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신호"(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동물 잡는 밀렵꾼 잡는 동물 로봇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진짜 동물처럼 보이게 했다”고 말했다.단속원들은 이 동물로봇을 트인 곳에 설치한 뒤, 신호 송신기가 내장된 무선 컨트롤러나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동물로봇이 고개를 돌리거나 꼬리를 흔들도록 조종한다. 클레멘 대표에 따르면, 최대 1500피트(약 457m) 밖에서도 조종이 가능하다. 만약 밀렵꾼이 이 ... ...
- PART 1. 의식과 무의식이 빚은 1만 개의 언어, 표정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사람과의 사회적인 관계를 학습하면서 배우는 표정이다. 즉 뇌의 피질경로로 전해진 신호에 따라 근육이 수의적으로 움직인 결과다. 결국 사람의 표정이란 무의식적이면서도 의식적이고, 수의적이면서도불수의적인 운동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doi.org/10.1177/0301006616647742). 뼈와 뼈에 붙어 ... ...
- PART 2. 로봇의 도전, 가장 사람다운 표정 만들기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특히 입술은 이시구로 교수의 입술에 달아놓은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하는 대로 전기신호를 보내 움직인다.2010년에는 훨씬 더 정교한 여성 로봇 ‘제미노이드F’가 탄생했다. 제미노이드 F는 기쁨과 슬픔, 난처함,화남 등 이전에 만든 제미노이드보다 표정이 훨씬 풍부하다. 훨씬 다양한 표정을 지을 ... ...
- Part 2. 더 빠른 열차, 어떻게 만드는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달리게 하는 기술 외에도 열차가 달리는 선로와 열차에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 철도 신호, 안전 설비 등의 기술이 뒷받침되어야 해요. 끊임없는 기술개발을 통해 친구들이 더 빠른 열차를 탈 수 있게 노력할게요! ...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지진을 포착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라고 말했다. 미소 지진 수가 갑자기 급증하는 신호를 찾아야 하는데, 변화가 워낙 미약하기 때문이다. 그는 “이번 경주 지진 전에도 연평균 한두 번 발생하던 미소 지진이 4~7번으로 늘었지만 이것이 지진의 전조현상인지는 가려내기 어렵다”고 말했다. ...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달의 뒷면에 머물러 있던 외계인의 우주선은 지구에 내려가 있던 모든 모자의 신호가 끊긴 것을 확인했다. ‘신성호’가 웜홀에 휘말리고 지구 인류가 멸종할 당시 우주선을 조종하던 책임자들은 그로써 죄를 갚고 벌을 받았다. 집행관이 수거한 반대의견자들은 절대영도 상태로 수감되었고, 그들의 ... ...
- PART 3. 수학으로 중력파를 찾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걸러 우리가 원하는 중력파 신호가 있는지 없는지 알아내는 것이다. 필터를 통과한 신호에 중력파가 있다면 흰색 파형과 같은 중력파 파형을 뽑아낼 수 있다.우리나라의 국가수리과학연구소에는 총 4명으로 이뤄진 중력파 연구팀이 있다. 연구팀은 ‘힐베르트-후앙 변환’이라는 수학 이론을 이용해 ... ...
- [과학뉴스] 신장암 환자는 뚱뚱하면 더 오래 산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비만은 건강의 적신호다. 하지만 신장암 환자의 경우 오히려 청신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 다나 파버 암 연구소의 토니 초우에리 박사팀은 신장암 환자 2000명을 대상으로 비만 여부와 생존 기간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과체중 환자들의 평균 생존 기간이 약 25.6개월인데 비해 정상 ... ...
- [과학뉴스] 로제타가 포착한 필레의 최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있는 필레는 사흘 만에 휴면 상태에 들어갔고, 7개월 뒤 혜성이 태양에 접근하면서 잠시 신호를 보내왔다. 하지만 이후 교신이 끊어져 지금까지 위치조차 파악할 수 없었다.ESA는 임무 종료를 앞둔 로제타호를 혜성 표면에 약 2.7km까지 접근시켜 촬영한 결과 필레를 찾아낼 수 있었다. 바위 그림자 ... ...
- [과학뉴스] 인공지능, 사지마비 환자를 움직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보내는 신호를 읽을 수 있는 전극을 심었어요. 그리고 환자의 팔에는 전달된 뇌의 신호로 근육을 움직이게 하는 전극을 붙였답니다.연구팀은 이 장치에 ‘신경의 우회도로’를 뜻하는 ‘뉴럴 바이패스(neuralbypass)’라는 이름을 붙였어요. 뉴럴바이패스는 인공지능을 이용해 뇌가 보내는 명령을 ... ...
이전8081828384858687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