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둘"(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대박 신화의 진실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암호화폐 열기가 뜨겁다. 대표적인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은 이틀에 100만 원씩 오르며 암호화폐 대박 신화를 만들었다. 그러다 한달 새 가격이 4분의 1로 떨어지자 ... 1. 암호화폐는 ‘진짜 돈’이 될 수 있나Part 2. 암호화폐 없는 블록체인 가능한가Part 3. 암호화폐 둘러싼 소문4, 진위 확인해 ... ...
- Part 1. [5%] 우리가 아는 것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추측했다. 바로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다. 무엇인지는 아직 알 수 없지만, 수학으로 이 둘을 포함한 우주를 모형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모형의 이름은 ‘ΛCDM 모형’. CDM은 차가운 암흑물질을 뜻하는 ‘Cold Dark Matter’의 약자이고, Λ(람다)는 암흑에너지를 의미한다. 단순해 보이는 이 모형은 그 ... ...
- [Culture] 해피 화이트데이를 기원하며♥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선택인 겁니다. 시모어 교수는 몇 가지 가정을 했습니다. 연애 기간은 정해져 있지 않고, 둘 중 한 사람이 중간에 그만 두거나 여성이 남성의 청혼을 받아들이면 게임은 끝납니다. 또 남성은 ‘좋은 사람’과 ‘나쁜 사람’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남성의 경제적·외적 조건, 그리고 결혼 후 ... ...
- [Issue] ‘지진의 나라’ 이탈리아는 지금, 인공위성으로 지진 모니터링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크게 주목받았다. 하지만 라돈의 증가가 지진으로 이어지지 않은 경우도 있어서 둘 사이의 상관관계가 불명확한 상황이다. Another phenomenon that could help to predict imminent earthquakes is the sound emitted by the rocks when stressed and deformed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위해 고안한 사고(思考)실험이다. 현실 세계에서 고양이는 반드시 죽거나 살아 있거나 둘 중 한 가지 상태여야 한다. 그런데 살아 있으면서도 죽어 있다니. 이쯤 되면 머리 속엔 온통 물음표가 떠오르며 양자역학이 아닌 내 지식의 불완전함을 의심하게 된다.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물질을 ... ...
- [이기자의 1마감1게임] 소녀가 추위를 막아줄 거야! 네버 얼론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이유“그들은 이틀 동안 표류했습니다.”사나운 악당이 누나와 여우를 쫓아옵니다. 둘은 있는 힘을 다해 달아나지요. 그러다 방금 밟은 얼음이 떠내려가기 시작합니다. 쫓아오던 악당은 따돌렸지만 조각난 얼음 위에 덩그러니 놓인 소녀와 여우는 망망대해에서 표류합니다. 만들어낸 이야기가 ... ...
- [이승재의 매스일레븐2] 절대 질 수 없는 더비 매치 수학이 점친다!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얼마 전 독립선언을 했던 카탈루냐 지방의 심장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이런 관계로 이 둘의 라이벌 의식은 단순히 축구를 넘어 두 민족 사이의 충돌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21세기 들어 이 두 팀이 축구로 유럽을 정복하기 시작하고, 리오넬 메시 대크리스티아누 호날두, 조세 무리뉴 대 펩 ... ...
- [이달의 사물] 윷가락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깎아 만든 윷가락 4개를 던져서 말을 달리는 게임입니다. 던진 윷가락이 떨어지면 둘 중 한 면만 보이는데, 납작한 면의 개수에 따라 도, 개, 걸, 윷, 모가 결정되고, 이에 따라 말이 1칸에서 5칸까지 움직입니다. 윷놀이에서 승리하는 ‘비법’을 살짝 소개하겠습니다. 첫 번째는 상대방의 말을 잡는 ... ...
- 주기율표와 화학결합의 비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용어의 정의를 한번 더 정리해보자. 바로 ‘최외각 전자’와 ‘원자가 전자’다. 이 둘은 비슷하면서도 차이가 있다. 주기율표에서는 금속원소들과 비금속원소들을 쉽게 구분할 수 있는데, 이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금속성이 증가할수록 전자를 잃기 쉽고, 양이온이 잘 된다. 반대로 ... ...
- [잠깐만요!] 위태위태 눈조각 무너지지 않은 이유는?수학동아 l2018년 02호
- 곡면의 곡률은 가장 많이 휜 부분과 가장 적게 휜 부분을 찾아 각각의 곡률을 구한 뒤 이 둘의 평균을 구해서 측정해요. 극소곡면은 이 평균곡률이 0이에요. 이는 곡면 위의 모든 점에서 대칭성이 있다는 뜻이에요. 즉 밀거나 당기는 힘이 각 점에서 잘 조화돼 있기 때문에 안정적이지요. 그래서 위 ... ...
이전757677787980818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