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허블, 새로운 눈으로 우주를 담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적외선 영역뿐 아니라 기존의 허블이 보던 가시광선, 적외선까지 모두 관측할 수 있도록
개
발될 예정이다. ATLAST가 허블의 진정한 후계자가 될 것이라는 추측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는 이유다. 글 이영혜 기자 yhlee@donga.com 우주의 빛을 낚는 고해상도 카메라허블우주망원경은 발사된 이래 5번의 ... ...
지진도 폭풍처럼 몰아친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응력을 견디지 못해 작은 규모로 일어나는 지진이고 본진은 거대한 단층면이 한꺼번에 쪼
개
지거나 밀려서 나타나는 지진이다. 마치 우표를 뜯는 상황과 비슷하다.‘톡톡’ 하고 우표의 이음새 하나를 뜯는 게 전진, 한꺼번에 우표 하나를 뜯어내는 게 본진에 해당된다. 단층면의 지질구조와 성분은 ... ...
동전 크기만 한 담수화 장치
개
발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물에서 소금기를 제거하는 담수화 시설은 짠 바닷물을 마실 물로 만드는 꿈의 장치다. 하지만 시설이 크고 복잡해 지금까지 기술로는 손에 들고 다닐 만한 크기로 작게 만들기 ... 식수를 얻을 수 있다. 이 기술은 국제학술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3월 21일자 인터넷판에 소
개
됐다 ... ...
남극에 뜬 붉은 렌즈구름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3월 23일 ‘세계 기상의 날’을 기념해 기상사진전을
개
최했다. 올해로 27회를 맞이하는 기상사진전의 최우수상은 남극에서 렌즈구름 생성 장면을 포착한 양필호 씨의 ‘하늘의 전령사’가 선정됐다. 기상전문가와 사진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들은 “렌즈구름처럼 찍기 힘든 현상을 남극에서 ... ...
빅뱅 직후 우주에는 쿼크가 흘렀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고에너지 상태에서 만들어진 수많은 입자들이 발견됐지만 반기묘쿼크를 포함해 반쿼크 9
개
로 이뤄진, 기묘도 1(반기묘쿼크이므로 부호가 반대)인 초입자원자핵의 발견은 예상치 못한 일이었다. 이 발견으로 우주 초기에 존재한 원소들의 핵차트의 3번째 축(기묘도)이 마이너스(입자)에서 플러스 ... ...
한반도 5~6년마다 큰 지진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본격적으로 적용되기 전에 지은 30~40년 된 건물은 속수무책. 소방방재청이 2월 말 공
개
한 자료에 따르면 지진이 났을 때 즉각 피해복구에 나서야 할 전국 251
개
지역 재난안전대책본부 중 184곳에 내진 설계가 적용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지진이 강타할 경우 혼란을 막아야 할 ... ...
우주방랑자 구상성단 무리 첫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사이언스’ 4월 12일자에 발표된다.구상성단은 우주에서 가장 오래된 천체로 약 100만
개
의 별이 축구공처럼 둥글게 모여 있다. 평균 나이가 120억 년이나 된다. 그동안 구상성단은 은하 안에서 주로 발견돼 왔으며 은하 사이에 구상성단들이 무리 지어 있는 모습이 발견된 것은 처음이다.이 교수는 ... ...
GMO는 인류 식량 문제 해결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이어 “무엇보다 세계 각국이 방향성을 갖고 연구를 진행해나가고 있는 상황에서 기술
개
발을 멈추고 가만히 있다면 우리는 식량 후진국의 위치를 영원히 벗어나지 못하게 될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 ...
“국내 최고 과학자들의 창의적 연구성과 즐기러 오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아이디어도 얻을 수 있을 테니까요. 그러고 보니 김 교수님이 만든 마이크로RNA를 제가
개
발한 나노입자에 붙여 암세포 같은 표적부위에만 작용하는 약물을 만들 수도 있지 않을까요?김 : 그런 방법이 있나요? 사실 세포 안에서 질병을 일으키는 단백질의 *전령RNA를 파괴하는 마이크로RNA를 설계할 수 ... ...
인간이 감당할 수 있는 친구 수는 150명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한 부서에 150명 정도가 함께 근무하는 게 가장 효율적이라고 판단해 2007년 전국적인 조직
개
편을 감행했다. 이에 대해 ‘우리가 원숭이냐’라는 불만을 가질 수도 있다. 하지만 원숭이의 행동패턴을 근거로 인간의 한계치를 예상해 하루에 7시간 근무하고 일주일에 3일을 쉬게 했다면 ‘우리는 ... ...
이전
841
842
843
844
845
846
847
848
8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