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자
옮겨심기
이종
이주
이전
적립
축재
뉴스
"고유 혈관까지 재현"…실제 간 기능 수행하는 오가노이드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18
하나인 혈액응고인자 생성 능력을 보유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혈우병에 걸린 생쥐에
이식
했을 때 최대 5개월간 출혈 증상이 개선됐다. 혈액응고장애 환자 혈장 샘플을 대상으로 한 시험에서도 증상 완화가 확인됐다. 이번 연구는 간 오가노이드에서 실제 간의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혈관을 ... ...
[재생의료 최전선]⑧ 파킨슨병 진행 되돌리는 세포치료제로 세계 시장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5.07.18
도파민 신경전구세포를 뇌에 직접
이식
해 도파민 분비 기능을 회복시키는 방식인데,
이식
된 세포가 체내에서 살아남아 실제로 도파민을 분비하고 환자의 운동 증상이 호전되는 것을 직접 확인했다”고 말했다. '라이벌' 치료제를 개발 중인 미국 생명공학기업 블루락테라퓨틱스(이하 블루락)와 ... ...
'3인 체외수정'으로 태어난 8명의 건강한 아이…희귀 유전병 차단
동아사이언스
l
2025.07.17
다른 난자의 핵을 제거하고 수정된 핵을
이식
하는 방식이다. 이후 수정란은 자궁에
이식
돼 임신으로 이어진다. 이렇게 태어난 아기에게는 세 사람의 유전자가 공존하는 셈이다. 영국은 2015년 법 개정을 통해 세계 최초로 MDT 시술을 허용했다. 이후 뉴캐슬 불임센터가 영국 내 유일한 MDT 시술 ... ...
심장 멈춘 뒤
이식
성공…윤리적 논란 극복한 새
이식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5.07.17
심장 기능을 직접 확인할 수 없어 기증자 연령이 높거나 사망까지 시간이 길 경우에는
이식
성공 여부에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는 점은 향후 극복해야 할 과제라고 밝혔다. - www.nejm.org/doi/full/10.1056/NEJMoa2503487 - www.nejm.org/doi/full/10.1056/NEJMoa250045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표지로 읽는 과학] 올챙이 뇌에 전극
이식
해 뇌 형성 추적
동아사이언스
l
2025.06.28
머리카락보다 훨씬 얇고 신경조직처럼 잘 휘고 늘어난다. 전극은 배아 시기의 신경판에
이식
된 뒤 뇌가 자라나는 3D 변화 과정을 따라가며 조직 속으로 자연스럽게 통합된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배아 단계의 개구리와 아홀로틀을 이용해 실험했다. 아홀로틀은 물속에서 평생 살아가며 뇌와 ... ...
[표지로 읽는 과학] 줄기세포로 파킨슨 치료, 임상 안전성 확보
동아사이언스
l
2025.05.24
전구세포를, 타바르 연구팀은 인간 배아줄기세포에서 유래한 도파민 전구세포를 뇌에
이식
했다. 도파민 전구세포는 뇌에서 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세포를 의미한다. 초기 배아에서 얻은 배아줄기세포는 다양한 세포로 분화 가능한 세포주이고 성숙한 체세포를 역분화해 ... ...
[의학바이오게시판] 한림대성심병원장, 한림대동탄성심병원장 취임식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4.09.03
심부전, 협심증, 심근경색증, 대동맥질환이 주요 분야로 2017년 경기남부권 최초 심장
이식
수술 성공, 2018년 경기도 최초 인공심장수술(LVAD) 성공, 지난해 11월 경피적 대동맥판막치환술(TAVI시술) 성공을 이끈 바 있다 ... ...
[과기원NOW] "강아지 디스크 손상, '슈파인젤'로 치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05
5일 밝혔다. 이번 연구사업에는 5년간 총 54억 원이 지원된다. 장 교수는 ‘생애전주기
이식
형 나노메쉬 뇌-기계 일체화 인터페이스 기반 신경 보철을 활용한 난치성 뇌질환 치료’ 관련 연구를 수행한다. 기존에 실현하기 어려웠던 장기간 뇌 질환 진단 및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완전삽입 가능한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특집] 동물복제 왜 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의과대학 연구팀은 돼지의 심장을 심장 질환 환자에게
이식
했답니다. (●2021년 장기 등
이식
및 인체조직 기증 통계연보 (보건복지부, 2022)영화 ‘쥬라기 공원’이 현실로? 2020년 12월, 미국에서 ‘엘리자베스 앤’이라는 이름의 복제 검은발족제비가 태어났어요. 검은발족제비는 눈 주위가 검은 ... ...
[뉴럴링크] 마비 환자가 다시 걷고 말하다... BCI 기술의 현재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노력의 최신 결정체다. doi: 10.1038/s41586-023-06443-4 연구팀은 앤의 뇌 피질에 253개의 전극을
이식
했다. 이 전극은 얼굴, 턱, 후두, 혀 등 발성과 연관된 근육을 움직이는 부위의 뇌파를 측정했다. 그후 연구팀은 앤에게 1024개의 단어가 포함된 문장을 보여주며 따라 말하도록 훈련시켰다. 근육이 마비돼 ... ...
[뉴럴링크] 뉴럴링크가 이뤄낸 혁신은 소프트웨어 아닌 하드웨어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그 결과 칩에 전달되는 뇌파 신호까지 약해지면서 굳이 침습적 방식을 사용해 BCI 장비를
이식
한 의미가 사라지는 것이다. N1 임플란트는 기존에 사용되던 칩의 단점을 크게 보완했다. MRI로 보면서 심는 데다가 딱딱한 칩 대신 유연한 실을 사용해 뇌 손상을 줄일 수 있다. 게다가 64개의 실 가닥을 ... ...
'자체발광' 발광식물 연구 히스토리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네오노토파누스 남비(Neonothopanus nambi)의 유전자 4개를 추출해 담뱃잎과 담배 나무 꽃에
이식
했습니다. 버섯은 유전자 4개가 각각 만드는 4가지의 효소를 이용해 카페익산을 루시페린으로 전환시킵니다. 첫 번째와 두 번째 효소가 카페익산을 루시페린으로 전환시키고, 세 번째 효소가 루시페린을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메머드 복원, 시작이 반이다?
기사
l
20250608
빠른 생쥐로 실험을 진행했는데요. 이들은 생쥐의 수정란이나 배아줄기세포를 유전적으로 변형해 배아에 주입했고 이후 대리모에게
이식
했는데요. 연구진은 매머드와 비슷한 털을 가진 쥐를 탄생시키기 위해 털의 색깔, 질감, 길이, 무늬, 모낭과 관련된 9개의 유전자를 변형시키는 데 중점을 뒀지요. 새로 태어난 생쥐들은 매머드처럼 긴 털을 가진 개체부터 ...
{헛짓거리}제가들은 음합엔 노래 다써보죠
포스팅
l
20250219
40살 정도로 (검열?해야하나) 싶다.생명에게 미움받고있어.한계야.오버라이드.테토리스.누덕누덕 스타카토.오래된 식사.신같네.열이상.
이식
보행.모자이크 롤.독점욕.울트라 트레일러.소녀해부.카가미네 렌의 폭주.발음연습 잰말놀이 테스트.음정주 피치 테스트.비밀경찰.미쿠미쿠하게 해줄께 여기까지. ... ...
지사탐 특별탐사 공원과 깃대종 현장 교육 - Project park 팀
기사
l
20241204
합니다. 되새, 밀화부리 등 새들이 부리힘을 이용해 동그란 씨앗을 발라먹는다고 합니다. 위 식물은 메타세쿼이아라는 식물인데
이식
물과 비슷한 식물은 낙오송이 있습니다. 두 식물의 차이는 잎이 자라는 방식입니다. 메타세쿼이아는 잎이 서로 마주보고 자라는 [마주나기]를 하지만 낙오송은 잎이 마주보지 않고 어긋나는 [어긋나기]를 하며 자랍니다. 그렇기 ...
컴그림 그려도 이렇게 생김
포스팅
l
20240616
진짜 손그림만 그렸더니 디지털감각이 사라짐하쑝배기 사랑해이번에 화귀 단행본으로 천하비무대회 에피에서 송배기 싸우는 거 끝까지 버티고 송배기를 바라보는 사형제들의 시선을 느끼면서 질질 짬우리 애는 이렇게 묵묵히 차별 받으면서도 오직 하나를 위해 걸어왔구나다른 애들이 설화십
이식
을 쫒을 때 화려함에 눈이 멀었을 때너만은 너의 길을 찾아 걸어가고 있었 ...
슈퍼멍멍 - 240429 - 1
탐사기록
l
20240429
이식
물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