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터"(으)로 총 1,181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노막대로 차세대 태양전지 개발 길 연다과학동아 l2008년 09호
- ” 연구단이 만든 나노막대 하나의 지름은 머리카락의 4000분의 1에 불과한 20nm(나노미터 1nm=10-9m)이고 길이는 100nm 정도다. 이런 막대를 빽빽이 배열했는데 1cm2 당 1000억~1조개나 된다. 전자현미경으로 찍은 나노구조물 표면 사진을 보면 넓적한 빗 판 위에 빗살이 촘촘히 꽂혀있는 모양이다. 도대체 ... ...
- 실험장치 내부온도 100℃로 맞춰라!과학동아 l2008년 09호
- 때문이었다.알루미늄, 실리콘, 산소, 알칼리 금속으로 이뤄진 제올라이트는 수 nm(나노미터, 1nm=10-9m) 크기의 구멍이 수 없이 많이 뚫려 있는 신소재다. 그 구멍에 화학반응을 촉진하는 유기물질을 붙이면 촉매가 되고, 수분이나 양분을 넣으면 토양보습제가 된다. 또 반도체를 집어넣으면 광컴퓨터나 ... ...
- 천하무적 슈퍼항생제과학동아 l2008년 09호
- 하루 빨리 슈퍼박테리아를 물리칠 슈퍼항생제를 개발하지 못하면 인류는 1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 크기의 작은 박테리아에게 속수무책으로 당할지도 모른다.사이버 박테리아 이용해 슈퍼항생제 만든다슈퍼박테리아의 공격 속에서 인류의 미래를 지킬 방법은 뭘까. 전세계 의료계와 ... ...
- 하수도 물까지 마신다?과학동아 l2008년 09호
- 작은 알갱이와 크기가 0.01~0.1μm인 바이러스도 걸러진다. 그 뒤 나노여과막을 지나 나노미터(1nm=10-9m) 수준으로 작은 알갱이도 거른다. 마지막으로 자외선 소독을 해 혹시나 남아있을지 모를 미세 생물을 없앤다. 큰그림 보러가기 2008년 현재 싱가포르의 뉴워터 공장은 모두 4곳으로 하루에 약 2억 90 ... ...
- 나노 크기 공 모양 입자로 다양한 색상 표현과학동아 l2008년 09호
- ‘컬러스피어 토너’(ColorSphere Toner). 컬러스피어 토너는 이름 그대로 염료를 채운 nm(나노미터, 1nm=10-9m) 크기의 공 모양 입자다. 중앙의 ‘왁스 코어’가 핵 역할을 해 입자를 일정한 크기의 공 모양으로 유지시킨다. 크기와 모양이 일정한 토너 입자를 원하는 위치에 배열할 수 있어 더 세밀하고 ... ...
- 미세유체공학과학동아 l2008년 09호
- 전극, 센서와 전자회로로 구성된다. 미세유체공학에서 다루는 미세유체 채널은 마이크로미터(1μm=10-6m) 크기의 유체 기기를 구성하는 데 필수 요소다. 이 기술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의 분리관, 전자기기를 냉각하기 위한 열교환기, 입자분리시스템, 잉크젯 헤드에 널리 이용된다. 예전에 한 ... ...
- 아찔 아찔~! 놀이기구는 진화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09호
- 꼭 내가 탄 의자가 바닥에 쿵~ 하고 부딪힐 것만 같다. 하지만 의자는 바닥에 닿기 전 몇 미터를 앞두고 멈추고, 그 뒤부터는 아주 천천히 내려오면서 우리를 지상에 무사히 내려놓는다.1982년 처음 만들어진 이래로 많은 이의 사랑을 받고 있는 드롭타워가 갖고 있는 가장 큰 스릴은 바로 브레이크의 ... ...
- 탄생! 대한민국 우주인 4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09호
- 있다. 신소재 만들어 주는 무중력 공간 - 제올라이트 실험제올라이트는 좁은 면적에 나노미터 크기의 수많은 구멍이 나 있는 소재로 세제, 탈취제 등의 일상용품이나 건축자재 등 산업용품으로 폭넓게 쓰인다. 지상에서도 제올라이트를 만들 수 있지만, 중력이 없는 우주에서는 훨씬 더 고르게 만들 ... ...
- 소금쟁이가 물 위에서 점프할 수 있는 이유과학동아 l2008년 08호
- μm, 1μm= 10-6m) 크기의 털이 가득 덮고 있는데, 더 확대해보면 털 하나하나에 나노미터(nm, 1nm=10-9m) 크기의 홈이 파여 있다. 털은 물을 싫어하는 성질을 지닌 왁스로 코팅돼 있다. 게다가 다리의 작은 털 사이에 물이 침투하지 못해 마치 공기쿠션이 다리를 감싸는 것과 같은 효과가 난다.그 결과 물 위에 ... ...
- 전자기기 열 잡는 소방수과학동아 l2008년 08호
- 비용을 5분의 1 이하로 줄였다”고 설명했다.연구팀은 2002년 채널 폭이 100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인 ‘마이크로채널 히트싱크’를 만들었다. 마이크로채널 히트싱크는 발열량이 높은 CPU를 냉각시킬 수 있는 차세대 냉각장치다. 김 교수팀은 이 냉각장치의 성능을 기존보다 약 20% 향상시켰다 ... ...
이전767778798081828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