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부
일체
전체
총체
첫머리
모든
온갖
d라이브러리
"
모두
"(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건축과 생명체가 만날 때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해석하기 때문이다.현대 생명공학은 DNA의 염기서열을 읽어 마치 생명체의 형성 비밀을
모두
찾은 것처럼 말하지만 쉘드레이크가 보는 유전자는 생명체라는 건물의 전체 설계도가 아니라 단백질이라는 벽돌 또는 골재의 설계도일 뿐이다.그래서 그는 ‘형태 공명’(morphic resonance)이라는 이론을 ... ...
다이빙 선수의 우승비결은 공명?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많다.이 소라껍데기에 주위의 소리가 들어오면 공명이 일어나는데 여러 진동수의 소리가
모두
공명을 일으키면 소위 백색잡음(모든 종류의 진동수가 골고루 들어있는 잡음)이 들린다. 이 소리가 바로 바람이나 파도소리 같은 진동수 분포를 이루기 때문에 우리는 파도소리가 들린다고 느끼는 것이다 ... ...
사실이야? 진짜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못한답니다. 벌과 등에가 어떻게 다르게 생겼는지 비교해 보세요. 사람도 동물도
모두
거짓말을 합니다. 거짓말은 나쁜 것이라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겠지만동물들이 살아남는 데 꼭 필요한 거짓말도 있어요. 또 소설‘마지막 잎새’에서 주인공에게 희망을 주는 가짜 잎새와 같은 좋은 거짓말도 ... ...
열대지역이 넓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때 각 성분파의 변위를 합성한 크기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수면파 음파 광파 전자파 등은
모두
간섭을 일으킨다 이러한 간섭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두 파동 사이의 위상차가 시간에 관계없이 일정해야 한다는 조건이 필요하다생식을 위해 정소의 체세포가 특정한 형태로 변한 반수체의 염색체가 있는 ... ...
세계 최초의 암 백신 나왔다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생기는 성병인 콘딜로마(일명 곤지름, genital warts)를 일으키는 변종 두 가지(HPV-6, HPV-11) 등
모두
4가지 바이러스를 예방할 수 있다. 이들 바이러스는 전체 자궁경부암 발병요인의 70%와 콘딜로마의 90%를 차지한다.머크는 13개국 16~26세의 여성 2만여명을 대상으로 6개월간 3차례 가다실을 접종하고 2년간 ... ...
태권V 날개도 없이 비행하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태권V 한쪽 다리의 길이(30m)에서 터보팬 엔진장착 부분의 길이(4m)를 빼더라도 양 다리를
모두
고려하면 연료를 채우기에 필요한 원통길이(32m)는 확보할 수 있다. 물론 태권V의 다른 부분에 연료를 더 싣는다면 비행시간을 늘릴 수 있다.지금까지 태권V에 터보팬 엔진도 장착하고 연료도 실었지만 이 ... ...
용암이 솟아 만든 용두암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둘러싼 클링커층은 둑처럼 생겨 클링커벽이라고 한다.시간이 흘러 액체 상태인 용암이
모두
빠져나가 버리면 클링커벽 아래에는 용암 통로(lava channel)가 물길처럼 남는다.용두암의 경우는 이 용암 통로에 새 용암이 불도저처럼 밀려들었다. 많은 용암이 좁은 통로를 한꺼번에 지나다 보면 클링커벽을 ... ...
종이나라의 '오려라 공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6호
한 번 작동(15분)시키고 두 번째 작동할 동시(15분)에 2번 물시계를 작동시켜 1,2번
모두
작동한 시간이 40분이라면 ‘15분+15분+X(2번 종료시간)=40분’이 된다. 따라서 2번 물시계와 1번 물시계의 차이는 10분이다. 따라서 2번은 25분짜리(15분+10분) 물시계다.네 번째 문제의 정답뫼비우스띠의 성질에 관한 ... ...
바닷속 우리 땅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한반도 남쪽 끝에서 북쪽 끝까지의 거리를 말하는 상징적인 뜻으로 우리나라 땅
모두
를 의미한다. 하지만 볼 수도 만질 수도 없는 우리 땅이 있다.바로 바닷속 깊이 숨어 있는 해저지형들이다.수년의 조사와 연구 끝에 이제 우리 이름의 해저지형이 서서히 물 밖으로 드러나고 있다. ▼관련기사를 ... ...
월드컵 응원에는 북소리가 최고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붉은악마북은 강한 저음으로 사람의 마음을 흔든다. 북소리가 날 때마다 관중들은
모두
동시에 몸으로 진동을 느낀다. 마치 한 몸이 된 듯한 느낌을 받으면서 응원 구호나 손뼉을 치며 박자를 똑같이 맞출 수 있다. 그 결과 소리의 공명이 일어나 선수들에게 응원 함성이 더 잘 전달될 수 있다. 월드컵 ... ...
이전
824
825
826
827
828
829
830
831
832
다음
공지사항