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류"(으)로 총 1,200건 검색되었습니다.
- 2. 책상 위에서 사용하는 슈퍼컴퓨터과학동아 l2002년 05호
- 흘려주면 조셉슨 접합의 양단 간에 걸리는 전압이 발생하지 않다가 이보다 많은 양의 전류가 흐르게 되면 급격히 전압이 걸리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이용해 ‘전압이 0인 상태’와 ‘전압이 0이 아닌 상태’를 사용한 논리회로의 구성이 가능하며, 이를 ‘래칭회로’라고 부른다. 래칭회로는 기존의 ... ...
- 1. 공중에 떠다니는 초고속열차 시대 개막과학동아 l2002년 05호
- 많이 사용하는 주간에 방출해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초전도기기는 외부 전원에서 전류를 공급하지 않아도 자기장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많이 보급될수록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에너지를 대폭 절약할 수 있을 것이다.경제적으로 안정하게 발생시킨 강자기장은 많은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 ...
- 빛과 전자가 만난 퓨전학문 광전자학과학동아 l2002년 05호
- 줄인 셈이다.이 연구의 의미는 단지 전류량을 1천분의 1로 줄인데 있는 것이 아니다. 전류를 많이 먹는 종전의 반도체 레이저를 칩 위에서 작동시키면 칩이 과열돼 타버리므로 광집적회로에 쓰이기가 부적합하다. 권교수의 양자테라는 신형 반도체 레이저 개발은 미세한 레이저들이 D램 소자들과 ... ...
- 날씨따라 가격 변동 시키는 원격제어 자동판매기과학동아 l2002년 04호
- 내부 전자장치에 미리 입력해둔다. 그리고 동전이 지나가는 통로 양쪽에 있는 코일에 전류를 흐르게 해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그러면 동전이 지나가는 순간 이 자기장에 변화가 일어나고, 그 결과 코일의 저항이 순간적으로 변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때문에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과 달라지는데, 그 ... ...
- 비커 속에 나타난 태양 에너지과학동아 l2002년 04호
- 스탠리 폰즈, 마틴 프라이슈만 박사팀은 중수가 담긴 비커에 팔라듐 전극을 넣어두고 전류를 흘려주면 중수에 들어있던 수소가 팔라듐에 쌓이고, 그에 따라 팔라듐 결정격자 안에서 압력이 급격히 증가해 핵융합이 일어난다고 발표했다. 이 실험은 1억K 이상의 고온(hot)이 아닌 상온(cold)에서 ... ...
- 왜 극저온 상태를 얻으려 할까과학동아 l2002년 02호
- 영원히 흐를 수 있다. 이러한 초유체의 성질은, 초전도체 도선에는 전기저항이 없어서 전류가 영원히 흐르는 성질과 일맥상통한다.또다른 극저온 연구 대상은 비자성 도체의 초전도현상이다. 초전도현상은 발견 당시부터 자성을 갖지 않으면서 도체인 비자성(非磁性) 도체가 극저온 상태에서 ... ...
- 패러데이의 양초의 화학사과학동아 l2002년 02호
- 과학 연구에서 패러데이의 업적은 일일이 열거하기가 힘들 정도로 다양하고 방대하다. 전류의 자기작용을 이용한 전자기 회전, 전자기 유도, 전기화학분해, 진공방전, 자기장에 의한 편광면 회전, 반자성 등, 하나 같이 현대과학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발견들이었다. 또한 패러데이는‘양초의 ... ...
- 스마트카드 한 장이면 어디서나 만사형통과학동아 l2002년 02호
- 단말 장치 부근으로 이동하면 카드 내부의 코일에 유도전류가 발생한다. 발생된 유도전류는 반도체칩의 제작시 함께 제작된 공간에 저장되고, RF카드가 단말 장치로부터 지시받은 일을 수행할 때까지 짧은 시간동안의 전원으로 이용하게 된다.모네타카드, KTF멤버스카드, M-plus카드 등 최근 떠오르고 ... ...
- 국내 연구진 탄소나노튜브 위치제어 성공과학동아 l2001년 12호
- 때 높아지는 열 발생 문제가 해결되고, 기존의 실리콘소자처럼 불순물로 넣지 않아도 전류의 방향이 쉽게 조절된다.이런 이유 때문에 탄소나노튜브는 개발 초기부터 반도체소자로의 응용가능성이 모색돼 왔다. 그리고 1997년 네덜란드 델프트대의 데커 연구팀은 최초의 탄소나노튜브 트랜지스터를 ... ...
- 03 2005년 한국에 뜨는 별 K스타과학동아 l2001년 12호
- 최근 각광받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전류구동시스템을 장착해 플라스마 안정에 필요한 전류를 흐르게 할 예정이다.비행기로 장시간 여행하다 보면 간간이 기류가 불안정한 지역을 지나면서 기체가 흔들리는 현상을 경험하듯이 K스타 핵융합로에서도 장시간 핵융합 반응을 지속시키려 하다보면 ... ...
이전7980818283848586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