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념
사상
이념
생각
취지
표상
의미
d라이브러리
"
개념
"(으)로 총 3,952건 검색되었습니다.
후보6. 수학자 마음 사로잡은 비둘기집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건 누구도 부정할 수 없을 거예요! 비둘기집의 원리는 경우의 수를 구할 때 유용한
개념
으로 원리가 무척 간단해서 실생활에서도 활용할 수 있어요. 사실 처음부터 ‘비둘기집의 원리’ 였던 건 아닙니다. 1834년 독일 수학자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는 사각형 칸으로 이뤄진 서랍장에 진주를 ... ...
[수학공부 꿀팁] 슈퍼히어로에게 배우는 수학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진짜 수학 문제로 고민하고, 수학은 공부하는 것처럼 자료를 바꿨다. 그날 배우는 수학
개념
이나 문제 상황으로 이어지게끔 스토리를 짜고, 자연스럽게 다음 상황으로 이어지게 영상을 편집했다. 교과서에 나온 스토리처럼 영상 자료를 만든 것이다. 다만 이 교사는 기존에 교과서에 나온 스토리가 ... ...
후보1. 예술성·수학성 모두 갖춘 잠자리 날개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들어보셨나요? 맞습니다, 예술적으로 뛰어나 건물 디자인에도 쓰이는 바로 그 수학
개념
이요! 수학으로 재현한 날개 무늬 우리 날개 무늬에 있는 실처럼 얇은 관이 보이나요? 이게 바로 ‘시맥’이에요. 잠자리의 혈관이라고볼 수 있죠. 시맥은 길이와 굵기에 따라 다시 길고 굵은 ‘제1차 시맥’과 ... ...
질서┃우주 분해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마지막 10-19초에 쪼개져 버린다. 이제 팽창하는 평탄하고 밋밋한 진공만이 남아 시공간의
개념
자체도 사라진다. 이곳에서 입자들은 영원히 만나지 않고 외롭게 떠다닌다 ... ...
[인터뷰] "문제를 풀었을 때 느끼는 희열이 제 원동력입니다"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자리를 옮긴 서홍석 교수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수학 난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개념
을 제시했던 가우스, 오일러와 갈루아를 존경했습니다.”학창시절 서 교수의 꿈은 언제나 ‘어려운 문제를 푸는 수학자’였다. 유난히 문제 푸는 걸 좋아했는데, 특히 방정식을 풀어 깔끔한 답을 찾는 걸 즐겼다. ... ...
후보2. 도마뱀 피부색의 비밀은 세포 자동자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칸의 상태가 동시에 바뀌기 때문에 이전 상태가 다음 상태를 결정합니다. 노이만은 이
개념
을 이용해 주변 상황에 영향을 받아 스스로 복제하는 현상을 연구했죠. 세포 자동자를 유명하게 만든 건 영국 수학자 존 콘웨이에요. 콘웨이는 세포 자동자 원리를 이용해 초기 상태가 규칙에 따라 변하며 ... ...
[통합과학 교과서] 행복한 왕자도 당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동시에 소리쳤어요.“비가 왔어요! 그날, 비가 온 후 더 심해졌어요!” ● 통합과학
개념
이해하기 산성비는 왜 내릴까? 보통 비는 산성이에요. 공기 중에 들어 있는 0.04%의 이산화탄소(CO2)가 내리는 빗물에 녹아 탄산(H2CO3)을 만들어 일반적으로 pH 5.6~6.5로 약한 산성을 띠거든요. 이보다 강한 ... ...
수학 문화재는 어떻게 알아보나요?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공식으로 표현한 관계식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정말 바빌로니아인들이 삼각비
개념
을 알고 점토판을 삼각비 표로 사용했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죠. 문화재를 주제로 한 ‘문화재 님 안녕하세요?’ 방송은 여기까지입니다. 어떠세요? 평소에 굳이 궁금하지 않았던 것까지 ... ...
대한수학회 회장 금종해 교수 인터뷰 "수학 실력은 국가 경쟁력!"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학생들의 미래도 어두워져요.예를 들어 행렬은 빅데이터와 AI를 다루기 위한 기초
개념
인데 고등학교 교육 과정에서 응용 부분이 먼저 제외되더니 결국 전부 빠졌어요. 이공계로 진학하는 학생들이 과거 문과 학생들보다 수학, 과학을 덜 배우다보니 대학교에 들어와 전공을 배우기 전에 익혀야 할 ... ...
RNA가 지구 최초 생명체 만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밝혀지면서 미국의 생물학자 알렉산더 리치가 1962년 ‘RNA 세계 가설(RNA world hypothesis)’의
개념
을 처음 제시했다(‘RNA 세계 가설’이라는 명칭은 1986년 미국 생화학자 월터 길버트가 처음 사용했다). 이 가설에 의하면 지구 초창기에 RNA가 생성됐고, 그 중 자가 복제를 할 수 있는 촉매 성질의 RNA가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