 반면 면역 치료가 불가능한 환자에게서 장내미생물을 받은 쥐 세 마리 중 단 한 마리만 종양이 느리게 성장하고 나머지 두 마리는 빠르게 ... ...
LTE기술 민간서 이용 가능… 국내 전파사용 규칙 다시 짠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28
연동 의료기기용 주파수 역시 추가로 할당한다. 기존에는 손 떨림 제어를 위해 체내에
이식
된 신경자극기를 스마트폰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이 밖에 △고속 주행용 드론 영상 주파수 △승용차 자동주차기능 주파수 등도 추가로 할당할 계획이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전파정책국장은 ... ...
“혈액암 환자에게 조혈모세포 기증하세요”…캠페인 나선 동갑내기 대학생
동아사이언스
l
2017.12.27
방식으로 말초혈조혈모세포를 기증할 수 있다”며 “한 해 동안 이뤄지는 조혈모세포
이식
이 단 500여 건에 불과하다고 한다. 기증이 많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미래산업②]新시장 혁명 나선 한국형 인공장기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7.12.21
분자생명과학부 교수는 “수년 내에 기술적 문제는 해결될 것으로 보이지만 인체에
이식
할 하려면 수십 종의 재료 하나마다 식약처 등 인증을 받아야 하는 등 쉽지 않은 절차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내에선 이를 돌파하기 위한 ‘지역 특화식 산업화 전략도 요구되고 있다. 형질전환돼지 ... ...
“오가노이드 활용하면 실험동물 구할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15
만난 홍기종 인터파크그룹 바이오융합연구소장은 “사람의 장기 수준으로 크게 만들어
이식
수술에 사용하는 게 궁극적 목표이지만 현재 기술로 가능한 소형 오가노이드도 임상이나 환자의 예후 관리에 적용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기종 인터파크그룹 바이오융합연구소장이 오가노이드 ... ...
바이오인공장기ㅣ개인맞춤 생체장기, 신의 영역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2.14
만드는 것이지만 향후 10년 내에는 일부 장기의 오가노이드를 2~3㎝ 수준으로 키워 부분
이식
을 실시하는 것은 물론 약의 부작용을 모니터링하는 목적으로 오가노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종장기
이식
10년 내 상용화 문턱 넘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11
물론 시술자를 보호하는 내용도 필요한 데 지금은 논의조차 되지 않고 있다"며 "이종장기
이식
기술 수준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는 만큼 국내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될수 있도록 법적 지원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과학&기술의 최전선ㅣ조직 세포 원하는대로 복제 '불로장생' 넘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08
돼 윤리 문제를 피해 갈 수 있는 데다 체세포 복제 배아줄기세포를 만들 때 필요한 핵
이식
같은 까다로운 기술을 쓰지 않아도 돼 큰 각광을 받았다. 하지만 암세포가 발생하는 등 부작용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어 발전이 더디다. 이 과정을 해결할 대안으로 역분화줄기세포에서 파생한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