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위
학사
논문
d라이브러리
"
학위
"(으)로 총 1,416건 검색되었습니다.
시끌벅적 소리로 가득 찬 바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연구원은 성균관대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기포음향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
를 받았다. 현재 한국해양연구원 동해연구소에서 동해 해양관측네트워크에 관한 연구와 더불어 수중음향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1. 동해 돌고래 소리 2. 서해 딱총새우 소리 3. 남해 숭어 ... ...
우주 나이 밝힌 허블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수백만 개의 별이 새로 태어나고 있다.안홍배 교수는 서울대 대학원에서 천문학 박사
학위
를 받았고 한국천문학회 회장을 지냈다. 현재 부산대 과학교육학부 교수로 있으며, 막대나선은하의 핵나선팔 구조, 거대타원은하 주변에 작은 타원은하가 모여 있다는 식의 은하 세계 유유상종 특성을 밝혔다. ... ...
티라노사우루스류 공룡에서 최초로 위석(胃石)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4차 탐사 계획으로 설레고 있다.이융남 박사는 미국 남부감리대에서 공룡학으로 박사
학위
를 받았다. 미국 스미스소니언 자연사박물관 초빙연구원을 지냈고 현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이다. 미국, 중국, 몽골에서 공룡을 발굴했고 현재 경기도 시화호의 공룡화석을 연구하고 있다. 이 ... ...
그랑제콜 두고 서울대 온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진행되는 점은 비슷하다.아직 한국말도 서툴고 한국에 대해 모르는 것 투성이다. 곧 석사
학위
를 받지만 논문심사를 앞두고 있어 긴장된다. 하지만 다른 문화와 다른 연구방식을 접하고 이를 내 것으로 소화한다면 앞으로 발전에 밑거름이 되지 않을까 ... ...
멋진 과학 통행증을 나눠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7호
최고라고 말문을 연 이윤석 아저씨는 바쁜 방송 활동 중에도 신문방송대학원 언론학 박사
학위
까지 받아 개그맨 박사로도 불린답니다. 이렇게 공부를 잘하는 비법은 대체 뭘까요? 이윤석 아저씨는 바로 자신에게 맞는 시간 관리라고 말씀하셨어요.“전 인생에서 하면 할수록 좋은 걸 묻는다면 공부와 ... ...
번쩍! 메가번개를 맨눈으로 보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감사합니다.이소연 선임연구원 >KAIST 기계공학과를 졸업한 뒤 동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
를 받았다. 3만6000대 1의 경쟁률을 뚫고 한국 최초 우주인으로 선발돼 2008년 4월 8일 러시아 소유스 우주선을 타고 국제우주정거장을 방문했다.ISS에 숨겨놓은 이야기우주에서 본 한반도는 하나였다 ISS에서 ... ...
컴퓨터에 한강이 들어왔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이렇게 한 분야만 오랫동안 연구하는 학자가 드물죠.”18년 전 발표한 서 교수의 박사
학위
논문은 하천 해석 모델에 관한 연구다. 다만 그 때는 해석 방식이 선(1차원)과 면(2차원)을 적절히 섞은 1.5차원이었다. 최근 개발한 램스는 2차원 모델이다. 1.5차원 연구에 있어서 그는 이미 세계적인 권위자다 ... ...
넌 유학 가니, 난 유망학과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또 인하대 대학원에 진학할 때 등록금 전액을 지원하며, 국외 우수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
를 취득할 때 교수 선발에서 우대하는 특전을 주기로 했다.정보통신공학부는 이미 2006년 NEXT사업(과거 정보통신부의 대학 IT전공 역량강화사업)과 BK21사업 ‘정보기술’ 분야에 선정돼 총 20억 원가량을 ... ...
‘다이아몬드 손’ 가진 과학자 최희욱 교수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내서 FIS 단백질이라는 DNA에 결합하는 단백질의 결정도 만들었다. 1989년 41살 나이에 박사
학위
를 받은 그는 이듬해 전북대 화학과에 전임강사로 부임했다.1990년 귀국할 때 부인과 자녀들은 독일에 남았다. 대신 여름방학, 겨울방학 때 최 교수가 독일로 날아가 2달씩 가족과 함께 했다. 이때마다 쟁어 ... ...
나노벽으로 나노건축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강조한다. 실험실 생활도 교육의 연장이라는 것. 이때 습관을 잘 들여놔야 나중에 박사
학위
를 받고 나서 진짜 독립적인 연구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고 말했다.이와 같은 맥락일까. 연구단에는 실험기기가 여럿 있는데 대부분 학생들이 직접 만들었다고 한다. 자기가 원하는 실험을 할 수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