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터"(으)로 총 1,181건 검색되었습니다.
- 초미세 생체현상 속에 답이 있다과학동아 l2008년 01호
- 간결하고 정확한 디지털시스템을 따른다.차가운 반도체에서 태동한 MEMS 기술은 이제 나노미터 규모까지 정교해졌고 생체현상을 모방하면서 훨씬 인간적이고 따뜻해졌다. 자연에 존재하는 가장 완벽한 창조물인 인간의 몸속에 물리법칙을 뛰어넘는 답이 있는 셈이다. 앞으로 나노구동기술을 ... ...
- 블럭으로 올록볼록 과학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23호
- 높은 온도에 녹여 틀로 찍어 내지. 단순해 보이지만 각 블록의 크기 차이가 2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을 정도로 정교하게 만들어진단다.*ABS : 합성수지로‘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의 줄인 말이다.블록+과학=★몇 개의 블록만 있으면 집을 지을 수도 있고, 비행기나 자동차, 공룡도 만들 수 ... ...
- 노벨상은 내 거야! -노벨상 VS 이그노벨상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21호
- 페르 박사님과 독일 윌리하연구센터의 페터 그륀베르크 박사님이 받았어. 두 분은 나노미터(㎚, 1㎚는 10억 분의 1m) 두께의 얇은 막에서 일어나는 독특한 현상인‘거대자기저항’을 밝혀 냈단다. 이 기술은 현재 쓰이는 대부분의 고용량(기가바이트급) 컴퓨터 하드디스크에 정보를 저장하고 읽는 데 ... ...
- 북극 빙하야, 더이상 울지마!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18호
- ”빙하가 이렇게 빨리 녹고 있을 줄이야…. 모두들 깜짝 놀라 입을 다물지 못했어. 수십 미터에 이르는 거대한 얼음벽을 탐사하는 동안 몇 분에 한 번 꼴로‘우르릉’소리를 내며 얼음이 쏟아져 내렸어. 그 밑에는 살점이 떨어져 나간 듯 새하얀 얼음이 어지럽게 흩어졌지. 북극의 빙하가 모두 녹으면 ... ...
- 새들의 고향, 캄차카반도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17호
- 있어 어디를 가도 만년설의 화산을 볼수 있다. 여름이 되면 화산 계곡에 겨우내 수십 미터씩 쌓였던 눈이 녹아 수많은 강을 만들어 낸다. 하지만 강물은 한여름에도 온도가 0℃에 가까워 사람이 들어갈 수 없을 정도로 차다.새를 만나기 위해 68㎞를 달려 바라퉁카온천 근처에 있는 습지로 갔다. 그 ... ...
- 과학의 힘으로 장애를 뛰어넘다과학동아 l2007년 12호
- 모습이 믿음직스러워 보였다.가시광선/자외선A/자외선B가시광선은 파장이 400~760nm(나노미터, 1nm=10-9m)이고 자외선A는 320~400nm, 자외선 B는 290~320nm다. 파장이 긴 가시광선은 피부 지방조직까지 깊숙이 침투하고 파장이 짧은 자외선A, B는 진피조직까지 투과할 수 있다.가족력환자의 가족이나 가까운 ... ...
- 주사기여 안녕~과학동아 l2007년 11호
- 약물이 지나치게 많이 방출되는 경우가 있다. 필자와 포스텍의 김진곤 교수팀은 nm(나노미터, 1nm=${10}^{-9}$m)크기의 구멍이 뚫린 고분자막을 이용해 약물이 일정하게 방출되는 인체삽입형 약물전달시스템을 개발했다. 약물이 방출되는 구멍의 크기를 약물 분자의 크기와 비슷하게 맞추면 모래시계에서 ... ...
- 땅이 둥근지 몰랐던 옛사람, 경위도 개념 있었다과학동아 l2007년 11호
- 1700년대 후반에는 대량생산됐다. 1800년대 초부터는 불편한 월거법 대신 크로노미터를 사용하는 것이 대세였다.그리니치 표준시보다 9시간 빠른 우리나라의 경도 기준은 동경 135°선이다. 이 선은 울릉도 동쪽 350km 위치를 남북으로 지나 한반도의 어떤 지점에도 닿지 않는다.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 ...
- 일본의 셀레네 프로젝트과학동아 l2007년 10호
- mm)를 합쳐서 밀리미크론(mμ)을 써왔으나, 현재는 나노로 대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나노미터는 종래의 밀리미크론과 같은 값이다전기적으로 중성이며 질량이 거의 영인 소립자 원자로에서 강력한 β방사성 물질이 양산되어 존재가 확인되었다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여 원고 작업에서 인쇄까지를 ... ...
- 나노부터 우주까지 빛으로 길이 잰다과학동아 l2007년 10호
- 측정대상은 바로 우주입니다.”수백km에 이르는 인공위성 사이의 거리를 수십 나노미터 수준까지 정밀하게 측정하면 GPS(위성위치확인시스템)의 정확도도 더 높아지고 위성의 움직임도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김 단장은 지구에 있는 천문대에서 인공위성이나 달에 레이저를 쏴 ... ...
이전8081828384858687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