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d라이브러리
"
논문
"(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왜 거짓말은 진실보다 빨리 퍼질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7호
맞는 MMR 백신●이 자폐증을 일으킨다’는 내용의
논문
을 발표하면서 시작되었어요. 이후
논문
에서 조작이 발견되었지만, 가짜 뉴스는 여전히 인터넷을 통해 떠돌아다녔어요. 그 결과 백신을 맞지 않는 사람들이 늘어나 MMR 백신으로 예방할 수 있는 홍역이 다시 퍼졌지요. 실제로 2016년 미국의 홍역 ... ...
[수학뉴스] 코끼리는 수를 냄새로 구별한다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통해서 인간과 다른 종의 지능을 이해하는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이
논문
은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6월 3일자에 실렸습니다. ... ...
화성의 메탄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않았다. 러시아 “화성에서 메탄 검출 안돼”이런 상황에서 이탈리아 연구팀의
논문
보다 9일 늦게 공개된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소속 우주연구소의 연구 결과 역시 메탄의 존재 가능성에 찬물을 끼얹었다. 화성 대기에서 메탄의 어떠한 움직임도 관찰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올레그 코라브래브 ... ...
[수학뉴스] 수론의 '거인' 시무로 고로 별세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한쪽 책상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짜는 데 매진하고 오후에는 다른 한쪽 책상에서
논문
을 쓰고 완성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연구했습니다.프린스턴대학교의 수학 강사인 조나단 한케는 “현대 수론 분야의 진정한 거인”이라고 시무라를 추모하며, “선구자적 연구로 분야 간의 연결고리를 만들거나, ... ...
수학 문화재는 어떻게 알아보나요?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노먼 윌드버거 교수가 플림톤 322에 적힌 수들이 일종의 삼각비 표라는 주장을 제기하는
논문
을 수학사 학술지 ‘히스토리아 마테마티카’에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만족하는 수들이 적혀 있기 때문에 그 내용을 통해 직각삼각형의 각 변 사이의 길이의 비인 삼각비를 알 수 ... ...
대한수학회 회장 금종해 교수 인터뷰 "수학 실력은 국가 경쟁력!"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연구할 수 있게 돕습니다. 수학 교육에 관한 정보도 나눌 수 있게 하고요. 국내외 뛰어난
논문
을 모아 국제 학술지도 발간합니다.2. 임기 기간인 2년 동안 어떤 일에 집중하실 계획인가요?수학은 수와 공간의 성질을 연구하기 때문에 대중에게 보여줄 자료가 많지 않아요. 반면 과학과 공학은 ... ...
[수학 THE LOVE] 수학에 지친 그대에게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중요한
논문
이 새로 나왔을 때 가장 먼저 세미나를 조직합니다. 다 같이 모여
논문
을 읽고, 각자 좀 더 잘 이해한 부분을 서로에게 설명하면서 내용을 파악해 나갑니다. Q 수학을 좋아하는 중2 여학생입니다. 마음 같아서는 수학을 전공하고 싶은데 부모님이나 선생님들이 반대합니다. 한국에서는 ... ...
[언니오빠
논문
연구소] 탄력적인 그대 이름은 스트레처블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국제학술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에 발표한
논문
입니다. 로저스 교수팀은 이
논문
에서 기존 전자기기에 쓰던 갈륨비소화합물의 물리적 구조를 변경해 성능 저하 없이 스트레처블 특성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스프링을 한번 볼까요. 스프링은 잘 구부러지지 않는 단단한 재료인 ... ...
[따끈따끈한 수학] 어떤 경로도 다르게! 반복없는 색칠 문제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만나서 연구하면 어려운 문제도 서로의 지식을 합쳐 순식간에 해결하기도 합니다. 이
논문
에서 증명한 768이라는 색의 수가 최솟값일 것 같지는 않습니다. 이 연구 역시 최솟값을 찾으려고 노력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제껏 백만 개든 1조 개든 어떤 상수 개의 색으로도 항상 반복 없이 색칠 ... ...
포켓몬 몸집의 물리학 피카츄는 뚱뚱할까, 날씬할까?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두 발로 서서 직립보행 하는 동물은 p값이 2와 유사하다(p≈2)는 결론을 내리고 이 내용을
논문
으로 발표했다(아래 그래프).doi: 10.1038/s41598-017-03961-w 키가 크면 날씬해 보인다사람이 아닌 다른 동물은 p값이 다르다. 한 예로 우리나라 하천의 민물고기인 피라미의 데이터를 보면 M~Hp(p=3.1)으로 p값이 3에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