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념
사상
이념
생각
취지
표상
의미
d라이브러리
"
개념
"(으)로 총 3,952건 검색되었습니다.
[탄생 150주년] 나만의 주기율표 만들기, 지금까지 이런 주기율표는 없었다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있고, 그 규칙이 반복된다. 학생들이 원소를 익히고 주기율표를 만들기에 앞서 먼저 이
개념
과 친해지는 게 좋다.강 교사는 “주기율표를 가르치기 전 학생들에게 일상생활에서 주기성을 가진 사례를 찾게 한다”며 “이를 통해 원소의 주기성도 자연스럽게 이해하도록 유도한다”고 말했다. ... ...
[그림으로 보는 수학
개념
] 소인수분해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움직이는 수학으로 공부하기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다룰 수 있는 수학 교육용 소프트웨어다. 자취 방정식이나 공간을 다루는 수학
개념
은 칠판에 그림을 그려 설명하기가 쉽지 않다. 이때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면 교사도 쉽게 설명할 수 있고 학생들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래서 최 교사는 수업 시간에 지오지브라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 ...
[가상인터뷰] 개구리 합창, 일정한 법칙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일개미들이 모여 하나의 생명체처럼 행동한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으며 무리 지능의
개념
이 알려지기 시작했어. 아이하라 교수는 청개구리가 서로 겹치지 않게 노래를 부르는 것도 ‘무리 지능’의 일종이라고 봤어. 그리고 이 무리 지능을 이용하면 ‘사물인터넷 사회’에 필요한 통신기술 개발에 ... ...
수식으로 읽는 하드 사이언스, 메타물질 도장깨기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바뀌는 원리를 이용해 메타물질을 개발해왔다. 음의 굴절률을 가진 메타물질에 대한
개념
은 1967년 빅토르 베셀라고 러시아 모스크바물리기술대(MIPT) 교수가 처음으로 제안했다. 그전까지 사람들은 물질의 굴절률이 항상 양의 값을 갖는다고 생각했다. 그러다 1987년 당시 미국 벨 통신회사가 설립한 ... ...
[통합과학 교과서] 탐정 사무소가 털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4호
부스러져 제 역할을 하지 못할 정도였지요. “이거 왜 이래?” ● 통합과학
개념
이해하기 - 자물쇠는 왜 부식됐을까? 가만히 둔 자물쇠가 녹슬고 껍질을 깎은 사과가 누렇게 변해요. 공통점이 없는 것 같은 두 현상은 화학의 눈으로 보면 같아요. 모두 전자를 잃는 ‘산화’ 반응이거든요. ... ...
[과학뉴스]"포항지진, 지열발전소가 촉발"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유발지진은 지열발전소의 물 주입이 지질 구조에 직접적인 영향을 줘 지진이 일어났다는
개념
이다. 반면 촉발지진은 물 주입과 같은 인위적인 영향이 지진의 최초 원인이기는 하지만 이것 자체가 지진을 일으킨 것은 아니라는 논리다. 규모 5.4의 지진이 지열발전소의 물 주입에 의해 직접 발생한 ... ...
스스로 길을 찾은 수학자, 클레르 부아쟁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다항식의 공통해로 표현할 수 있다는 추측이다. 한때 수학자들은 대수다양체보다 넓은
개념
인 ‘켈러다양체’에서 호지류를 정의한 뒤 똑같이 다항식의 공통해로 나타낼 수 있다고 믿었다. 2002년 부아쟁 교수가 그 반례를 찾아 켈러다양체에서는 호지 추측이 틀렸다는 걸 입증했다. 스스로 결정한 ... ...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폴리매스 프로젝트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문제 외에도 Simon 친구는 최근에 베르누이 수열을 알게 됐다며 공부하다 모르는 수학
개념
이 나왔을 때 정보를 찾는 방법을 물어봤어요. 이에 백진언 연구원은 인터넷에서 직접 베르누이 수열을 검색하며 수학에 관한 정보를 찾는 노하우를 전수했습니다. 과연 백진언 연구원의 노하우는 무엇일까요 ... ...
[SW 진로체험] 답을 찾는 시간이 즐거운 SW 개발자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파악해서 조율해야 해는 기술이에요. 큰 규모의 데이터를 처리할 때 주로 ‘평균’이란
개념
을 사용하는데 평균으로는 어디에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정확히 알기 어려웠어요. 그렇다고 모든 데이터를 확인할 수도 없었죠. 어떻게 하면 평균의 왜곡을 피하면서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을까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