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터"(으)로 총 1,181건 검색되었습니다.
-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과학동아 l2008년 01호
- 일종이라 할 수 있다별과 별 사이의 우주공간에 존재하는 먼지 보통 01㎛(마이크로미터, 1㎛=${10}^{-6}$m) 크기로 자외선은 차단하고 이보다 파장이 긴 적외선은 그냥 통과시킨다 따라서 성간먼지가 많은 은하수 쪽의 하늘을 관측하기에는 자외선보다 적외선이 훨씬 유리하다이산화탄소 중 탄소(C)를 ... ...
- 블럭으로 올록볼록 과학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23호
- 높은 온도에 녹여 틀로 찍어 내지. 단순해 보이지만 각 블록의 크기 차이가 2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을 정도로 정교하게 만들어진단다.*ABS : 합성수지로‘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의 줄인 말이다.블록+과학=★몇 개의 블록만 있으면 집을 지을 수도 있고, 비행기나 자동차, 공룡도 만들 수 ... ...
- 노벨상은 내 거야! -노벨상 VS 이그노벨상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21호
- 페르 박사님과 독일 윌리하연구센터의 페터 그륀베르크 박사님이 받았어. 두 분은 나노미터(㎚, 1㎚는 10억 분의 1m) 두께의 얇은 막에서 일어나는 독특한 현상인‘거대자기저항’을 밝혀 냈단다. 이 기술은 현재 쓰이는 대부분의 고용량(기가바이트급) 컴퓨터 하드디스크에 정보를 저장하고 읽는 데 ... ...
- 북극 빙하야, 더이상 울지마!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18호
- ”빙하가 이렇게 빨리 녹고 있을 줄이야…. 모두들 깜짝 놀라 입을 다물지 못했어. 수십 미터에 이르는 거대한 얼음벽을 탐사하는 동안 몇 분에 한 번 꼴로‘우르릉’소리를 내며 얼음이 쏟아져 내렸어. 그 밑에는 살점이 떨어져 나간 듯 새하얀 얼음이 어지럽게 흩어졌지. 북극의 빙하가 모두 녹으면 ... ...
- 새들의 고향, 캄차카반도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17호
- 있어 어디를 가도 만년설의 화산을 볼수 있다. 여름이 되면 화산 계곡에 겨우내 수십 미터씩 쌓였던 눈이 녹아 수많은 강을 만들어 낸다. 하지만 강물은 한여름에도 온도가 0℃에 가까워 사람이 들어갈 수 없을 정도로 차다.새를 만나기 위해 68㎞를 달려 바라퉁카온천 근처에 있는 습지로 갔다. 그 ... ...
- 과학의 힘으로 장애를 뛰어넘다과학동아 l2007년 12호
- 모습이 믿음직스러워 보였다.가시광선/자외선A/자외선B가시광선은 파장이 400~760nm(나노미터, 1nm=10-9m)이고 자외선A는 320~400nm, 자외선 B는 290~320nm다. 파장이 긴 가시광선은 피부 지방조직까지 깊숙이 침투하고 파장이 짧은 자외선A, B는 진피조직까지 투과할 수 있다.가족력환자의 가족이나 가까운 ... ...
- 주사기여 안녕~과학동아 l2007년 11호
- 약물이 지나치게 많이 방출되는 경우가 있다. 필자와 포스텍의 김진곤 교수팀은 nm(나노미터, 1nm=${10}^{-9}$m)크기의 구멍이 뚫린 고분자막을 이용해 약물이 일정하게 방출되는 인체삽입형 약물전달시스템을 개발했다. 약물이 방출되는 구멍의 크기를 약물 분자의 크기와 비슷하게 맞추면 모래시계에서 ... ...
- 땅이 둥근지 몰랐던 옛사람, 경위도 개념 있었다과학동아 l2007년 11호
- 1700년대 후반에는 대량생산됐다. 1800년대 초부터는 불편한 월거법 대신 크로노미터를 사용하는 것이 대세였다.그리니치 표준시보다 9시간 빠른 우리나라의 경도 기준은 동경 135°선이다. 이 선은 울릉도 동쪽 350km 위치를 남북으로 지나 한반도의 어떤 지점에도 닿지 않는다.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 ...
- 빙산은 이산화탄소 킬러?과학동아 l2007년 10호
- 녹은 얼음에서 흘러나온 미네랄은 식물플랑크톤의 먹이가 된다. 크기가 20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 이상인 식물플랑크톤은 대부분 돌말(규조)류로 밝혀졌다. 연구팀의 조사결과 돌말류는 빙산 근처 바다에서 깊이 8~60m에 서식했다.무인잠수정과 비디오카메라는 빙산 근처 바닷속을 조사하는데 ... ...
- 나노부터 우주까지 빛으로 길이 잰다과학동아 l2007년 10호
- 측정대상은 바로 우주입니다.”수백km에 이르는 인공위성 사이의 거리를 수십 나노미터 수준까지 정밀하게 측정하면 GPS(위성위치확인시스템)의 정확도도 더 높아지고 위성의 움직임도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김 단장은 지구에 있는 천문대에서 인공위성이나 달에 레이저를 쏴 ... ...
이전8081828384858687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