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합
에너지
에네르기
뉴스
"
결합에너지
"(으)로 총 945건 검색되었습니다.
[부산모터쇼]“모터쇼에서만 볼 수 있다“…미래 보여주는 콘셉트카 5종
포커스뉴스
l
2016.06.04
2일 오전 부산 해운대구에 위치한 벡스코에서 열린 '2016 부산국제모터쇼'에서 현대의 차세대 퍼포먼스 브랜드 'N'의 'RM16' 차량이 소개되고 있다. - 포커스뉴스 제공 모터쇼의 꽃은 콘셉트카로 불린다. 모터쇼를 가야만 만날 수 있는 유일한 차이기 때문이다. 출시가 예정된 ‘프리미어’ 차량이 구 ... ...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
과학동아
l
2016.06.02
흔히 ‘가속기’라고 하면 ‘힉스 입자’를 발견한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충돌기(LHC)를 가장 먼저 떠올린다. 하지만 가속기의 종류와 활용처는 매우 다양하다. 특히 최근 한국이 만들고 있는 중이온가속기는 ‘펨토 과학’의 문을 연다는 측면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남윤중 ... ...
다음-카카오 합병 2년, 어디로 가고 있나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6.06.02
2년 전 이맘 때 쯤, 2014년 5월 26일은 대한민국 인터넷 산업 역사상 가장 뜨거운 뉴스가 전해진 날이다. 이날 다음커뮤니케이션(이하 ‘다음’)과 카카오는 합병을 전격 발표했다. 한국 인터넷 산업계의 큰형님인 ‘다음’과 모바일 생태계의 지배자 ‘카카오’의 합병 발표는 매우 뜨거운 뉴스였다. ... ...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16.06.01
지카바이러스가 전세계를 강타하고 있다. 지난해 남미에서 유행하기 시작해 지금까지 총 66개 나라에서 감염자가 발생했다. 우리나라에서도 지난 5월 네 번째 감염자가 확인됐다. 때문에 생명과학자들 사이에서 지카바이러스는 현재 가장 뜨거운 연구 주제다. 생명과학논문 데이터베이스(PubMed)에 ... ...
구름 탄생의 비밀…산업혁명 이전엔 구름이 더 많았을 수 있다
2016.05.29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는 구름이 흐드러진 수채화 같은 풍경으로 표지를 장식했다. 스위스 융프라우요흐 산 3450m에 위치한 연구소 ‘HFSJG’의 모습으로, 청정한 대기를 분석하거나 고고도 상태의 환경을 연구하는 역할을 하는 곳이다. 페데리코 바이안치 스위스 폴쉐르연구소 연구 ... ...
경이로운 오로라, 형성 과정 첫 관측
2016.05.13
‘자기 재결합’ 과정의 모식도. 파란색 선이 자기력선을 의미한다. -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공 우주에서 오로라가 형성되는 과정이 최초로 관측됐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지난해 3월 발사한 ‘지구자기권 다중스케일(Magnetospheric Mult-Sclase·MMS)’ 위성의 첫 탐사 결과를 세계적 학술지 ‘사이언 ... ...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스마트폰 쓰는 데 빅뱅이 필요하다고?
동아일보
l
2016.05.03
[동아일보] ‘사피엔스’의 저자 유발 하라리 교수의 한국 방문이 화제다. 저자는 호모사피엔스 종의 역사와 미래를 그만의 독특한 시각을 가지고 장대한 스케일로 서술한다. 농업혁명이 거대한 사기였다거나, 존재하지 않는 것을 상상하는 능력이 인간의 성공 이유라는 주장은 무척 흥미롭다. 물 ... ...
세포 속 ‘발전소’에서 신경암 해법 찾았다
2016.04.27
세포 속 ‘발전소’ 역할을 하는 미토콘드리아에서 신경암과 신경퇴행성질환에 대한 해법이 발견됐다. 이규선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과 이성수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와 공동으로 수행한 연구에서 미토콘드리아 내 특정 단백질에 변화가 생기면 신 ... ...
LED 효율 떨어뜨리는 원인 새롭게 밝혔다
2016.04.26
사이언티픽 리포트 제공 국내 연구진이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의 발광 효율을 저하시키는 새로운 원인을 찾는 데 성공했다. 향후 LED의 성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방준혁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선임연구원 팀은 공주대, 미국 렌셀러 폴리테크닉 대(RPI) 연 ... ...
수분 OK, 재사용 OK…신개념 CO₂흡착제 나왔다
2016.04.21
최민기 KAIST 교수진이 개발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원리. 온도를 높이고 낮춰 주면 이산화탄소를 흡수했다가 다시 배출한다. -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공장이나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대량의 이산화탄소를 거둬들여 보관하는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의 수준을 한 차원 더 높이는데 성공했다.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