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상"(으)로 총 3,019건 검색되었습니다.
- [로보트 재권V] 사물인식에 음식인식까지 심부름 시켜보자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유추 능력도 발휘할 수 있습니다. 최근 개발된 인공지능은 카메라로 찍은 개와 고양이의 영상을 보고 둘을 구분해 내는 수준에 이르렀습니다. 인공지능 프로그램에 데이터를 입력하면 똑똑한 인공지능 프로그램이 탄생하는 시대가 됐습니다. 아직은 한 분야에 국한돼 그럼 인공지능이 이미 ... ...
- 과학은 이해다_정종태 교사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듣고 있던 이 군은 또 다른 사례로 지난해 초 교내에서 열린 ‘열기구날리기’ 대회 영상을 꺼냈다. 비닐을 이용해 낙하산을 만들고 여기에 공을 매달아 공의 체공 시간이 가장 긴 팀이 이기는 대회였다. 참가한 학생들의 함성이 월드컵 한일전을 방불케 했다. 이 군은 “열기구날리기 대회를 ... ...
- [SW 진로체험]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영상만든다!수학동아 l2019년 05호
- 분야에서의 SW 개발자는 단순히 문자에서 문자로 프로그램 개발이 끝나는 것이 아니라 영상과 같은 시각적인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점이 큰 장점이라고 생각해요. 참여했던 영화 제작 프로젝트가 마무리되고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순간 그 기쁨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죠. 프로그램 개발과 영화, ... ...
- 블랙홀 첫 직관, 여전히 궁금한 5가지!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약 뿌연 유리창의 성질을 제대로 이해할 수만 있다면, 최신 영상 복원 기술을 통해 Sgr A*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다만 아직 두꺼운 구름층에 대해 계속 이해하고 있는 중이며, 국내에 있는 3대의 전파망원경(한국우주전파관측망)이 여기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손 ... ...
- [수학미술관] 디즈니 애니메이션 만드는 마법 수학수학동아 l2019년 05호
- 뒤 눈의 운동을 시뮬레이션합니다. 디즈니는 겨울왕국이 개봉할 당시 테란 교수의 영상을 함께 공개했습니다. 이것만 봐도 디즈니가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때 수학적인 기술을 얼마나 중요하게 여기는지 알 수 있습니다. 올해 디즈니는 겨울왕국의 후속작 ‘겨울왕국2’를 개봉할 예정이라는데요, ... ...
- 하현준 대한화학회장 인터뷰 "원소 118개 영상 공개해 화학의 가치 알릴 것"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모든 원소를 하나씩 다룬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 건 세계 최초”라며 “제작된 영상은 국내 포털사이트를 통해 공개해 많은 사람이 볼 수 있게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대한화학회는 원소를 다룬 방송 프로그램, 대중 강연, 나만의 주기율표 그리기 대회 등도 진행한다. 하 회장은 “우리나라는 1 ... ...
- 韓-中 폴더블폰 대전, 승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새로운 스마트폰 시장이 형성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최근 사용자들이 스마트폰으로 영상을 시청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넓은 화면이 장점인 폴더블폰을 찾는 소비자가 많아질 것으로 예상됐다는 것이다. 폴더블폰을 펼치면 태블릿과 같은 대화면이 만들어진다. 실제로 갤럭시 폴드의 경우 ... ...
- [미국유학일기] 국적은 달라도 K팝 댄스로 통한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일과를 마치면 다 같이 모여 함께 춤을 추곤 했다. 이 때 매주 한 편 씩 K팝 댄스 커버 영상을 찍었는데, 지금 돌이켜보면 ‘어떻게 그렇게 열심히 했을까’라고 생각할 만큼 친구들과 굉장히 많은 시간을 보냈다. 덕분에 동아리 친구들과 더욱 친해질 수 있지 않았나 싶다.미국 대학생들은 한국 ... ...
- 거짓말 탐지 수사 직접 받아보니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돼실제 수사에 사용되는 거짓말 탐지는 폴리그래프 방식 외에도 뇌파, 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 촬영, 동공 크기 확인 등 신체 반응을 측정해 이뤄진다. 거짓말 탐지의 목적이나 질문 방식에 따라 적절한 방식을 이용하면 거짓말 판별의 정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거짓말 탐지의 목적은 크게 ... ...
- 10대 '저녁형 인간'이 30대 '아침형 인간' 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빠져 밤을 새기 일쑤였다. 20대 초반에는 대학 방송국에서 제작PD를 하며 꼬박 2년 반 동안 영상과 오디오 편집에 매달렸고, 새벽 2~3시 방송실에서 잠드는 게 다반사였다. 그렇다. 나는 전형적인 ‘저녁형 인간’이었다. 오전 수업은 당최 집중이 안 됐다. ‘그렇게 낮밤을 바꾸면 정신 건강에 안 ... ...
이전7879808182838485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