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둘"(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 반려견 표정의 시그널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상관관계를 이용해 대상을 분류하는 방법입니다. 종속변수★서로 관계를 주고받는 둘 이상의 변수 중에 다른 변수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독립변수, 다른 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 변수를 종속변수라고 한다. 오래전부터 과학자들은 동물의 표정이 감정에 따라 달라진다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 ...
- ‘나노영챌린지 2017’ 6개월 대장정 막 내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필요한 큐비트(Qbit) 구현 가능성을 확인했다. 큐비트는 0과 1의 디지털 신호가 아니라 둘이 섞여 있는 중첩 상태로 양자컴퓨터에서 정보를 저장하는 단위다. 우수상 두 팀 가운데 나노기술연구협의회장상은 대학원생들로 구성된 부산대 팀이 차지했다. 부산대 팀은 나노선을 이용해 3차원 저항 변화 ... ...
- [Origin] 착한 일을 하면 福을 받는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직접 상호성의 경우, A가 B를 돕는다. 다음에 B가 A를 돕는다. 도움을 주고 받음으로써 둘 다 이득을 얻는다. 간접 상호성의 경우, A가 B를 돕는다. 이를 지켜본 C가 A를 돕는다. 왜 엉뚱하게 C가 A를 도울까? 누가 남을 잘 도와주는 호인인지 알아내 그를 파트너로 택해서 상호 협력하면 당연히 이득을 ... ...
- [Focus News] 피내용과 경피용 뭘 맞아야 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예방접종전문위원회 위원장)는 “피내용과 경피용의 결핵 예방 효과와 안전성 면에서는 둘 사이에 거의 차이가 없다”며 “흉터의 크기도 관점의 차이는 있겠지만 서로 큰 차이가 없다”고 말했다. 아이의 피부에 따라 흉터 크기가 결정되는 것이지, 접종 방법은 큰 영향이 없다는 것이다. 이상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봅시다. 배아는 과연 정상적으로 발달할까요, 아니면 좌우가 바뀌어 발달할까요? 정답은 둘 다 가능합니다. 섬모의 운동을 책임지는 단백질 중 하나인 ‘디네인(dynein)’에 돌연변이가 생길 경우 섬모는 시계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고 배아는 무작위로 좌우 축을 결정합니다. 동전을 던졌을 때 앞 ... ...
- [수학뉴스] 말 빨리 배우게 하고 싶다면 동화책보단 수 세기!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동화책을 읽은 횟수와 수학을 공부한 횟수를 독립변수, 평가점수를 종속변수로 둘 수 있지요. 그 결과, 수학 공부 횟수가 수학 점수에 미치는 영향력은 부모의 학력이 미치는 영향력보다 컸습니다. 또 수학 공부 횟수는 동화책을 읽은 횟수보다 어휘 점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더 많이 끼쳤습니다.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신세계를 향해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보고 엄마에게 말했다. 하림은 적성에 맞지 않는 엘리트 기술학교를 나와 당분간 엄마와 둘이 살고 있었다. “그래. 아마도 엄마는 그곳에 사람들이 내리는 모습을 보지 못하겠구나.”“저도 그래요. 그러고 보니 마고가 뭘 두려워했는지 알 것 같아요. 우리는 우주선 안에서 태어나고 살다가 죽는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편집을 응용할 때 우리가 생명이나 환경에 대해 많이 알지 못한다는 사실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이 기술이 그려낼 세상을 향한 모험은 이미 시작됐으므로, 겸허한 자세로 새로운 가치관과 윤리관을 싹 틔우고 공유해야 한다는 얘기다. 2016년 옥스퍼드 영어사전은 올해의 단어로 ... ...
- [Career] 국내 뇌과학 연구의 미래를 엿보다 고려대 ‘뉴런(NEW LEARN)’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관심을 갖고 있는 분야는 다른 학교와의 연계 활동이다. 대학마다 뇌과학 동아리가 하나둘 생겨나고 있는 만큼 뇌과학 동아리 커뮤니티를 만들고, 이들과 연합해 대학생 뇌과학 학술대회 개최하는 게 목표다. 현재 연세대 뇌과학 동아리와 연합을 준비 중이다. 한양대, KAIST 등과도 함께 할 수 있는 ... ...
- Part 3. 둔갑과 은신을 위한 변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기관을 보유하도록 진화하는 ‘수렴진화’이기도 합니다. 계통적으로 관련이 없는 둘 이상의 생물이 적응과 진화의 결과로 비슷한 형태를 보이는 현상을 수렴진화라고 합니다. 박쥐와 새처럼 계통적으로 관련 없는 두 종이진화 결과 비슷한 날개를 갖는 게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또 말벌과 ... ...
이전7879808182838485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