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3D TV 아직도 안경 끼고 보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방식이다. 하나의 레이저 빔은 반사된 뒤 물체 표면의 한 점을 나타낸다. 여러
개
의 레이저 빔을, 쏘는 방향과 시간을 달리하면서 동시에 반사시키면 공간상에 실제로 입체적인 물체의 표면을 만들어낼 수 있다.체적형 디스플레이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방식은 무안경 3D 디스플레이의 최종 ... ...
첨단 바이오 자원으로 거듭나는 대나무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비율이 다른 수종에 비해 무척 높기 때문이다. 이는 대나무가 미래 바이오에너지로
개
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대나무 같은 유기물을 직접 또는 생·화학적, 물리적으로 변환시켜 연료나 에너지 형태로 만들려면 빠른 시간 내에 많은 바이오매스를 만들어야 하는데, 대나무는 좁은 면적에서도 ... ...
나에게 유리한 수시 전형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진학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넘어야 할 산이기 때문에 자연계 논술의 체계적인 대비법을 소
개
한다. 첫째, 수학 논술부터 시작하라. 수학 논술은 모든 대학의 공통 주제이며 항상 높은 난이도와 다양한 주제들로 논술 시험의 성패를 결정하고 있다. 수학 논술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과목이므로 ... ...
아찔아찔, 거울 나라 탈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놀러왔어요. 친구들이 ‘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에 남기고 간 멋진 사진들을 소
개
합니다~. 무서운 해골이 어떻게 변했는지 함께 볼까요?섭섭박사의 신나는 과학실험실로 초대합니다~kids.dongascience.com❶ 내가 만든 섭섭박사 실험실!부록을 만드는 모습이나 나만의 놀이 방법을 사진에 담아 ... ...
2010
개
인게놈 시대
개
막 선언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큰그림 보러가기“게놈해독 장비가 발전하는 속도는 반도체 칩의 처리속도가 18
개
월 만에 두 배가 된다는 ‘무어의 법칙’보다 훨씬 가파릅니다. 최근 수년 동안은 해독 ... 계속 보시려면? 2010
개
인게놈 시대
개
막 선언 생명정보학, 게놈 데이터 더미에서 보석 캔다
개
인게놈 시대 미리 ... ...
꿀벌보다 못한 인간의 선거방식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데는 꼬박 16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 꿀벌은 자신의 무리에게 새집을 소
개
하기만 하면 된다.이렇게 꿀벌도 민주주의를 실현하고 있다. 실리 교수는 꿀벌의 이런 의사결정 방식을 두고 우리 인간 세상에서도 꿀벌처럼만 한다면 해결되지 않는 일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동안의 ... ...
날갯짓 하는 로봇새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상대적으로 고도 변화가 크고, 비행자세각의 변화가 크다. 연구팀의 로봇새 SF-2는 꼬리날
개
의 운동을 통해 안정적 시야를 확보하면서 비행할 수 있게 됐다. 바람이 불더라도 어느 정도 안정성을 유지하며 비행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군사작전이나 화성탐사에 활용 가능로봇새 비행체는 고정익 ... ...
멸종위기종 산양의 복원 현장 설악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실험을 통해 우리나라 산양은 일본 산양과 속이 다르다는 결과도 얻어냈다. 이 교수는 “
개
체 검사는 어느 지역에 산양이 몇 마리가 살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 효과적인 도구이고 집단 간 DNA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근친교배 정도를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연구팀은 대구지방환경청의 ... ...
천안함 7분간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스트레스성 장애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생존 장병 39명도 적게는 3~6
개
월 간 꾸준한 심리상담이 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조사됐다. 5월 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미래희망연대 김정 의원 주최로 열린 ‘전장스트레스 실태와 관리방안’ 세미나에서 계요병원 정신과 박주언 ... ...
염증 줄이는 음식 속 도우미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결과를 도출하는 데까지 거의 일주일이 걸리는 셈이다. 이런 실험이 한 주에도 여러
개
가 동시에 진행된다. 실험이 실패할 경우를 대비해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다. 연구원들은 실험 일정을 가급적 겹치지 않게 짜고, 실험 단계마다 실험 내용을 시간별로 꼼꼼하게 기록한다. 나중에 ... ...
이전
832
833
834
835
836
837
838
839
8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