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C언어 강좌① 경제적이며 배우기 쉬운 고급언어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무의미한 문장이 삽입되어 버린다.그리고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BASIC은 문장번호가 제일
작은
문장이 먼저 실행되는 데 C인터프리터에서는 main( )으로 시작하는 함수부터 실행된다. main 다음의 ( )기호는 main이라는 함수의 인수(argument)가 없음을 의미한다.{ 와 }기호는 변수가 사용되는 영역을 ... ...
작은
소가 보다 이익 많아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소고기의 양을 비교할때
작은
소들을 키우는게 보다 이익이 많다는 것이다. 또한
작은
소들은 큰소보다 훨씬 얌전해서 다루기 쉽고 따라서 목동들의 부담도 덜어 준다는것 ... ...
물리학의 세계적 권위 케임브리지대 카벤디시 연구소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중시한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바꾸어 말하면 응용물리분야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작은
셈이다. 예를 들어보자. '반도체'라는 연구테마가 있다면 이곳에서는 반도체의 장치라든가 규격문제 같은 데에는 관심이 없고 다만 반도체 재료(material)층에 전기가 어떻게 통하는가를 규명하는 게 ... ...
초음파로 교신하는 바다의 신동 돌고래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해역에서도 더러 볼 수 있다. 전장 3m, 무게 3백∼4백50kg. 이에 비해 대서양돌고래는 다소
작은
편으로 2.6m에 2백kg 정도다. 아기자기한 교미, 출산은 꼬리부터돌고래는 보통 수십마리씩 무리를 지어 유영한다. 퍽 영리해서 잘 잡히지는 않지만 일단 잡히고 나면 한나절도 못돼 주는 먹이를 받아 먹을 ... ...
정력의 실체와 관리요령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낸다는 것이 알려져 최근에 세계 여러 나라에서 선풍적 인기를 끌고 있다. 이 방법은
작은
1회용 1ml주사기에다 혈관확장제 1ml를 담아서 방사전에 본인 자신이 음경해면체속에 주입하면 10분이내에 발기하여 약2시간 지속하는 것이다.음경보형물 해면체내 유치법이것은 연필굵기의 실리콘으로 만든 ... ...
PART Ⅳ 바이러스 「현대의 페스트」부른 원시 병원체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현미경의 발달로 열린 '세균학의 전성기'였던 19세기말, 세균학자들은 세균보다
작은
병균이 존재할 지 모른다는 의심을 하기에 이르렀다. 1892년 러시아의 이바노프스키는 담배잎모자이크병의 병원체가 세균여과기를 통과한다는 보고를 했다. 이 병원체는 현미경으로도 관찰이 불가능할 뿐더러 ... ...
국가프로젝트 통한 고급인력 양성을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우리보다는 건실하다고 볼 수 있다.우리나라 정보산업의 시장규모가 아직까지는
작은
편이지만 정부에서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국가기간전산망의 구축 및 종합정보통신망의 구현계획과 기업체에서 일고있는 자동화의 촉진 등 시장의 성장요인이 급격히 증대되고 있어서 매년 23%씩 증가하여 199 ... ...
PART Ⅰ 마이크로 코스모스 사진으로 본 신비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것이다. 광학기계의 2대 발명이라고 일컬어지는 이 두가지 발명 덕분에 인류는 가장
작은
것과 가장 큰 것, 즉 미시세계와 우주세계로 진출할 수 있게 되었다. 처음 고안된 현미경은 렌즈 설계이론과 광학유리가 발달하지 않아 유치한 단계에 머물렀다. 그러나 뉴턴 오일러 등 탁월한 과학자들의 ... ...
10만메가톤의 에너지 태풍의 생성과 소멸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바람의 분포가 전형적인 열대저기압과 같이 된다. 큰것은 직경 1500km 태풍의 크기는
작은
것이라도 직경이 2백km정도이고 큰것은 무려 1천5백km정도나 되는 것도 있다. 중심 최대풍속은 17m/s(1초당 17m)미만인것을 열대성저기압이라 하고 17m/s 이상 34m/s 미만을 열대성폭풍이라 하며 34m/s 이상을 ... ...
가장 큰 날짐승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의 막은 다른것보다 훨씬 크게 자란 네째 발가락에 붙어 있었다. 첫째부터 세째발가락은
작은
발톱달린 발가락에 불과했고 이것은 날개 밖으로 튀어나와 있었다.그렇다면 과연 '프테로사우어'가 어떻게 날 수 있었을까?현재의 모든 파충류는 찬피를 갖고 있으며 새나 포유류에 비해 둔하다. ... ...
이전
836
837
838
839
840
841
842
843
8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