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윗대
선조
소상
조각
선대
웃대
노인
d라이브러리
"
조상
"(으)로 총 1,120건 검색되었습니다.
Ⅱ. 체질인류학/신석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아니었느냐’는 추측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에 비해 최근 북한의 연구자들은 한국인의
조상
이 한반도에서 시작됐다는 ‘자생설’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 논의는 실제로 구석기시대 이래 한반도에서 출토된 화석에 관한 고인류학 연구와 고고학 연구, 그리고 슬기사람의 기원에 관한 연구 ... ...
Ⅳ. 신화/석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몸통을 한마리 새처럼 날려서 하늘을 내왕할 수 있는 모습이다. 신화를 통해 우리의
조상
을 회고할 때 중요한 것은 구체적인 물증이 아니다. 유물이나 물리적 유적이 신화에서 찾아질 턱이 없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의식이다. 이같은 정신의 흔적을 두고서 유물처럼 가령 청동기시대라든가 ... ...
벤처기업가로 나선 이면우 교수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세계적인 문화유산인 창덕궁을 테마로 잡은 것이다. 이는 못을 사용하지 않고 건축했던
조상
의 슬기와, 풀과 가위를 사용하지 않고 각종 건축물을 만드는 페이퍼매직의 철학이 절묘하게 맞아떨어졌다. 지금까지 완성한 것은 15종. 지난해에는 투자한 돈에는 턱없이 부족하지만 4억원의 매출을 ... ...
재미있는 공룡족보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물론 이러한 이빨로는 씹지를 못하고 가지에서 나뭇잎을 갈퀴로 훑는 정도였다. 새의
조상
수각류육식공룡인 수각류(Theropoda)는 사우로포도몰파를 제외한 모든 용반류를 말한다. 오늘날 조류는 여기서 진화했다. 첫번째와 다섯번째 발가락은 매우 작아지거나 퇴화돼 가운데 세 발가락으로 ... ...
침팬치는 진화해도 인간이 될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호모 사피엔스)이 됐다는 것을 의미한다.그러나 유인원과 인간은 같은 관목(공통
조상
)에서 갈라져 나와 각각 침팬지, 고릴라, 사람으로 발전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오늘날의 인류와 유인원들은 각자 다른 길을 따라 진화해온 마지막 산물이기 때문에 어떤 유인원도 인류로 진화해 갈 ... ...
간지럼타는 배롱나무와 음악듣는 오이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철사로 줄기를 감아두기도 하고, 뿌리를 조금 잘라주거나, 줄기에 칼자국을 내거나 했던
조상
들의 방법이 모두 같은 원리에서 출발한 것이다. 나뭇가지 끝을 아래로 휘어지게 잡아맨 것도 휘어진 부분에서 조직을 긴축시켜 수액의 이동을 어렵게 해 과실을 늘리려는 지혜였던 것이다.주변에는 무슨 ... ...
태교는 과학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자극과 함께 임신부가 느끼는 시각의 자극(정서변화)도 간접적으로 느낀다. 우리
조상
이 남긴 대표적인 태교 서적인 ‘태교신기’(胎敎新記)에서 “임신 중 빛이 현란한 곳에는 가지 말라”는 가르침이 있다. 그 지혜로움의 원리가 바로 여기에 있다.시각에 비해 청각에 대한 연구 결과는 훨씬 ... ...
공룡탐사의 천국 몽골 고비사막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골격을 발견했다. 프로토케라톱스는 북미지역에 잘 알려진 트리케라톱스의
조상
으로 가장 원시적인 뿔공룡이다. 뿔은 아직 발달되지 않았지만 이 그룹의 특징인 머리 뒤의 프릴이 잘 발달돼 있다.며칠 후 필자를 포함한 5명의 대원은 트럭 한대에 몸을 실고 투그리크 베이스캠프로부터 남서쪽으로 ... ...
1백년 후의 한국인 1천만년 후의 한반도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변한다. 빛바랜 사진에 등장하는 1백년 전
조상
의 얼굴이 우리에게 낯설음으로 다가오는 것처럼, 1백년 후 자손들 역시 현재 우리의 외모에 적지 않은 거리감을 느낄 것이다. 미래 한국인의 얼굴과 체형은 어떤 모습으로 변신해 있을까. 한반도 주변에서는 별다른 지각변동이 발생하지 않을까. ... ...
3. 유전공학으로 탄생할 21세기 신한국인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단계부터 발병유전자를 찾아내는 연구가 진행중이다. 이런 시술을 받고 태어난 아기는
조상
대대로 물려받아온 고질적인 유전병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을뿐더러, 더이상 자손에게 병을 물려주는 일이 멈춰진다.문제는 단순히 질병 치료 차원을 넘어 ‘우수한’ 형질을 주입하려는 시도가 벌어질지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