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위
학사
논문
d라이브러리
"
학위
"(으)로 총 1,416건 검색되었습니다.
피아노 건반을 사랑한 물리학자 김지수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결국 영국으로 유학해 물리학을 전공하고 케임브리지대로 옮겨 물리화학으로 박사
학위
를 받았다.“2004년 LG화학에 입사해 대전으로 왔습니다. 연구소 생활에 어느 정도 적응이 된 어느 날 문득 다시 피아노를 치고 싶다는 열망이 몰려왔습니다.”침례신학대 교회음악과 교수로 있던 유명 ... ...
한국어가 영어 학습에 방해?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불러일으킬 잠재력을 제공할 것이다.이재호 교수 >고려대에서 언어심리를 전공해 박사
학위
를 받았다. 인간의 언어 학습과 사고, 지각에 관한 인지심리와 사회문화적 현상이 주요 관심사다. 현재 계명대 심리학과에 재직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영어 학습, 빠를수록 좋은가한국어가 ... ...
마법 같은 제2의 양자혁명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모르는 채 원격전송하기 때문이다.김재완 교수는 >미국 휴스턴대에서 물리학으로 박사
학위
를 받은 뒤 삼성종합기술원 계산과학팀장, KAIST 연구 부교수를 지냈다. 현재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교수로 있으면서 양자암호, 양자컴퓨터, 양자통신 같은 양자정보과학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관련기사를 ... ...
몸에서 에너지 뽑는 인간발전소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기계공학으로 박사
학위
를 받았다. 또 2008년 일본 교토대 의대에서 생리학으로 의학박사
학위
도 받았다. 현재 강원대 기계메카트로닉스공학부에서 심장의 생체역학적 원리를 연구하는 국가지정연구실(NRL)을 운영하고 있다 ... ...
2020년 한국판 아이언맨 나온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진행하고 있다.양성호 박사 >경북대 금속공학과를 졸업한 뒤 KAIST에서 재료공학으로 박사
학위
를 받았다. 올해 국방과학연구소에 부임해 현재 국방소재 개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
양자에 ‘순간이동’ 이름 붙인 주인공 찰스 베넷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Gisin profile1952년 스위스 제네바 출생1981년 스위스 제네바대에서 양자통계물리 연구로 박사
학위
취득1988년~현재 스위스 제네바대 물리학과 교수2001년 양자암호기업 ‘이드 퀀티크’(Id Quantique) 설립2002년 세계 최초로 양자암호 상용화지생 교수는 한국 방문이 처음이었다. 그에게 한국에 대한 첫인상을 ... ...
조선 명가(名家) 자존심 지켰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국제적인 지명도나 노하우에서 선배 교수들에게 뒤쳐졌다. 미국 MIT 해양공학과에서 박사
학위
를 받은 터라 ‘영국통’도 아니었다.그래도 자신은 있었다. 로이드그룹이 공개경쟁을 진행한다는 소식을 접한 뒤 김 교수는 가장 먼저 국내 굴지의 조선 3사를 찾았다. 국내 조선업계는 세계 최고 ... ...
자전거 만드는 핵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이 염원을 담아 K-STAR 공사현장을 종횡무진 누볐다. 그는 명지대에서 실험물리학으로 박사
학위
를 받은 물리학자지만, 현장 인부들이 인정한 엔지니어기도 하다. 보통 물리학자는 이상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을 설계한다. 그러나 현실과 이론의 차이 때문에 현장에서 이를 구현하지 못할 수도 있다. ... ...
‘숨겨진 보물’ 감자, 킹왕짱!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김현준 과장 >강원대 농학과를 졸업한 뒤 동대학원에서 가공용 감자 연구로 박사
학위
를 받았다. 1983년부터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에 재직하며 22년 간 감자만 연구한 감자 전문가다. ‘감자백과’ ‘감자총서’ ‘식물유전자원학’ 등 관련 책 11권을 썼다. 2005년부터 2년 동안 페루 ... ...
후광 효과를 뛰어넘은 과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펼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과학이 발전할 수 있다는 점은 명백한 진리다. 석사
학위
도 없는 회사원이 노벨상을 수상한 일본과 우리나라의 차이점은 이런 열린 공간의 유무이다.이번 논제에서는 비주류 과학자가 억울함을 당하는 일이 결국은 국가, 더 나아가 인류를 위해서도 큰 손해임을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