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중국의 황산(黃山) 마치 수묵화를 보는 듯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불어온 따뜻하고 습한 바람과 서북쪽의 찬바람이 바로 이곳에서 섞이게 된다. 크고
작은
봉우리에 걸려 구름이 이곳에 머물고 거기다 봄바람이 규칙 바르게 불어와서는 새로운 구름을 만드는 것이다.소나무 기암 흰구름 외에도 황산이 다른 명산보다 뛰어난것은 온천이다.황산 입구에 있는 황산대문 ... ...
소련의 우주선 내부공개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보이지 않는다. 그오른쪽은 개실(個室)로 왼쪽사진이 그내부다. 붙박이로된 침낭과
작은
의자가 있고 테이블위에는 카셋레코더와 전기면도기가 있다.'미르'에는 여러개의 모듈이 도킹하지만 기본적 생활공간은 이 정도이다. 이런 곳에서 7개월 이상 지내려면 무척 지루할 것이다 ... ...
나일강농어 거대한 물고기가 일으킨 재난 토착어류멸종, 식량자원고갈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과거보다 더욱 극성을 부리기 시작했다.
작은
고기들이 많이 있을때에는 모기의 알을
작은
고기들이 많이 먹어치웠는데 농어처럼 큰 고기는 이런것을 먹지 않는다. 따라서 모기가 보다 많이 번식하게 된것이다. 전문가들과 세계 식량농업기구는 빅토리아 호수의 이런 상황에 대해 비상한 관심을 ... ...
인간이 발디딘지 18년 달의 신비, 얼마나 벗겨졌나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지지받고 있는 이 이론은 달이 태양계 내의 고체상 미소천체가 서로 충돌하거나 훨씬
작은
전체가 모여 형성됐다고 설명한다. 이에 따르면 약 47억년 전 지구 또는 태양 궤도에 있는 물질이 집중했고, 방사성 원소의 붕괴로 물질의 용해가 시작되어 (42∼38억년 전까지) 암석으로 굳었다는 것이다. 또 3 ... ...
로봇 인공지능 갖는 인간의 동반자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생산 라인들. 이런 '비인간적'인 환경에서도 로봇은 쉽사리 작업을 한다. 이 정교한
작은
기계들은 또 다른 기계 곧 공장의 중앙컴퓨터의 지시를 받는다. 말하자면 이 공장의 하나의 거대한 로봇인 셈이다.한편 작업장에서 보다 힘든 일을 하는 로봇도 등장할 것이다. '위험전담 로봇'이 그것. 이들은 ... ...
바다가 화석이 되었나 안데스의 소금대평원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소금을 모우는데는 천연의 각성제 코카(Coca·잎으로 코카인을 만드는 페루 원산의
작은
나무) 잎을 씹으며 하지 않으면 계속할 수 없다는 것이다.자연이 만들어 비축하여 둔 소금을 모우기만 하면 되는것 같지만 소금은 역시 사람이 땀을 흘리지 않고는 손에 넣을수 없는 것인것 같다 ... ...
내가 본 제주도와 동해의 바닷속 새로운 발견에 황홀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물고기들이 많았고 같은 종류라도 크기가 훨씬컸다.
작은
연체동물이나 갑각류 또는
작은
산호등을 주로 촬영하였다.빠른 조류로 인하여 물이 굉장히 맑았지만 촬영하기 위해서 몸을 고정시키기가 너무 어려워 광각렌즈를 사용하여 경관이나 큰 어류 등을 촬영못한게 끝내 아쉬웠다. 동굴과 ... ...
지난 여름의 날씨 기상업무 과학화를 절감케 한 태풍시비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신뢰도가 떨어지는 게 사실이지만 그런대로 참고하기에는 큰 무리가 없다. 강수량이
작은
경우에는 관측에 지장이 없으나 금년처럼 큰비가 내릴 때는 비전문가에 의해 관측될 경우 시간의 정확성 등 착오가 있을 수 있다. 어쨌든 현재 세계적인 기록값들 역시 정규관측소의 것보다는 비공식기록이 ... ...
현대문명의 사생아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하는 등 매우 중요하게 취급되는 것.그러나 대부분의 은행원들이 재고조사 과정에서
작은
묶음의 카드수는 정확히 세면서 큰묶음의 수는 잘 헤어리지 않던 것이 당시의 풍토였다.바로 여기서 허점을 발견한 L은 범행을 더욱 완벽하게 하기위해 은행 내부직원의 예금구좌를 범행대상으로 선택했다. ... ...
극한의 과학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가장 단단한 물질 다이아몬드는 그 희소성과 아름다움 뿐 아니라 높은 열전도용,
작은
열팽성계수, 그리고 훌륭한 내산성(耐酸性)을 가져 공엽용으로도 귀중하게 쓰이고 있다.대형 다이아몬드 합성대부분의 공업용 다이아몬드는 인공합성으로 만들어진다. 천연 다이아몬드 연마재 입자를 씨앗으로 ... ...
이전
835
836
837
838
839
840
841
842
8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