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정
뜻
뜻매김
도리
정당
정념
정도
뉴스
"
정의
"(으)로 총 1,215건 검색되었습니다.
[기본단위 재
정의
] 의약업계 손익 가르는 ‘㎏’
정의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7
재는 단위인 ‘몰(mol)’에 대한 기준도 새롭게
정의
됐다. 한꺼번에 4개의 기본단위가 재
정의
된 것은 근대 단위 표준화가 이뤄진 143년 역사상 이번이 처음이다 ... ...
[기본단위 재
정의
] 실생활·산업분야선 변화 아닌 변화
동아사이언스
l
2018.11.17
물질량의 단위인 몰(mol) 역시 입자(일반적으로 원자 또는 분자)의 개수로 새롭게
정의
된다. 이 때문에 몰의 양을 계산하기 편리해진다. 화학 산업분야에서 한층 더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가장 변화가 작은 분야는 온도측정 단위인 켈빈(K) 분야다. 켈빈은 미래를 대비해 ... ...
“불변의 단위 시대...생명공학, 초고속통신 혁신 가능할 것”
과학동아
l
2018.11.16
전망이다. 투표에 참여한 박상열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은 “오늘 단위 4가지를 재
정의
함으로써 나노과학과 생명공학, 초고속통신 등 분야에서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과학기술이 발전하는 데 이바지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베르사유=이정아 동아사이언스 ... ...
53개국이 찬성했다 “도량형 바꾸자”
2018.11.16
열역학의 ‘볼츠만 상수’를 쓰고, 물질의 양도 화학의 ‘아보가드로 상수’를 이용한
정의
로 바뀌었다. 비록 단위의 기준이 바뀌었지만, 일상생활은 변하지 않는다. 일상에 피해가 없도록 이전 수치를 거의 그대로 유지하 채 '근거'가 되는 기준만 정교하게 조정했기 때문이다. 그래도 정밀 ... ...
생활 속 4개 측정 기본단위 기준, 143년 만에 확 바뀐다
2018.11.16
말했다. 이번 국제적인 단위 재
정의
에는 한국도 일부 기여를 했다. 온도 단위 켈빈을
정의
할 때 필요한 볼츠만 상수 측정에서 대표적인 표준기구인 프랑스 및 영국 표준기관의 값이 미세하게 달랐다. 양인석 표준연 열유체표준센터장팀은 자체 측정을 통해 영국 기관의 오류를 밝혀내 정확한 상수를 ... ...
뇌파 생성 신경회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보고 있다. 조 교수는 “수많은 작은 연구결과를 집대성해 새로운 학문적 원리를
정의
하는 ‘시스템생물학’ 기법을 동원한 것이 이번 연구의 큰 도움이 됐다”면서 “뉴런간의 복잡한 연결성에 숨겨진 설계원리를 찾아낸다면 뇌의 동작원리를 파악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이 열릴 것”이라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 비타민을 아시나요
2018.10.31
개념을 만들었다. 없어도 당장 생존에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지만(따라서 기존
정의
에 따르면 비타민이 아니다) 건강하게 오래 살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영양소를 ‘장수 비타민(longevity vitamin)’이라고 이름 붙인 것이다. 참고로 기존 개념에 충실한 비타민을 ‘생존 비타민(survival vitamin)’이라고 ... ...
AI화가가 그린 작품 어떻게 5억원에 낙찰됐나
2018.10.26
혹은 ‘세렌디피티’ 이 새로운 범주의 예술은 우리가 예술 혹은 아티스트를 어떻게
정의
할 것인가에 대해 다양한 의문을 제기합니다. AI 소프트웨어의 예술일까요? 아니면 알고리즘을 작성한 프로그래머의 예술일까요? 초기의 데이터로 제공된 기존 그림을 그린 화가들의 공동 작업이라고 생각할 ... ...
몸은 죽고 뇌만 살아있다면… 온전한 인간으로 봐야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18.10.19
때는 먼저 ‘정상인의 범주’를 명확히 해야만 그 기준을 벗어나는 상황에 대해서도
정의
할 수 있다”면서 “이런 학계의 노력은 인공지능의 윤리적 운영법 등을 개발할 때도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토마토는 과일이 될 수 있을까?
2018.10.16
사실 토마토는 ‘과일이냐 채소냐?’라는 논쟁이 있을 정도로 애매한 대상이다. 과일의
정의
가 ‘먹을 수 있는 열매’이므로 식물학적으로는 당연히 과일이지만 실제 쓰임새는 주로 요리의 식재료이므로 실생활에서는 채소로 볼 수 있다. 과일이든 채소든 무슨 상관이냐 싶지만 1893년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