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식
지혜
기지
센스
보통생각
일반생각
재치
d라이브러리
"
상식
"(으)로 총 870건 검색되었습니다.
약효 떨어뜨리거나 부작용 많아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생지황이 든 약을 먹고 생 무우를 먹으면 머리칼이 희게 된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상식
이다.홍차, 녹차 등 차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약으로는 빈혈약이 있다. 산화철을 주성분으로 한 빈혈약을 커피나 홍차, 녹차 등과 함께 먹으면 철분이 차 성분인 탄닌과 작용하여 위나 장에서 흡수되기 힘든 ... ...
뇌세포의 조율사 꿈은 머리를 좋게 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발견한 일화다.꿈을 꿀 때는 뇌파 등을 보아도 사고 수준이 저하된다. 그대신 논리적,
상식
적인 사고에 속박되지 않고 자유롭게 연상할 수 있다. 나쁘게 말하면 논리의 비약이고 좋게 말하면 독창적인 아이디어다. '케쿨레'(S.F.A. Kekule)란 화학자는 뱀이 서로 꼬리를 물고 고리가 되어 있는 꿈에서 ... ...
팽창우주의 운명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우주가 1백억내지 2백억년 전의 빅뱅(대폭발)으로부터 지금까지 팽창해 왔다는 것은 거의
상식
이다. 그러나 이러한 팽창이 언제까지 계속될 것이며 또 그때의 우주는 어떤 모습을 띠고 있을 지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서조차 뚜렷한 의견통일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과연 우주에는 끝이 있을까? ... ...
20대 박사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까지의 시간이 너무 길다는 것도 문제다. 2~3년 걸리는 프로젝트를 4년 걸려서 따내는,
상식
적으로는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상황도 종종 벌어진다. 결국 이렇게 되면 박사는 연구를 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비를 따내가 위한 로비를 할 수 밖에 없게 된다.박사들이 연구소에서 연구를 하지 못하게 ... ...
진화학연구소 이제 총체적 연구가 필요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되는가 하면 신기하게도 공격적인 종이 그렇게 되어버린다. 결국 생쥐들에 있어서도
상식
적인 판단은 다른 종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잘 적용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려야 할 것이다. 분명 진화에 대한 연구가 이런 문제들에 대해 더욱 확실한 것을 알려 줄 것이다 ... ...
종합정보통신망―ISDN 21세기의 꿈의 전송로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통한 정보혁명, 정보화사회를 전개시키기 시작하고 있다는 사실은 이제는 극히
상식
적인 일로 알려져 있다.여기서 특히 통신기술은 현대사회는 물론 미래사회의 기반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통신망에 관한 기술이기 때문에 이 기술이 지향하는 발전방향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ISDN은 이처럼 다가올 ... ...
자비에 피숑 선장 인터뷰 대재앙 예고된 일본 열도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해저 6천m는 생물이 생존하기에 적합치 못한 환경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일반적인
상식
에 불과하고 어디든 생물은 있게 마련입니다. 해저에는 빛이 없기 때문에 양식으로 삼을만한 것들이 부족합니다. 게다가 수압도 엄청나고 기온도 낮습니다. 적자생존의 원리에 따라 해저생물들은 야릇한 ... ...
일본에서 개발된 전기충격요법 색약·색맹이 치료된다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고 설명하고 "불가능을 가능케한 전혀 새로운 기술이 모두에게
상식
으로 받아들여지기 까지는 어려운 고비가 많을 것 같다"고 안타까와 하고 있다.와도 닥터즈 그룹은 이 요법의 해택이 한국인에게도 미치도록 하기 위해 지난 8월1일부터 토쿄 한국 학교 학생 5명의 색맹 ... ...
약학교육의 방향전환 무엇을 만드나 보다 어떻게 쓰나를 중요시할 때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복약지도를 철저히 하는것이다. 환자는 약에 대한 전문가가 아니다. 그래서 의외로
상식
에 어긋난 처리를 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먹는 약을 바르는 수도 있고 바르는 약을 먹는 수도 있다. 이런일은 현실적으로 흔히 있는 일이어서 약에 대한 전문가가 정확하게 지도할 책임이 있다. 그 이전에 ... ...
시간과 공간의 고정관념을 타파한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E}_{k}$는 동시에 일어났다고 정하는 것이
상식
적으로는 가장 타당해 보인다. 그래서 이
상식
적인 정의를 두 장소 J와 K에서 일어난 두 사건 ${E}_{j}$와 ${E}_{k}$의 동시성의 정의로 쓰기로 하자. 그렇다면 이 신호로서는 무엇을 쓰면 될까? 가장 손쉬운것은 '소리' 신호이다. 그런데 그 소리 신호는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