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뉴스
"
우리
"(으)로 총 9,800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韓中日 달탐사 경쟁 심화… “먼 옛날 달은 ‘동생’이 있었다는데”
2015.09.19
예상보다 훨씬 복잡하다는 사실을 확인해 ‘사이언스’에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우리
정부도 지난 2013년 11월 달 탐사를 포함한 우주개발 로드맵을 밝혔다. 미래창조과학부가 7개 관계 부처와 함께 마련한 우주개발 중장기 계획에 따르면, 2020년까지 달 탐사선을 발사하고 2030년에는 달 샘플 ... ...
와 함께하는 ‘쥬니버 과학스쿨’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15.09.18
가 국내 영유아 포털 서비스 쥬니어네이버(이하 쥬니버)와 함께 ‘어린이과학동아와 함께하는 쥬니버 과학스쿨’을 개최한다. 올해로 창간 11주년을 맞는 는 기사와 만화, 실험, 체험 프로그램 등 과학과 관련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어린이 과학전문잡지를 ... ...
점점 늙는 腦, 계속 젊어지는 肝
2015.09.18
이 젊은 희도(신하균)의 몸을 뺏고자 하는 줄거리를 다룬다. - 프라임엔터테인먼트 제공
우리
몸속 간은 젊고 ‘쌩쌩’한 반면 뇌는 가장 나이든 기관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마틴 벡 유럽분자생물학실험실(EMBL) 그룹리더가 주도하고, 미국 솔크연구소, 캘리포니아 버클리대 등이 참여한 ... ...
“역사적 사업 어깨 무거워… ‘사즉생(死則生)’ 각오로 프랑스 떠난다”
2015.09.18
반면에 다다 사무차장은 꼼꼼한 일처리로 정평이 나 있다”며 “비고 사무총장 등
우리
세 명이 시너지를 낸다면 ITER 프로젝트에도 성공적인 결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임기 5년의 사무차장직을 수행하기 위해 10월 카다로슈로 떠난다. 그는 “죽고자 하면 산다는 뜻의 ‘사즉생(死則生 ... ...
내 아이 운동 적성 ‘스포츠 유전자’로 찾아볼까
2015.09.18
맞춤 훈련도 가능해 졌다. - 동아일보DB 제공 각종 프로스포츠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우리
아이가 어떤 운동을 잘할지 적성을 찾아주려는 부모들이 늘고 있다. 최근 과학계에서는 유전자 정보를 통해 운동 능력을 예측하는 연구 결과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 유전자에 맞는 종목, 훈련방식 있어 ... ...
데니스 홍 UCLA 교수 “생물학자와 손잡고 동물근육 지닌 로봇 도전”
동아일보
l
2015.09.17
공장 조립용 로봇처럼 평평한 바닥에서 정해진 딱딱한 움직임을 위해 만들어졌다”며 “
우리
는 생물학자와 수년간 일하며 재난 구조 현장에 투입할 수 있는 로봇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고 말했다. 홍 교수는 구조용으로 개발한 기어 다닐 수 있는 로봇을 소개하며 “초등학교 때 현미경으로 ... ...
닭은 왜 가축이 되었나
2015.09.16
친하게 지낼 수 있는 동물은 사람과 함께 있을 때 더 잘 자라고 생산성이 높아지는 만큼
우리
선조들은 이러한 동물들만 골라내 가축화했을 것”이라며 “이번 결과를 닭뿐 아니라 돼지나 소 등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생물학 관련 학술지 ‘바이올로지 레터스(Biology ... ...
[수학교육 논쟁] 수학을 제대로 가르치자
2015.09.16
괜찮은 나라일수록 상급학교 진학에서 표준화된 시험의 영향력이 크지 않다. 그런데
우리
나라는 가르친 교사가 평가한 결과는 싹 무시하고 수능 점수 등의 영향력이 너무 절대적이다. 금년에 발표된 제2차 수학교육 종합계획에서 수업에서의 과정평가나 수행평가의 중요함을 역설한 것은 아주 ... ...
[수학교육 논쟁] 수학 교육, 줄일 게 아니라 흥미롭게 만들어야
2015.09.16
왜 나왔는지’와 ‘어디에 쓰는지’도 알게 될 것이다. 마사이족에게만 아니라
우리
에게도 마실 물은 필요하다. 하지만 아이들이 살아갈 미래에서 각자의 꿈을 이루도록 준비시키는 교육도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가. ...
영화 ‘킹스맨’처럼 소리로 뇌세포 조종 성공
2015.09.15
뇌세포나 신경세포 등을 조종하기 위해 근적외선을 이용했다. 빛 중에서는 근적외선이
우리
몸을 투과하는 능력이 가장 뛰어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근적외선에도 한계가 있어 일반적으로 빛이 닿지 않는 세포에 신호를 주기 위해서는 수술을 통해 광원을 인위적으로 체내에 집어넣어야 하는 등의 ... ...
이전
828
829
830
831
832
833
834
835
8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