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구
꾸밈
가설
인공
제작
제조
처리
d라이브러리
"
가공
"(으)로 총 1,154건 검색되었습니다.
⑤ 한국천문학의 미래를 건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형으로 초점비가 다른 두 개의 부경이 있으며 이들 거울면은 3만분의 1mm의 정밀도로
가공
돼 있다. 이 망원경은 수평과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경위도식이며, 원하는 별의 위치를 컴퓨터에 입력하면 망원경은 대기의 굴절과 온도는 물론 별의 고도에 따른 망원경 튜브의 팽창과 휨까지 고려하여 1/18 ... ...
초고속선 개발 경쟁시대 왔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선체재료로 사용한 적이 없는 가볍고 튼튼한 재료를 사용하기 위해 재료의 특성과
가공
성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알루미늄 합금제 함정과 일부 고속선 건조실적으로 알루미늄 합금을 이용한 선체설계기술과 건조기술은 충분히 확보돼 있으나 합성수지 복합구조는 아직 초보단계로 ... ...
물과 빛으로 쇠를 자른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금속의 경우를 예로 들면 알루미늄이 강재보다 절단이 용이하다.그러나 레이저절단은 열
가공
이기 때문에 재료의 융점, 열전도율, 레이저광의 흡수율 등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재료의 경도와는 무관하다. 따라서 레이저절단을 할 경우 알루미늄이 강재보다 절단성이 오히려 떨어진다. 국산화에 ... ...
좋은 천체망원경을 고르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조잡하게 만들어져 있지는 않은가?가대의 연결부분이라든가, 기계적인 부분의
가공
상태를 보고도 대체로 성능을 판단할 수 있다. 모든 조정 손잡이가 불편하게 배열돼 엉키지 않고 양손에 쉽게 들어오면 좋다.□ 흔들거림은 없는가?가볍게 두드린후 1~2초 이내에 진동이 멈추어야 한다. 그렇지 ... ...
플루토늄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완성돼 99년부터 가동에 들어갈 계획이다.이들 시설이 완성되면 일본은 핵연료 농축에서
가공
연소 재처리 저장에 이르는 완결된 핵주기를 갖게 된다. 참고로 말하면 우리나라는 이 세가지 시설 가운데 어느 것도 가지고 있지 않다. 다만 일본은 우라늄 자원이 거의 없기 때문에 우라늄을 ... ...
나에게 꼭 맞는 칫솔 치약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요철형인 칫솔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가공
의치 밑부분이나 자신의 본래치아와
가공
의치 사이부분을 잘 닦기 위해서는 단면이 요철형으로 생긴 칫솔을 치아에 직각방향으로 대고 짧은 진동을 줘야 한다. 이러한 사람은 치간칫솔이나 치실 치실고리 등 여러가지 보조구강위생용품들을 사용, ... ...
소아 당뇨병과 우유는 어떤 관계인가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싼 좋은 단백질원임에는 분명하다"고 덧붙였다. 또한 우혈청알부민은 유화안정제로 많은
가공
식품에 포함돼 있기 때문에 이를 섭취하지 않는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는 것.이에 대한 대안으로 연구팀은 알부민에 대해 '관용적인' 백신을 개발하려고 한다. 백신법은 아직 동물실험에서 ... ...
1 네가지 벽 허문 21세기 견인과학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해충에 대한 저항성이 높고, 잡종강세 종자의 생산을 가능하게 하거나 영양가 또는 식품
가공
의 성질을 높인 식물이기 때문에 그 실용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여섯째로 인체유전자사업, 즉 휴먼게놈프로젝트를 들 수 있다. 인체유전자는 약 30억 개의 염기쌍으로 구성된 방대한 유전정보를 ... ...
7 화학 산업의 판도 바꿀 생명의 촉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개발돼 올리고당(oligosaccharides) 등 다양한
가공
제품이 등장하고 있다. 앞으로 계속 식품
가공
과 효소는 불가분의 관계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둘째로 의약제제 합성과 질병퇴치에도 효소는 큰 기여를 할 것이다. 사실 의약품분야는 효소활용의 가장 유망한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효소를 이용하면 ... ...
3 작물개량과 육종의 첨병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고가로 판매되고 있는 등 획기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특히 농산물의 저장
가공
판매수입이 농산물 생산 수입 보다 많아서 우리 농민들은 "어떻게 생산할 것인가" 보다는 "어떻게 팔 것인가"에 보다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농촌에서는 매년 감소돼 가는 식량자급률을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