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습"(으)로 총 2,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Editor’s Note] 딴소리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새로운 대상을 접했을 때 신경망을 재배열하고 가중치를 바꾸는 데 능하다(학습에 능하다는 말이다). 혜안을 보여준 인공지능 4파트도 좋지만, 시간의 정체에 대해 탐구하는 물리학 기사는 특히 지적 만족감을 채워줄 것이다. 송준섭 기자는 이번 달에 알파고를 취재하면서 몹시 바빴다. 그만의 ... ...
- [과학뉴스] 로보어드바이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하루아침에 생겨난 것이 아닙니다. 과거에 기록된 기보를 통해 수천만 번 착점을 하면서 학습한 결과입니다.로보어드바이저는 어떨까요? 아직 금융 위기를 겪은 적이 없고 한국 금융 상황에 대한 데이터도 충분히 쌓이지 않았습니다. 로보어드바이저를 통해 투자 자문을 받을 순 있지만, 직접 매수나 ... ...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뛰어넘는 창의성에는 약점을 보일 것이다. 만약 인간에게서 완전히 벗어난 새로운 학습법이 등장한다면 이마저도 무용지물이 되겠지만, 아직까지는 우리 인간에게 할 일이 남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알파고 쇼크, 그 후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Part2. ‘알파크래프트’ ... ...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경우의 수를 따져 본 결과”라고 대답할 것이기 때문이다. 사람은 이런 식으로 바둑을 ‘학습’할 수는 없다.누군가는 인공지능의 반대편에 베팅하지 말라고 했지만 필자는 이세돌의 승리를 바란다. 좀더 중립적으로 이번 대결을 즐길 독자들에겐 딥블루 개발팀의 이 말이 적절한 관전법이 될 것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레시피 I 중등_수학네일아트수학동아 l2016년 03호
- 학생들이 수학을 친숙하게 느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테셀레이션에 대한 내용을 학습한 뒤, 친구에게 수학 네일아트를 해 주면서 아름다운 추억을 남겨보자.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는 테셀레이션을 다루고 있지 않지만, 미국의 MIC교과서나 핀란드의 교육과정에는 다각형의 성질을 활용한 ... ...
- 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필요했다. 딥블루는 하드웨어가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문제가 해결됐지만, 알파고는 학습 기능을 빼고 바둑을 이기는 데에만 최적화시키면 일반인에게도 보급될 수 있을 것 같다.김 알파고는 몬테카를로 트리 방식을 적용했기 때문에 딥블루보다 효율이 좋다. 딥블루가 체스판이 바뀔 때마다 100 ... ...
- [수학뉴스] 세기의 대결! 인공지능 vs 바둑 최강자 이세돌 9단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새로운 전략을 찾는 방법을 익혔습니다. 구글에 따르면 알파고는 3000만 가지의 수를 학습했다고 합니다.이것을 바탕으로 알파고는 바둑돌이 놓일 위치 중 어느 곳이 가장 높은 승률을 낼 수 있는지 알아내고, 상대방의 움직임을 예측합니다. 이와 함께 다양한 상황에서 가장 좋은 수를 골라내는 ... ...
- [Knowledge] 대의를 위한 희생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어떤 개구리 종이 맛있고 어떤 종이 끔찍한 맛인지 아직 모르는 초심자 뱀들을 학습시키기 위해서 딸기독화살개구리가 강렬한 원색과 피부의 독을 함께 진화시켰다는 설명이 맞다고 하자. 이때 조금이라도 눈에 덜 띄는 빛깔의 돌연변이 개구리가 생겨난다면 엄청난 이득을 볼 것이다. 웬만한 ... ...
- [Tech & Fun] 공포라고 다 같은 공포가 아냐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느끼지 못했다. 동물이었다면 천적에 잡아먹히거나 위험한 상황에 닥쳤을 테지만, 그는 학습을 통해 위험한 상황들을 공부하듯 알아갔다.그런데 연구 도중 의외의 실험결과가 나왔다. 웨미 교수팀이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2013년 2월 3일자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이 여성의 체내 이산화탄소 ... ...
- [수학뉴스] 방향에 속지 않는 컴퓨터의 눈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설정하고, 변수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특징이 비슷하다고 해석하는 ‘메트릭 학습 기법’으로 사물을 분석합니다. 그 결과 한 번도 본 적 없는 사물을 보고도 기존에 입력받은 사진과 비교해 사물이 어느 방향을 보이고 있는지 맞힐 수 있었습니다. 인공지능을 위해 사진 속 사물의 방향을 ... ...
이전8081828384858687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