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포
사격
방출
방사
저격
출산
분만
d라이브러리
"
발사
"(으)로 총 2,131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형 달탐사선 베일을 벗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먼저 달 주위를 도는 궤도선을 쏘아 올리고, 그 이후 달 표면에 내려앉는 착륙선을
발사
할 계획이다.현재 달탐사기반연구팀은 두 종류의 착륙선을 개발하고 있다. 액체연료를 쓰는 ‘A형’과 고체연료를 쓰는 ‘B형’ 모델이다. 액체연료 모델은 실험장비를 더 많이 보낼 수 있지만 제어 기술을 새로 ... ...
우주 개발의 개척자 사운딩 로켓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우주기술 선진국에 비하면 우리나라는 아직 부족하다. 전 국민의 이목을 끄는 대형 로켓
발사
도 시도하면서 동시에 꾸준히 인력을 양성하고 로켓 기술을 축적해야 선진국을 따라잡을 수 있다 ... ...
나로호, 드디어 꿈을 싣고 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사실을 증명했지요. 이로써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11번째로, 자국에서 자력으로 위성을
발사
한 국가가 가입할 수 있는 ‘스페이스 클럽’의 멤버가 됐어요. 나로과학위성은 앞으로 1년간 지구를 하루에 14바퀴씩 돌며 태양의 여러 활동을 관측해 우주 날씨 예측에 도움을 주는 한편, 적외선카메라로 ... ...
PART 3. 중력이 수상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된다.우선 탐사선 파이어니어의 이상 현상을 빼놓을 수 없다. 파이어니어는 1970년대 초에
발사
된 이래 현재 태양계 밖을 향해 여행하고 있다. 이 탐사선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면 이들이 태양계 밖에서 감속되는 정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그런데 문제는 그 수치가 일반상대성이론으로 ... ...
유물위성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지 2년 몇 개월. 표지판을 다시 원래 위치에 갖다 놓으려는 사람들의 마지막 시도가 로켓
발사
52초 만에 실패로 돌아간 뒤 사흘이 지난 어느 날 새벽에 일어난 일이었다. 내 시계에 찍힌 시간으로 오전 3시 43분 몇 초. 평화조약이 갓 해제된 태양계 세 번째 행성 지구를 공격하기 위해 대기권 아래로 ... ...
날아라 공기로켓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저한테 절대 안 된다고요.얼마든지 받아드리죠~.생각해 봅시다1로켓을 어떤 각도로
발사
하면 더 멀리 날릴 수 있을까요?2비행기 날개를 어떻게 조절하면 더 오랫동안 날릴 수 있을까요?어떻게 공기의 힘으로 로켓을 날릴 수 있는지 이제 확실히 알겠지? 압축을 많이 시킬수록 압력도 세져서 더 멀리 ... ...
PART 5. 우주에 퍼지는 시공간의 물결, 중력파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카미오카 광산에 ‘카그라(KAGRA)’라는 중력파검출기를 건설하고 있는 일본도 2027년
발사
를 목표로 우주 중력파검출기 ‘데시고(DECIGO)’를 준비하고 있다.한편, 레이저 간섭계가 아닌 원자 간섭계를 이용한 방법도 차세대 검출기로 물망에 오르고 있다. 레이저 대신에 원자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 ...
서울에 '운석우'가 떨어진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침입하면 이온층이 교란되면서 무선통신에 혼란이 일어날 수 있다. 이온층은 지상에서
발사
한 전파를 반사하기 때문에 무선 통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실제로 지난 러시아 ‘운석우’ 상황 당시 휴대전화가 정상 작동하지 않았다. 또 이온층의 교란 때문에 대기와 지표 사이에 유도전류가 ... ...
나로호 볼 때마다 ‘고맙다’ 말했죠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때문에 끊임없는 노력과 응전이 필요하다고 후배들에게 늘 말합니다. 우리 연구원에
발사
체를 개발하는 인력이 저를 포함해 딱 199명입니다. 선진국에 비하면 정말 적지만 우리가 함께 해내고 싶습니다 ... ...
한국형
발사
체와 은하 3호는 이란성 쌍둥이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고려해 볼 때 이런 대규모 고추력 로켓이 우리에게 적합한지는 의문이다. 오히려 한국형
발사
체 이후에는 비슷한 크기에 성능을 2~3배로 높이는 연구가 바람직하다. 선진국은 추진제로 액체수소와 액체산소를 사용하는 극저온 엔진을 개발해 이런 목표를 달성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은 과감히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