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방
전면
앞쪽
표면
정면
선두
프런트
뉴스
"
앞
"(으)로 총 9,285건 검색되었습니다.
쌀밥, 김치 누르고 커피가 1등한 까닭
2014.10.12
커피에 향을 곁들이는 것이다. 향을 주제로 한 완벽한 커피 분석을 추구한 이 책
앞
에서 어떤 커피책이 ‘내 것이 더 수준이 높다’고 자랑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읽다 보면 다양한 화학적, 식품학적 지식도 함께 늘어날 것이다. ... ...
[이주의 과학 신간] 리처드 뮬러의 그림으로 배우는 물리학 外
2014.10.12
한국의 청소년들에게 보내는 글에서 ‘이 책을 통한 자그마한 물리학 지식이 여러분
앞
에 놓인 멋지고 흥미로운 기회를 이해하는 열쇠가 될 것이고, 그런 이해는 바로 세상을 바꾸는 변화에 참여하고 만들어가는 바탕이 될 것’이라고 당부한다. 65개에 이르는 흥미로운 질문에서 물리학의 참된 ... ...
노벨상 수상자 반전 매력 ‘스케치 오브 사이언스’
2014.10.10
한 것. 그리고 수상자들은 자신의 스케치를 들고 각양각색의 표정과 동작으로 카메라
앞
에 섰다. 사진은 독일의 전문 사진작가가 촬영했다. 스케치 오브 사이언스 전시회는 2012년 노벨박물관에서 처음 공개된 뒤 독일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일본 등 매년 4, 5개국을 돌며 순회 전시 중이다. 이 전시회가 ... ...
키컸으면~ 키컸으면~ ‘키 유전자’ 700개 추가로 발견
2014.10.06
키를 결정하는 유전자의 20% 정도를 설명할 수 있게 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연구진은
앞
으로 더 많은 유전자 정보를 분석해 아직 밝혀지지 않은 유전자를 찾아낼 계획이다. 연구진을 이끈 팀 프레이링 영국 엑스터대 의대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가 키와 관련된 질병인 골다공증이나 심장 질환, ... ...
태양전지, 제조원가 절반으로 낮췄다
2014.10.06
한 번의 공정으로 끝내는 기술을 추가로 개발해 공정 과정을 대폭 줄였다. 연구팀은
앞
으로 기판의 두께를 50㎛까지 줄이고 태양전지의 에너지 효율을 지금의 18.5%에서 20% 이상으로 끌어올려 세계적 수준으로 높일 계획이다. 송 연구원은 “이번 연구성과는 우리나라가 태양광전지 시장에서 ... ...
40cm ‘조종사 로봇’으로 비행기 조종 세계 첫 성공
2014.10.03
의심스러운 마음에 ‘조종사 로봇’을 치우고 직접 조종간을 잡고 시뮬레이터
앞
에 앉았다. 최선을 다해 비행기 중심을 잡아 봤지만 미처 이륙도 하지 못하고 땅에 고꾸라졌다. 몇 차례 더 시도했으나 조종사 로봇을 따라가기엔 역부족이었다. 조종사 로봇의 첫 데뷔는 올해 8월. 심 교수팀은 충북 ... ...
돼지 췌도를 원숭이에 이식… 당뇨병 치료법 청신호
2014.10.01
필요한 췌도 세포를 공급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를 주도한 김 교수는 “
앞
으로 돼지 등 이종의 췌장을 활용한 이식에서 기술적인 안정성이 확보가 된다면 췌도 이식에 필요한 췌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난치성 당뇨 환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연구의 의의를 ... ...
과학♥만화 연애한지 10년째 되는 날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9.30
어린이과학동아는 10년 동안 ‘과학만화잡지’라는 정체성을 꿋꿋이 지켜내 왔다.
앞
으로 다가올 10년도 어린이들의 즐거운 과학 친구의 역할을 잘 해내길 기대해 본다. ... ...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미끄러지는 이유
2014.09.29
마찰계수가 0.066일 때 각도의 한계는 3.8도로 15도일 때는 수평성분의 힘이 더 커 결국
앞
으로 쭉 미끄러지게 된다. 겨울에 빙판길을 걸을 때 본능적으로 보폭을 줄이는 것도 수평성분의 힘을 마찰력보다 작게 해 미끄러지지 않기 위함이다. ●껍질 으깨지며 과립 젤이 균일한 졸이 돼 그렇다면 왜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 미래 모습이 궁금하면 과천 가 보세요
2014.09.28
괴물 등 국내 SF 창작문화의 발달과정을 짚어 본 ‘올댓 SF’ 등의 전시회도 마련됐다.
앞
으로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50년 뒤의 세상은 어떻게 변해 있을까. 정말 우주선을 타고 여행을 갈 수 있을지, 아니면 외계생명체와 만날 수 있을지 궁금해졌다. 아이를 핑계 삼아 SF축제에 가 봐야겠다 ... ...
이전
829
830
831
832
833
834
835
836
8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